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10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문법 오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조진수 ( Jo Jinsu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4호, 344~369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문법 오개념의 ‘오(誤)’를 ‘참/거짓’ 차원이 아니라 ‘인식론적 정당화’ 차원에서 이해하는 관점이 문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정당화 방식을 가상적으로 구성한 후 각 사례에 내재한 인식론적 문제를 검토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최소 토대론과 정합론의 관점이 문법 오개념 논의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의 두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문법 오개념 논의에서 학습자의 언어적 직관에 주목하고 언어적 경험 제공이 필요한 경우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현적으로 드러난 문법 오개념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되고, 문법 개념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오개념을 새롭게 발견하고 자각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법 오개념 논의의 인식론적 기반을 제...
TAG 문법교육, 문법 오개념, 인식론적 정당화, 최소 토대론, 정합론, Grammar Education, Grammar Misconceptions, Epistemic Justification, Minimal Foundationalism, Coherence Theory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 분석
서영진 ( Seo Youngj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3호, 97~133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피드백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피드백의 개념과 기능을 보다 넓게 이해하고, 국어 수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국어 수업 중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피드백 유형을 도출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어 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은 `의도 파악`, `문제 해결 조력`, `의사소통 및 사고력 심화·확장`, `평가 및 강화` 피드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고, 개별 피드백 발화의 맥락과 핵심 기능을 고려하여 총 16가지 하위 유형을 설정할 수 있었다. 국어 수업은 정오가 분명한 닫힌 문제에 대한 정확한 답을 찾아가는 경우보다 화제와 맥락에 적절하고 다양한 반응을 인정하고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영하기`, `정교화 요구하기`, `확장 요구하기`, `칭찬하기` 등의...
TAG 피드백 유형, 국어 수업, 의미 협상, 의사소통, 사고력, Feedback Type, Korean Language Class, Meaning Negotiation, Communication, Thinking Ability
자유학기제 정책의 회고와 성찰
김재춘 ( Gim Chaechu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3호, 5~35페이지(총31페이지)
이 글에서 연구자는 자유학기제 정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II장에서는 정책 성안과 실행의 내부자적 관점에서 자유학기제 정책의 등장과 전개 과정을 회고와 반성의 형태로 기술하였다. 첫째, 정책의 등장 과정, 둘째, 정책의 주요 내용, 셋째, 정책의 확대 과정, 넷째, 정책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자유학기제 정책의 실행 과정에서 대두된 주요 쟁점들을 회고하면서 분석하였다. 첫째, 진로교육 대 수업혁신, 둘째, 필기시험 폐지 대 유지, 셋째, 중학교 대 고등학교, 넷째, 절벽효과 대 연계효과의 쟁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자유학기제와 국어과 교육의 관계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자유학기제의 독서와 토론 수업의 강조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TAG 자유학기제, 수업혁신, 진로교육, 독서, 내부자적 관점, Free-semester Program, Class Innovation, Career Education, Reading, Insider`s Point of View
2030년 미래 국어과 교육의 방향 탐색
박재현 ( Park Jaehyun ) , 김종윤 ( Kim Jongyun ) , 옥현진 ( Ok Hyounj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3호, 38~68페이지(총31페이지)
미래 사회를 대비한 교육 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30년을 대비한 국어과 교육의 주요 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국어교육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전문가는 2030년 대비 국어과 교육에서 가장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세 가지씩 작성하여 회신하였으며, 연구자들은 공동 작업을 통해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 의견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수렴되었다. 첫째 국어 교육과정은 미래 가치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하며, 영역 통합적으로 변해야 한다. 둘째, 교사 역량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선발제도와 양성과정에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사용에 대해 보다 유연한 관점과 자세가 필요하며 교과서 개발 및 검정 체제의 경직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넷째, 실제적 수업, ...
