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10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자기이해로서의 고전시가 교육 ―「처용가」를 중심으로
오수엽 ( O Suyeop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112~140페이지(총29페이지)
자기이해 교육에서 고전시가의 타자성이 유의미한 요소가 되기 위해서는 타자의 자기화 과정으로서 현재적 재맥락화가 필요하다. 이때 현재적 재맥락화란 학습자가 텍스트의 심층적 맥락과 자신 사이에 존재하는 동질성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성찰함으로써 새로운 자기이해를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처용가」의 표층적 맥락에는 ‘주술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역병 퇴치’가, 심층적 맥락에는 ‘상징화를 통한 불안 의식의 극복’이 내재되어 있다. 학습자는 「처용가」의 맥락을 자신의 현재 맥락에 투영함으로써, 자신의 일상과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이데올로기의 실체를 성찰하고 확장적인 자기이해를 마련하게 된다. 이처럼 학습자가 과거의 맥락을 반추하여 이를 현재 맥락에 적극적으로 개입시킴으로써 새롭고 확장적인 자기이해를 형성하게 되었을 때, 고전시가 교육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이...
TAG 고전시가 교육, 자기이해, 현재적 재맥락화, 처용가, 표층적 맥락, 심층적 맥락,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Self-understanding, Re-contextualization, Cheoyongga, Superficial Context, In-depth Context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중·고등학생의 쓰기 인식 연구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이슬기 ( Lee Seulk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142~179페이지(총38페이지)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쓰기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쓰기에 대한 은유 표현과 이유 기술문을 수집한 후,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지닌 쓰기 인식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유 기술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감정 분석을 실시하여 극성(긍정, 부정)과 무극성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키워드는 극성 별로 군집화를 통해 자동 범주화하였는데, 무극성은 4개의 범주로, 긍정과 부정은 각각 2개의 범주로 군집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범주 명을 명명한 결과 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은 타자 지향적 사고, 도구적 사고, 자기 지향적 사고, 본질적 사고, 태도_긍정, 태도_부정, 효능감_긍정, 효능감_부정의 여덟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각 범주에...
TAG 텍스트 마이닝, 은유 분석, 쓰기 인식, 군집화, 감정 분석, 워드 클라우드, 코퍼스 분석, Text Mining, Metaphor Analysis, Writing Awareness, Clustering, Emotional Analysis, Word Cloud, AntConc
중국 어문교육에서 번역외국문학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연구
이정숙 ( Lee Jungsuk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180~205페이지(총26페이지)
본 논문은 중국이 어문교육의 맥락에서 번역외국문학작품이 갖는 성격이 한국과는 매우 다름에 주목하여 중국의 근현대시기 어문교재에 외국문학작품을 수록하게 된 연원과 그 교육적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교육과정안에서 외국문학작품의 교육적 가치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우선, 중국의 근현대 시기 국어(어문)교재에 수록된 외국번역문학의 연원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국어 교재에 수록된 외국작품은 애국과 계몽의 시대 요구 담론에 적극 부응하였으며 동시에 서구의 진보적 사상과 내용을 정확하게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휘와 문법이 풍부해졌다. 문언문 중심의 전통문장과 달리 읽기 쉽고, 평민들의 일상적 삶을 묘사한 문학작품의 소개는 문학교육의 차원에서도 발전을 가져왔다. 다음으로 중국의 2017년 고등학교어문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외국문학작품의 교육 가치와 ...
TAG 국어교육, 어문교육, 외국문학교육, 핵심역량, 상호문화적 관점, Korean Education, Chinese Education, Foreign Literature Education, Key Competencies, Intercultural Perspective
『조선어문』 7학년 어휘의 계량 연구
임칠성 ( Im Chilseo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207~227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조선어문』 7학년의 어휘 분포를 빈도별, 품사별, 어종별로 살피고 그 결과를 남한과 북한의 그것과 비교했다. 빈도별 분포에서 볼 때, 『조선어문』은 ‘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우리’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조선어문』이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엄마 : 어머니 : 어머님’의 빈도 비교와 오래된 농업 어휘의 사용 등을 통해 조선족이 정착 당시의 언어를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사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의 교육 내용이 북한보다는 남한의 교과서와 비교적 비슷한 수준이라고 확인하였다. 어종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은 남한이나 북한보다 한자어의 비율이 높은 대신 고유어의 비율이 낮고, 북한어와 함께 오래된 고유어, 한자어 어휘들이 많다. 이런 어휘 분포는 조선족이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어권...
