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10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심청전>에 나타난 설득 담화 양상 연구 ―표현교육의 제재로서 ‘신재효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주재우 ( Joo Jaewoo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2호, 175~204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심청전>에 나타난 설득 담화 양상을 분석하고 그 전략과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고전 작품을 통한 표현교육의 확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청전> 이본 중 신재효본을 완판본과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청과 심봉사의 설득 담화에서는 부녀지간의 특수성을 고려한 설득 전략이 드러나 있다. 설명적 예시를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며 이것들과 비교를 통해 청자의 부담감을 줄이려는 표현 전략으로 활용되었다. 심청과 장승상 부인의 설득 담화는 완판본에만 나타나 있고, 신재효본에는 나타나 있지 않는데 극적인 효과 대신 현실적 합리성을 택했다고 볼 수 있다. 심청과 황제의 설득 담화는 공적인 상하관계에서 비자발적인 발화로 시작하여 돌려 말하기를 통해 요청하기를 수행하는 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서사의 합리성을 갖춘 신재효본에 대한 평가...
TAG 심청전, 설득 담화, 설득 전략, 이본, 신재효본, 표현교육, Shimcheongjeon, 沈淸傳, Persuasion Conversation, Persuasion Strategy, Version, Shinjaehyobon, 申在孝本, Expression Education
통일 과도기 ‘남북한 공통 국어’ 과목의 성격 및 목표
강보선 ( Kang Bosu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5~30페이지(총26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통일 과도기’에 남북이 공통으로 사용할 ‘남북한 공통 국어’ 과목(이하 ‘공통 국어’)의 성격과 목표를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공통 국어’의 속성을 첫째, 남북한의 언어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를 추구하는 과목, 둘째, 서로의 언어문화에 대한 상호 존중 및 배려의 태도를 형성하는 과목, 셋째, 남북한 언어문화의 통합을 지향하는 과목, 넷째, 남북한 국어교육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보완하는 과목으로 보고, 이를 종합하여 ‘공통 국어’의 성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통 국어’의 목표를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설정하였다. 지식의 측면에서는 남북한 언어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 기능의 측면에서는 남북한 사람들 간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정확하고 적절하게 국어를 사용하는 것, 태도의 측면에서는 상대방의 언어문화를 존중하고 배...
TAG 통일 과도기, 남북한 공통 국어 과목, 공통 국어, 언어문화, 언어문화 통합, Transition Period to Unification, Inter-Korean Common Korean Language Course, Common Korean, Language Culture, Unification of Language Culture
가치 평가적 사유로서의 공감을 위한 현대시교육 방향 연구
문선영 ( Mun Sunyeo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31~68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공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추세와 공감의 교육 필요성에 대한 요구에 기반하여 현대시교육에서의 공감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공감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 개념이지만 대체로 공감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이에 공감을 지식과 유사하게 상황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로 보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또한 공감의 개념과 특성을 검토할 때 이질성에 대한 수용의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독자 중심의 동일성에 따른 감정이입의 방식으로 활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누스바움(M. C. Nussbaum)의 논의에 근거하여 공감을 가치 평가적 사유로 규정하였다. 누스바움은 감정을 비합리적인 인식으로 보는 선입견을 반박하며, 감정이 지닌 합리성의 특징과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감정은 주...
TAG 현대시교육, 공감, 공감 교육, 서사적 상상력, 가치 평가, Education of the Modern Poetry, Sympathy, Sympathy Education, Narrative Imagination, Value-Evaluation
‘어휘 개념에 대한 메타적 인식’ 교육에 대하여
신명선 ( Shin Myungsu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69~105페이지(총37페이지)
본고는 ‘어휘 개념에 대한 메타적 인식’을 교육적으로 개념화하고 그 교육적 의의와 함의를 다루었다. 어휘 개념에 대한 메타적 인식은 ‘어휘 개념 그 자체에 대한 명시적인 지식, 의도적인 주목과 사고 기능, 그리고 의식적인 자각과 민감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어휘 지식, 어휘 개념에 대한 사고 기능(word set, word net), 어휘 개념을 점검하고 성찰하려는 태도로 구성된다. 이 활동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다. 어휘 개념에 대한 주목을 통해 어휘 및 언어에 대한 여러 지식을 쌓게 하고, 어휘 개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개념을 성찰하고 점검하려는 긍정적, 적극적 어휘 태도를 기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비교, 변별 등의 사고력을 키울 수 있으며 사회적 실천 행위(social practice action)를 수행...
