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10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어문규범의 교육 방향 탐색 ―한글맞춤법을 중심으로
이기연 ( Yi Kiyou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4호, 171~203페이지(총33페이지)
국어 교육에서는 꾸준히 어문 규범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어문규범에 대해 교육해 왔다. 그러나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어문규범 교육만으로는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언어 현상에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글맞춤법을 중심으로 언중들의 어문규범에 대한 인식과 실제 사용 양상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밝히고 교육과정과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글맞춤법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주로 개별 표기 차원의 정확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맞춤법 교육 방향을 평생을 두고 학습하면서 성장해 가는 존재를 대상으로 한 생애 교육 차원에서 어문규범교육, 한글맞춤법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규범의 개별 조항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대신 어문규범의 가치나 의의, 규범의 필요성, 규범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길러주는 교육을 보다 강...
TAG 국어교육, 어문규범, 어문규범 교육, 평생 교육, 한글맞춤법, 띄어쓰기, 철자법, Korean Education, Korean Language Rules,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Rules, Continuing Education, Hangeul Spelling, Spacing, Spelling System
탈식민주의 독법으로 읽은 『압록강은 흐른다』
진영희 ( Jin Younghu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4호, 205~237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는 식민주의 배경 아래 있었으나 식민주의 배경을 벗어나서 창작한 문학 작품 『압록강은 흐른다』를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근대로 들어선 시기에 식민주의 배경 아래 있던 당대 문인들과는 달리 식민의 경험을 이국 공간에서 창작하였기에 식민주의 배경을 식민주의 공간에서 그려낸 작가들의 작품과는 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지식인이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굴절된 서구화를 그려낼 때 이미륵은 유럽의 중심에서 2차 세계대전을 이끌던 독일이라는 공간에서 작품을 그려냈다. 한국의 탈식민에 관한 담론이 친일과 저항으로 나뉠 때 이국 공간에서 그려낸 『압록강은 흐른다』에서는 한국은 억압당해도 되는 피지배자도 타자도 아닌 그 자체로 ‘주체’임을 드러내고, 평화를 이루어가는 소중한 민족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사람과 사람을 평등하게 바라...
TAG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 독법, 탈식민주의 관점, 압록강은 흐른다, 이미륵, Post-Colonialism, Reading Post-Colonialism, Postcolonial Perspective, Der Yalu Fliesst, Li Mirok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 탐색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김규훈 ( Kim Kyooho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5~33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어휘 교육의 범주화 유형 가운데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기초 논의의 성격을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표현 의도 탐구’가 무엇인지 국어과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확인하여 교육적 중점을 파악한다.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은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를 통하여 표현자가 담아내고자 한 세계를 어떻게, 왜 그렇게 반영하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교육 방안을 열어준다. 이러한 어휘 교육을 설계하기 위하여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 요소를 탐색한다. 이론 요소로 ‘인지문법’을 기반으로 ‘틀과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방향을 확인한다. 인지문법은 어휘를 개념화 과정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기저 이론이다. 매개 이론으로서 틀과 은유는 표현자가 전경과 배경의 선택을 통한 개념화...
TAG 어휘 교육, 어휘 사용, 타당한 어휘 사용, 표현 의도, 추론과 평가, 인지언어학, , 은유, 인지적 텍스트, 어휘 타당성 탐구 활동, Vocabulary Education, Vocabulary Use, Valid Vocabulary Use, Expressional Intentions, Inference and Appraisal, Cognitive Linguistics, Frame, Metaphor, Cognitive Text, Vocabulary Validity Inquiring Activity
죽음 성찰과 애도를 위한 소설교육 ―김애란 소설을 중심으로
김지혜 ( Kim Jihy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35~63페이지(총29페이지)
전통사회에서는 삶과 죽음이 자연스럽게 공존했다면, 현대사회에서는 삶에서 죽음이 기피되거나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1960년대 이후 미국과 독일 등에서는 이러한 죽음의 배제 현상이 지닌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죽음학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죽음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죽음교육의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죽음 교육은 죽음에 대한 이해 및 철학적 성찰, 타자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과 애도의 문제, 그리고 의학적, 과학적 생명 윤리의 문제를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해 깨닫고 생명의 소중함으로 일깨우는 데 필요한 교육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시작되었으나 실질적인 죽음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죽음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김애란의 소설을 분석함으로써 고등학교 『문학』 과목에 적합한...
TAG 죽음교육, 비탄교육, 소설교육, 죽음 성찰, 애도, 죽음학, 김애란, Death Education, Grief Education, Novel Education, Introspection of Death, Mourning, Thanatology, Kim, Ae-Ran
국어 교과서의 쓰기 영역 단원 구성 체제 분석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김혜연 ( Kim Hyeyou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65~100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에서 쓰기 영역 성취기준 관련 단원들의 구성 체제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쓰기 교수학습 개선 및 향후 교과서 개발과 재구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총12종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에서 쓰기 영역과 관련된 52개 소단원을 대상으로 소단원 구성 측면에서 영역 간 통합 기제, 통합 방식, 통합 비중, 작문 장르, 본문 제재 성격의 항목들을, 학습 활동 측면에서 글쓰기 완결 여부, 활동 안내 유무, 협동 학습 여부, 매체 활용 여부, 학습 활동 유형의 항목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단원 내의 영역 간 통합, 활동 안내 수준의 적정성, 글쓰기 활동에서 협동 학습 도입 현황, 이해 혹은 연습 단독으로만 구성된 학습 활동 등에서 논의할 만한 쟁점...