TAG 미래교육, 미래 국어교육, 교사교육,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교육평가, Future Education, Future Korean Educati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토론 참여 방식과 활동 인식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대학생 참여자를 중심으로
김혜연 ( Kim Hyeyou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3호, 70~96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모둠 토론을 글쓰기의 수단으로서 활용하였을 때, 토론에 참여하는 방식과 활동의 효과에 대한 인식에 따라 글쓰기 활동의 궁극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38명의 대학생들이 5인 1조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 토론을 실시하고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개별적인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모둠 토론의 참여 방식은 토론자와 관찰자, 사회자로 역할을 구분하고 이를 임의 배정하는 방식이었으며, 참여 학생들은 모둠 토론을 마친 후 해당 논제에 대한 입장을 정하여 논증적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토론자와 관찰자의 입장에 따라 글 결과물의 질과 활동 효과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으며, 토론자/관찰자의 역할 차이 자체는 글 점수 및 활동 효과에 대한 인식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
TAG 대학 글쓰기, 토론, 글쓰기, 모둠 활동, 소집단, 역할, 작문 교육, Debate, Writing, Group Discussion, Small Group, Role, Writing Instruction, Text Quality
국어과 `수업코칭` 대화분석―수업 후 수업나눔 단계를 중심으로
진용성 ( Jin Yongseo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3호, 163~197페이지(총3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국어과 수업혁신을 위한 방안으로서, 수업코칭의 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수업코칭의 개념과 절차를 이론적 토대 차원에서 다루었다. 이는 3장에서 수업코칭의 대화를 분석하는 틀로서 적용 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대화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4장에서는 국어과 수업코칭 대화에 나타나는 질적인 특징을 거시적·미시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코치와 수업자 사이의 적극적인 쌍방향의 의사소통이 나타났다. 둘째, 수업나눔의 단계는 선형적이지 않고, 다양한 패턴과 유형을 보였다. 셋째, 수업코치의 공감적 듣기와 수업자의 자기노출의 실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G 국어교육, 수업코칭, 수업나눔, 대화분석, Korean Education,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haring, Conversation Analysis
토픽 모델링에 따른 고등학생 논설문의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분석
이슬기 ( Lee Seulki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3호, 136~163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산출한 고등학생 논설문의 응결성 지수와 응집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응결성 측정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응결성을 국지적, 포괄적, 글 전체 응집성으로 세분한 후 토픽 유사도로 응결 지수를 분석하였고, 결과 값을 교사 채점자들의 응집성 점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국지적 응결성 지수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는데, 문장 간의 유사도가 높은 글을 교사 평가자들은 내용 생성의 어려움을 겪는 글로 평가했다. 포괄적 응결성 지수는 교사 채점 결과와 유의하지 않았고, 글 전체 응결성 지수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교사 채점자가 인식하는 응집성 수준에 따라 글 전체에 드러나는 토픽의 유사도에 특정한 경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 응집성은 글 전체의 응결성과 유관하고...
TAG 응결성, 응집성, 응결 장치, 토픽 모델링, LDA, 기계 학습, 준 지도 학습, 텍스트 마이닝, RASCH 모형, 일반화 가능도, Cohesion, Coherence, Cohesive Device, Topic Modeling, Machine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Text Mining, Rasch Model, Generalizability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갈등에 관한 인식 양상 연구
김재봉 ( Kim Chaebo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2호, 5~39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Berko 등이 제안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갈등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탐색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은 갈등에 대해 “회피>통합>타협>경쟁>조화”와 같은 인식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Berko 등이 제안한 갈등 유형과는 별도로 “융합형”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둘째, 혈액형에 따른 인식의 양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 하지만 남녀 구별 없이 처리할 경우 인식의 양상은 “회피>통합>타협>경쟁>조화”와 같은 양상을 보인다. 셋째, 대화 시간과 갈등 반응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했을 때 대화시간이 많을수록 조화형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반응을 보였다. 넷째, 대화 형태와 갈등 반응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했을 때 토의형토론이 통합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인지적 측면에서는 일...
TAG 갈등, 갈등에 관한 인식 양상, Conflict, Patterns of Pre-service School Teachers` Conflict Recognition
「2015 교육과정」에 기반한 자유학기제의문법 교육 방향 설정
양영희 ( Yang Younghe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2호, 69~95페이지(총27페이지)
본 논의는 2016년부터 시행된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 문법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을 `교수·학습법`과 `교육 과정`의 측면에서 생각해 보았다. 문법은 원리와 규칙을 내면화 한 후에, 그것을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생각을 개진하였다. 먼저 문법 지식을 내면화하는 교수·학습법으로 `탐구학습`과 `하브루타 학습`을 제언하였다. 탐구학습은 문법의 학습법으로 이미 정착되었지만, 가설 설정과 검증 등의 과정이 문법 교육에는 맞지 않음에 주목하여 `관찰- 분석- 판단`으로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이렇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모둠 토론을 하면서 협력 학습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비하여 하브루타 학습은 `친구와 함께 협력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면서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가는 방식`으로 짝에게 질문하거나...
TAG 자유학기제, 문법 교육, 탐구학습, 하브루타 학습, 학생 활동, 융합(연계), Free-learning Semester, Grammar Education, Inquiry Learning, Havruta Learning, Student Activity, Convergence (Integration)
학습자 중심의 요약하기와 바꿔쓰기 교육 ―대학생 글쓰기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공성수 ( Kong Soungsu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7] 제52권 제2호, 128~175페이지(총48페이지)
요약하기(summary)는 주어진 자료를 압축해 핵심적인 정보를 정리하는 글쓰기의 기술이며, 바꿔쓰기(paraphrase)는 그 내용을 재구성해 자신의 언어로 풀어내는 고도의 전략을 의미한다. 그러나 요약하기와 바꿔쓰기가 글쓰기의 기술이나 전략으로만 끝나지는 않는다. 대상 자료의 정보를 위계적으로 구조화하고 일반화하며 재구성하는 능력은 고차원의 인지 능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요약하기와 바꿔쓰기는 학생들의 자료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원(原)자료를 새로운 맥락과 연결하고 종합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전략이 될 수 있다. 자료에 대한 기계적인 해독(解讀)이나 피상적인 독서에서 벗어나 보다 심화된 이해와 분석을 가능케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에서 탈피해, 자기주도적 과제활동을 통해 학생 스...
TAG 요약, 바꿔쓰기, 자료 기반 글쓰기, 작문교육, 교수법, summary, paraphrase, sourc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 leaner-centered education, cognitive abil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