TAG 어휘 개념, 어휘 개념에 대한 메타적 인식, 사고력, 언어 인식, 어휘 인식, 사회적 실천 행위, 인문학적 통찰력, Vocabulary Concepts, Meta-Awareness of Vocabulary Concepts, Thinking Skills, Language Awareness, Vocabulary Awareness, Social Practice Action, Humanistic Insight
북한 국어 교과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의 ‘원쑤’의식화 교육 내용분석
엄인영 ( Uem Inyou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107~154페이지(총48페이지)
북한 국어 교과서는 김일성 교시인 ‘사회주의 교육테제의 정치사상 교양 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중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정치사상 교양 교육의 네 가지 요소 중 하나로, ‘원쑤’에 대한 분노와 증오, 투쟁 정신을 갖도록 의식화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 연구는 북한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계급주의 교양 교육을 위한 ‘원쑤’의식화 교육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통일 시대 국어교육을 위한 전환의 관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학교 교과서는 삽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령기 아동에게 부적절한 그림이나 사진이 많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북한 국어 교과서의 ‘원쑤’는 ‘미국, 일본, 남한, 제국주의, 지주자본가, 봉건지배자, 악독한 동물’로 표현되었다. 이들 ‘원쑤’는 당시 역사적 상...
TAG 북한 국어교육, 계급주의 교양 교육, ‘원쑤’의식화 교육, 적개심, 전환의 관점,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Enemy and Classical Cultivation Education, ‘Wonsu’ Consciousness Education, Hostility, Finding a Point of Transition
2018년 국가수준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장지혜 ( Jang Jihye ) , 서보영 ( Seo Boyoung ) ,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155~204페이지(총50페이지)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인구 분포 통계를 활용한 2단계 층화 표본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였다. 영역별 평균 원 점수는 쓰기 영역이 121.61(250점 만점)을 보였다. 조사 대상 국민의 평균적인 쓰기 능력은 2수준에 해당하며, 특히 2수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9.6%여서 전반적인 쓰기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TAG 쓰기 능력, 쓰기 평가, 쓰기 수준, 쓰기 교육, 국어 능력, 국어 능력 평가, 국가수준 국어 능력 평가, Writing Ability, Writing Assessment, Writing Level, Writing Education, Korean Language Ability, Assessment of Korean Writing Ability, National Assessment of Korean Writing Ability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고소설 이본(異本) 비교 교육방안 연구 ― 「남창 춘향가」,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
정보배 ( Jeong Boba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205~23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 고소설 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고소설 이본 비교 교육’을 제안하며, 이의 구체적 교육 방안을 마련해보았다. 핵심 역량의 대대적 도입과 강조에도 불구하고, 실제 6개의 국어과 교과 역량과 선택과목 ‘문학’ 성취기준과의 대응은 불명확했으며, 문학 교과서 내의 고전 작품 역시 이전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같이 특정 영역에 편중된 배치를 보여 고전문학을 통한 핵심 역량의 함양이 쉽지 않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고는 「춘향전」의 두 이본을 중심으로 기존 6개의 역량과 고전문학의 관련성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여 이본 비교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본 비교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미래사회에서의 핵심 역량인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높이고, 인간 이해의 깊은 시각...