TAG 국어 교과서, 쓰기, 단원 구성 체제, 학습 활동, 2015 개정, Korean Textbook, Writing, Organizing System of Unit, Learning Activity, 2015 Curriculum Reform
‘인용’의 문법 교육적 재개념화 연구
박진희 ( Bak Jinhu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101~133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인용(引用)’을 문법 교육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의하기 위해서는 어떤 개념들이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발화 주체’, ‘피인용문’, ‘인용 동사’의 범위, 그리고 ‘인용의 유형’ 분류에 따른 직접 인용의 개념과 관련하여 기존의 개념 정의가 학습자에게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용’이 다른 사람을 비롯하여 화자 자신의 ‘말과 생각’까지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인용 동사를 통해 화자의 ‘관점, 태도’ 등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것이라면 인용 동사의 범위를 ‘말하다’, ‘생각하다’ 류에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 실제 발화가 있는 그대로 옮겨지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던 직접 인용조차도 인용 화자의 ‘해석적 사용’의 결과로 볼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
TAG 국어교육, 문법 교육, 인용, 인용 표현, 재개념화, 해석적 사용, 목소리 내기, 다성성, 多聲性, Korean Education, Grammar Education, Quotation, Quotation Expressions, Reconceptualization, Interpretive Use, Voicing, Polyphony
명명 과제 수행에 나타난 어종(語種) 활용 양상에 관한 연구
박혜진 ( Park Hyej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135~165페이지(총31페이지)
본고는 고유어 중심의 단어 형성 교육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단어 형성 교육에서 외래어 및 한자어를 수용·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명명 과제를 설계·시행하여 새말 만들기 장면에서 다양한 어종의 어휘 자원이 활용되는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종 선택에는 ‘명명 대상 자체의 속성, 명명 화자의 언어 의식 및 어휘부 체계, 고유어·한자어·외래어가 가진 언어적 특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단어 형성 교육이 다양한 각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한자어 및 외래어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상 단어 형성 장면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의식 및 수행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본고의 논의는 향후 단어 형성 교육에서 어종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화하는 ...
TAG 명명 과제, 어종,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단어 형성 교육, 문법교육, 표현론적 관점, 근거이론, Naming Task, Type of Word, Pure Korean Word, Sino-Korean Word, Loanword, Word-formation, Grammar Education, Onomasiological Approach, Grounded Theory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국어사 교육의 방향성 탐색 ―국어의 역사성 교육을 중심으로
신희성 ( Shin Heeseo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167~205페이지(총39페이지)
최근 국어사 교육은 학습자 중심성을 수용하여 학습자가 과거의 언어에 대해 느낄 수 있는 거리감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보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의 성취 기준에서 국어의 변천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는 데 방점을 두는 식의 변화를 끌어냈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는 교과서에서는 이전의 교수·학습 내용과의 큰 차이를 보이지 못한 채 해당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는 국어의 역사성 교육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언어 체계 내에서 아우르지 못하고 국어의 위상 층위와 혼동하여 교육 내용을 연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어사적 지식이 현대 국어와 관련되는 지점에 대한 풍부한 예시를 보이지 못하고, 또한 이러한 지식이...
TAG 국어사 교육, 국어의 역사성, 높임 표현, 문법교육,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onorific Expression, Grammar Education
주제 밀접성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슬기 ( Lee Seulk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207~247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 밀접성이 각기 다른 글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주제 밀접성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0명에게 30개의 주제에 대해 밀접한 정도를 표시하도록 했다. 그 후, 주제 밀접성이 다른 세 편의 글을 작성하도록 한 뒤 글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밀접성에 따라 내용과 조직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표현 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쓰기 수행 수준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 집단에서는 내용, 조직, 표현 모두 주제 밀접성에 따른 점수 차이가 없었고, 중 집단과 하 집단에서만 내용과 조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내용·조직과 관련되는 글 특징을 추출하였는데 네 가지 특징(다양하고 풍부한 내용, 주장과 근거...
TAG 작문 교육, 주제 밀접성, 쓰기 주제, 과제 구성, 내용의 풍부성, 긴밀성, 응결성, Writing Education, Topic Relevance, Construction of Assignment, Writing Topic, Richness of Content, Closeness, Cohesion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장애에 관한 재외 한글학교 교사들의 인식 탐색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대상으로
정민주 ( Chung Minju ) , 조은미 ( Cho Eunm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9] 제54권 제3호, 249~286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교수 경험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한글학교 교사들은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일반 학생과의 통합 교실 수업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미국 한글학교 교사들이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나 활용 경험은 있지만 아직까지 학습장애가 있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부족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글학교 교사들은 학습장애가 있는 한국어 학습자...
TAG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한국어 학습자, 학습장애, 한글학교 교사, 한국어교육, Korean as L2, Korean Learner, Learning Disability,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