TAG 『조선어문』, 어휘 계량, 고빈도 어휘, 품사별 어휘 분포, 어종별 어휘 분포, 조선족의 언어, Joseon Eomun, Vocabulary Measurement, High Frequency Vocabulary, Vocabulary Distribution by Parts of Speech, Vocabulary Distribution by Lexical Types, Language of Chinese Ethnic Koreans
논증 기반 타당도 접근에 기반한 수능 작문 평가의 개선 방향 탐색
장성민 ( Chang Sungm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228~258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국내의 수능 작문 평가 개선을 위해 논증 기반 타당도 접근의 관점에서 작문 평가를 둘러싼 담론의 해석적 논증을 점검하고, 타당도를 갖춘 대안적 관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증 기반 타당도 접근은 검사 점수의 해석과 사용에 내포된 광범위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수반되는 가정과 증거에 주목하며, 대안적 관점의 가능성에 대한 고려를 포함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는 ‘채점, 일반화, 외삽, 결정’의 네 범주에서 수능 작문 평가에 대한 해석적 논증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⑴ 기능 측정에 편중된 평가 개선, ⑵ 쓰기 과정 중심의 인위적 분절 개선, ⑶ 학습 목적 글쓰기 상황 중심의 재구조화, ⑷ 전이 가능한 능력의 측정 등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TAG 대학수학능력시험, 논증 기반 타당도 접근, 해석적 논증, 학습 목적 글쓰기, 장르 지식, 쓰기 윤리, 메타 국어 활동, 국어 교육, 작문 교육,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rgument-based Approach to Validation, Interpretative Arguments, Writing to Learn, Genre Knowledge, Writing Ethics, Meta-language Performa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Writing Education
일본 ‘대학입학공통테스트’ 국어 서술형 문항 연구
최미숙 ( Choi Meesook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260~289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최근 일본에서 새로 도입하는 ‘대학입학공통테스트’ 국어 서술형 모델 문항 특성을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으로부터 서술형 문항 개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조건 제시형 서술형 문항, 일상생활 중심의 다양한 실용적 제재 선정, 구체적인 채점기준의 작성이라는 평가 도구적 측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실질적인 문제 상황의 설정과 해결 과제의 제시, 대화·토론·협의 등을 통한 의견 교환을 강조, 특정 관점을 견지한 여러 언어 주체의 설정, 사고와 판단을 통한 결정의 언어 요구 등 언어능력 평가 측면의 특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생활 제제만을 선정한 점, 단순한 조건 제시의 방식 등 몇 가지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공통테스트의 국어 서술형 문항은 우리의 대입 서술형 문항 개발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AG 대학 입학시험, 대학입학공통테스트, 서술형 문항,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 University Admission Tests, The Common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Writing Tests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경어법 오류 양상 연구
판황미트엉 ( Phan Hoang My Thuong ) , 권순희 ( Kwon Soonhe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2호, 290~329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는 베트남 학습자가 한국어 경어법 사용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2017년 11월부터 12월 10일까지 베트남 내 후에(Hue)외국어대학교에 소속된 98명의 초·중·고급 한국어 전공 베트남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베트남 학습자는 ‘님’ 오류, ‘특수 어휘’ 등의 어휘적 오류 및 -(으)시-’ 오류, ‘동사 + 아/어 주다’ 오류, ‘객체 존대 사용’ 오류 등의 문법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베트남 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한국어 경어법 오류 유형을 찾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한국어 경어법을 사용함에 있어 범하는 다양한 오류의 원인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가 범하게 되는 경어법 오류 현상을 비교 언어학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규명하여 경어법 교...
TAG 한국어 경어법 오류, 어휘·문법 오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Errors of Korean Honorifics, Vocabulary and Grammatical Errors, Korean Learners in Vietnam
문법 요소와의 통합적 교육을 고려한 시 작품의 분석과 선정
이영욱 ( Lee Yeongwook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1호, 119~153페이지(총35페이지)
문법적 지식의 탈맥락성을 문학과의 통합을 통해 보완할 수 있으며, 문법적 지식은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데에 지표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 문법 영역과 문학 영역의 통합이 이러한 기대를 실현하기 해서는 문법적 표현의 효과에 근거한 문학 작품의 선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문법 영역과 문학 영역의 통합적 교육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 시 작품에 활용된 문법 요소의 표현 효과를 분석하고, 문법 요소와 통합적으로 교육될 수 있는 시 작품을 선정하였다. 문학 작품에 활용된 문법적 표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 학습의 호혜성, 내용의 상관성, 해석의 확장성, 의미의 전형성, 수준의 적절성, 명시적 현장성을 설정하고, 시 작품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대응의 배타성, 대응의 포괄성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시 작품에서 활용된 문법 요소의 표현...
TAG 국어교육, 통합적 교육, 탈맥락성, 현대시 교육, 문법 요소 교육, Korean Education, Decontextuality, Integrated Education, Poetry Education, Grammatical Element Education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특성과 문식성
윤여탁 ( Yoon Yeotak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1호, 37~57페이지(총21페이지)
이 글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는 시기에 국어교육은 어떤 지향을 해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융복합 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의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국어교육의 지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내용을 문식성(文識性, literacy) 교육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즉 국어교육에서 중시했던 기능적 문식성을 넘어 문식성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융복합적인 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은 의사소통 차원의 언어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신 문식성’ 능력의 함양이라는 맥락에서 멀티미디어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라는 점을 주목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국어교육의 내용이자 제재가 되는 예술로서의 문학 작품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에...
TAG 국어교육, 융복합 교과, 문식성, 멀티미디어, 신 문식성, 문학, 문학 문식성,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vergence Curriculum, Literacy, Multime-dia, New Literacy, Literature, Literary Literacy
학습자의 국어능력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를 위한 시론
이선영 ( Lee Sunyou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8] 제53권 제1호, 87~117페이지(총31페이지)
이 글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어교육 영역에서의 학습자의 국어능력 발달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국어능력 발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종단 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국어능력 발달 연구의 내용으로 ‘언어·텍스트’. ‘사고·태도’.‘맥락·사회적 상호작용’의 세 축을 기준으로 국어능력이 발달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내용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뿐 아니라 교사,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의 맥락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국어능력 발달 연구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시점에 대해 각 영역별 세부 능력의 변화 양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영역의 균형 있는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하되 표현 영역에 있어서 구어 ...
TAG 학습자, 국어능력 발달, 초기 문식성, 종단연구, 중다전망적 패널 설계, Learne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Longitudinal Research, Multiple Point Prospective Panel Desig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