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10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매체 교육 내용 연구
김향연 ( Kim Hyangye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89~114페이지(총26페이지)
‘매체’가 교육현장에 잘 반영되기 위해서는 매체에 이미 ‘익숙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인 만큼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내용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여 그들의 매체 문화를 엿볼 수 있는 SNS를 중심으로 학습자 특성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매체에 유도된 표현 양상이 이미 습관화 되어 있었고, 매체를 통해 감정을 표출하고 교류하는 것이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일부였다. 또한 친밀감을 중시하는 청소년들의 특성이 매체 문화 속에서 강화되어 인간관계의 문제가 24시간 온라인 상태로 존재하는 특수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매체 교육은 매체에 대한 교육이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매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성찰 중심의 미...
TAG 매체, 매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 성찰, 공감, Media, Media Education,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Introspection, Empathy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오류 분석 체계 및 방법 고찰
김호정 ( Kim Hojung ) , 이원기 ( Lee Wonk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115~14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오류에 대한 기왕의 논의를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서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오류 분석의 합리적 준거 및 틀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 오류를 분석한 선행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해당 논고에서의 오류 연구 체계 및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피동 표현 오류 연구 시에 적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분석 체계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피동 표현 오류 분석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의 첫 번째 단계로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어교육 피동 표현 오류를 연구한 논문 중, 학습자의 실제 오류를 수집하고 분석한 논문을 선정하고, 해당 논고의 학습자 오류분석 체계 및 오류 분석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어,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한 오류 연구의 성과와 함께 보다 논리적이고 체...
TAG 피동 표현, 오류 분석, 오류 설정 기준, 오류 분석 방법, 오류 분석 체계, Passive Expression, Error Analysis, Criterion of Error, Method of Error Analy-sis, Classification of Error
‘한국어’ 과목용 한국 문학작품 선정 연구 ─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남연 ( Nan Ya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149~190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과목에서 활용될 문학작품을 선정해 내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과목의 성격과 목표를 재조명하였고, 작품 선정 기준(인성 교육과 한국 문화 요소들)과 작품 선정의 참조 범위를 제시했다. 이어서 작품 선정의 실제 작업으로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중 시장 점유율 톱 5위권에 들어 있는 교과서들 위주로 실린 현대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 목록을 제시했다. 연구 과정에서 필자는 지나친 문화주의 늪에 빠져 드는 기존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해 내고, 인성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육(‘한국어’ 과목 포함)의 성격을 거듭 강조하였다. 지면의 제한으로 인해 작품선정 참조 대상인 모든 교과서를 분석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분석의 예를 통해 실제 분석...
TAG 중국 대학교, ‘한국어’ 과목, 한국 문학작품, 선정 연구, 인성 교육, Chinese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Korean Literature,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Works, Humanity Education
한국형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영진 ( Seo Youngj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191~22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맞은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omas(2001)의 Reading Maturity Survey를 번역 후 역번역하여 언어 문화적 차이를 최소하고, 문항의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검토 및 인지적 인터뷰를 실시한 후 수정·보완하였다. 이후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대해 최대우도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한국형 독서 성숙도 도구는 6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는 ‘기초 독해력’(8문항), ‘독서를 통한 성찰과 삶의 변화’(8문항), ‘독서에 대한 관심과 태도’(4문항), ‘고급 독해력’(5문항), ...
TAG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 타당도, 신뢰도, 요인분석, Reading Maturity, Test Tool, Validity, Reliability, Factor Analysis
대화의 비유창성 현상 고찰 ─ 화제 상정 여부와 관계 수준의 정도를 중심으로
서종훈 ( Suh Jongho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227~267페이지(총41페이지)
본고는 대화에서 친교 관계와 화제 유무에 따른 대화 비유창성을 현상을 고찰하였다. 두 가지 연구가설을 상정하고 대화에 드러나는 다양한 비유창성 현상을 수집된 대화 말뭉치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에서는 친교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화제가 상정되지 않은 대화가 반드시 비유창한 현상을 더 발생시키는 것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다. 이는 말하기에서 비유창성이라는 현상이 몇몇 말하기의 전개 단서나 기제에 얽매여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구체적인 조사 결과에서 ‘쉼’의 경우는 친교 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집단에서 그 수치가 유의미하게 나왔다. 아울러 삽입이나 반복 등의 실사 중심의 비유창성의 경우는 화제를 상정한 집단의 대화에서 그 수치가 높게 나왔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비유창성의 빈도수는 가설에서 상정한 내용과는 다르게 친교 관계의 수준이 높거...
TAG 대화, 유창성, 비유창성, 관계, 화제, Conversation, Fluency, Disfluency, Relationship, Topic
내용 조직 과제에 대한 수사구조이론(RST) 기반 채점 결과 분석 ─ 진단 도구 정교화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선영 ( Lee Sunyoung ) , 박재현 ( Park Jaehyun ) , 윤신원 ( Yoon Shinwon ) , 정민주 ( Chung Minju ) , 박종훈 ( Park Jongho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269~299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수사구조이론(RST) 기반 내용 조직 능력 진단 도구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문장 배열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해 자동 채점을 실시하고, 그 채점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친 진단 도구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이 제시된 문항의 점수가 그렇지 않은 문항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용 구획 영역과 내용 배열 영역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으며, 하위 집단 학생들은 내용 배열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관계의 수와 의미관계 유형의 수가 많아질수록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의미관계 유형이 가장 다양한 문항의 경우, 유형 간의 점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내용 조직 능력 진단 도구를...