TAG 핵심 역량,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소설 교육, 고소설 이본, 「열녀춘향수절가」, 「남창 춘향가」, 「춘향전」, 고소설 독자, Core Competences,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ternative Works of Korean Classical Novels, 「Chunhyangjeon」, 「Yeolneochunhyangsujeolga」, 「Namchang-Chunyhangga」, Korean Classical Novel Readers
‘남북한 공통국어’ 교육 내용 선정의 쟁점과 과제 ―초등 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진선희 ( Jin Sunhee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237~264페이지(총28페이지)
통일국가 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남북한 공통국어’ 교과를 상정하고 그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으며 초등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그 내용 선정의 쟁점과 과제를 탐색하였다. 우선 ‘남북한 공통국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통일국가시대 국어교육의 방향으로 네 가지 강조할 역량을 설정하였다. 우리말글 공동체로서 새 문화 창조를 위한 역량으로 ‘창의적 사고역량’, ‘평화역량’, ‘상호문화역량’과 남북의 문화충돌 완화를 위한 국어능력으로 강조되어야 할 ‘통일역량’을 설정하였다. ‘공통국어’의 초등 문학 교육 내용 선정의 쟁점과 과제로 강조되어야 할 네 가지 역량의 초등 국어교육적 편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 아동문학 제재 선정의 쟁점과 과제, 아동문학 장르 용어 및 문학교육 용어의 문제, 문학 교육 내용 영역 설정의 문제와 해결 방향을 탐색하였다.
TAG 통일시대, 남북한 공통국어, 평화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상호문화적역량, 통일역량, 문학교육, 아동문학, Unification Era, Common Korean Language of South & North, Creativity Capacity, Peace Capacity, Intercultural Capacity, Literature Education, Children’s Literature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텍스트 수정 방법 분석 연구
진정 ( Chen Jing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265~292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중국어권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텍스트 수정 방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결과, 어휘 차원에서 학습자의 수준보다 등급이 높은 어휘에 대해 삭제하기, 등급이 낮은 어휘로 대체하기로 수정하였다. 이는 언어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어려운 어휘에 대해 학습자의 수준과 어휘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수정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문장 측면에서 문장 길이가 길 때 문장을 합치기와 의미 비슷한 단문 삭제하기로 문장 길이를 줄였다. 또 문장 구조가 복잡할 때, 수식어 줄이기, 복문을 단문으로 바꾸기, 어려운 문법 항목을 쉬운 문법 항목으로 대체하기로 수정하였다. 텍스트 구조 차원에서 접속 부사를 추가하기, 마무리 문단 추가하기, 구체적인 명사로 바꾸기, 지시 대명사 추가하기로 수정하였다. ...
TAG 한국어 교재, 텍스트 수정 방법, 어휘, 문장, 텍스트 구조, 텍스트 내용, Korean Textbook, Text Modification, Vocabulary, Sentence, Text Structure, Text Content
‘남북한 공통국어’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방향
최미숙 ( Choi Meesook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20] 제55권 제1호, 293~321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통일 직후 과도기에 남북이 각각 기존에 적용하던 ‘국어’ 과목으로 교육을 하면서 동시에 추가로 적용할 ‘남북한 공통국어’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남북한 공통국어’는 남북한 공존의 삶을 모색하며 기초적인 소통방식의 교육을 지향하는 과목이다. 교육과정 개발 방향으로는 남북한 언어·소통 방식·문화 등의 동질성뿐만 아니라 이질성 또한 다루자는 점, 통일 직후 과도기에 특화된 내용을 선별하여 편성하자는 점, 일상생활에 필요한 실질적인 언어활동을 강조하되 그것이 생성된 문화의 측면을 함께 다루자는 점, 감정·느낌·정서 등의 공유를 위해 문학교육을 강조하여 다루자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교과서 개발 방향으로는 주제 중심·프로젝트 중심 단원 구성, 표현방식이나 이해 방식의 공통점·차이점과 그러한 사회문화적 배경이 되는 맥락...
TAG 통일, 과도기, 통일 과도기, 남북한 국어교육, ‘남북한 공통국어’ 과목, 동질성, 이질성, 공존, Unification, Transition Period, The Transition Period after Unifi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Common Korean Language in South and North Korea” Subject, Homogeneity, Heterogeneity, Coexiste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