TAG 수사구조이론, 내용 조직 능력, 진단 도구, 문장 배열 과제, 의미관계, Rhetorical Structure Theory(RST), Text Organizing Ability, Diagnostic Tool, Sentence Arranging Task, Relations
작문교육 연구에서 개인의 자기 조절 중심의 담론이 갖는 의의와 한계
장성민 ( Chang Sungm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3호, 301~3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기존의 작문교육 연구에서 개인의 자기 조절 중심의 담론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분석적이고 탈맥락적인 접근을 통해 특정한 과제 유형에 대한 유형화된 경향성을 밝히고자 했던 ‘개인’중심의 담론은 학습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자기 조절 학습 이론의 전제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으며, 인지적 전략 중심의 비가시적 사고 표상을 밝히는 데 주력하여 온 ‘자기 조절’ 중심의 담론은 쓰기에 수반되는 자기 조절적 처리의 순환적, 상호적 본질을 적절히 뒷받침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자기 조절의 수행 맥락으로서 교수·학습 설계가 반영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가시적인 문식 활동과 비가시적인 사고 표상을 연결하는 교육용 쓰기 과제를 활용함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TAG 자기 조절, 교수·학습 설계, 처방성, 최적성, 형성적 연구, 성찰일지, 국어 교육, 작문 교육, Self-regulation, Teaching&Learning Design, Prescriptiveness, Optimality, Formative Research, Reflective Jour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Writing Education
문법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연결어미 ‘-지만’ 교육방안 연구
고춘화 ( Ko Chunhwa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6~31페이지(총26페이지)
문법적 사고는 학습자가 문법 지식에 대해 사고하고 궁리하는 경험을 통해 사고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화자의 인식과 다층적 의미 해석에 터해, 문법적 사고 경험을 위한 연결어미 ‘-지만’ 교육의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결어미는 화자의 사태 해석과 의미 구성을 드러내는 문법 표지의 역할을 한다. 연결어미 ‘-지만’의 대표적 의미 기능인 대조와 양보가 작용하는 양상을 두 절의 관계를 인식하는 화자의 사고 논리와 관련하여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는 사태 간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는 의미 기능으로, 양보는 상례성과 예측성에서 어긋난 의미 기능으로 상반된 결과를 함축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 관련 내용을 보완하여 제시했다. 화자의 인식과 ‘-지만’과 ‘-고’의 의미 기능 차이, 대조의 의미 기능과 초점화를 통한 화자...
TAG 연결어미, 문법적 사고, ‘-지만’, 다층적 해석, 의미 기능, Connective Ending, Grammatical Thinking, ‘-Jiman’,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Semantic Function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과 적용에 대한 질적 고찰
김수정 ( Kim Sujeo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32~78페이지(총47페이지)
본 연구는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동료피드백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II에서는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의 접점을 찾아보았다. II.2에서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인성교육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료피드백은 동료 학습자의 유의미한 활동에 대하여 또 다른 동료 학습자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의 견해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개개인이 합의점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대에 대한 배려와 존중, 자신의 표현에 대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이 추구하는 것과 매우 밀접하다. 인성의 핵심 덕목인 존중, 배려, 소통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동료피드백이라는 ...
TAG 인성교육, 동료피드백, 발표수업, 듣기·말하기, 의사소통, Personality Education, Peer Feedback, Presentation Class, Listening/Speaking, Communication
중학생의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 연구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서혁 ( Suh Hyuk ) , 한지수 ( Han Jisoo ) , 편지윤 ( Pyun Jiyun ) , 변은지 ( Byeon Eunj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80~110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디지털 문식 환경에서의 양식의 기호적 쓰임에 주목하여, 디지털 원주민에 해당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과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국어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학생이 무엇을, 어디까지를 양식으로 인식하는지, 각 양식에 대한 친숙도와 전략적 활용 수준이 어떠한지 등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을 양적, 질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자나 내레이션 등 언어 정보가 명료하게 전달되는 양식을 의미구성에 있어 핵심적인 양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양식의 의미 작용을 읽어내는 수준에 있어 양식 간 상당한 편폭을 보였는데, 색깔의 경우 하나의 양식 내에서도 색깔의 쓰임에 대한 관습화 정도에 따라 의미화하는 수준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론적 논의에서와 다르게 벡터라든지 레이아웃과 같이 구조를 이해하는 데 ...
TAG 양식, 양식 인식, 정보성, 정보성 인식, 복합양식성, 시선추적, Modes, Perception of Modes, Informativity, Perception of Informativity, Multimodality, Eye-tracking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