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중국학연구회148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현대중국어 ‘파(把)+개(个)+NP+VC’ 구문의 화용 연구
이나현 ( Lee Na-hyu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73~96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把+个+NP+VC’ 구문이 어떤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전형적인 ‘把’자문과의 차이를 바탕으로 고찰해 보았다. ‘把+个+NP+VC’ 구문이 갖는 변별적인 특징은 강세가 ‘个’ 뒤의 ‘NP’에 고정되어 있으며 주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태보어 형식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는 ‘个’ 자체가 ‘예상 밖’, ‘놀람’을 나타낸다고 보았지만 본고는 ‘个’가 뒤에 출현하는 ‘NP’에 윤곽화를 부여하는 윤곽화 표지로 보았다. 화자가 자신의 경험지식과 다른 결과에 대해 그 대상에 현저성을 두어 청자에게 전달해 청자 역시 화자와 동일한 감정을 느끼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과의 대상에 현저성을 부여하고자 할 때는 예상 밖의 상황이거나 예상했던 상황이든 상관없이 ‘把+个+NP+VC’ 구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저성을 부여...
TAG ‘ba+ge’, 윤곽화, 화용 기능, 구문문법, 화용 표지, ‘把个’, 突出, 语用标记语, 语用功能, 构式语法, Profiling, Construction grammar, Pragmatic Function, Pragmatic marker
중국의 언어 자원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고찰
민경만 ( Min Kyung-ma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97~134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언어 자원과 언어 자원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 의의(意义)를 분석하였다. 「중국 언어 자원 음성 데이터베이스」(中国语言资源有声数据库)는 중국의 국가 언어 자원 건설 프로젝트 중 하나로 현대 정보 기술을 사용하여 언어 자료를 데이터센터, 인터넷, 박물관 및 언어 연구소 등의 형태로 학계와 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이다. 「중국 언어 자원 보호 프로젝트」(中国语言资源保护工程)는 국가가 재정을 지원하고, 중국 교육부와 국가 언어문자 공작 위원회(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가 지도, 시행하는 대규모 언어문화 국가사업으로서 전국적인 언어 및 방언 조사 프로젝트이다. 오늘날 중국의 언어 자원은 풍부함과 멸종위기라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중국은 다민족, 다언어, 다문화 국가로서 다양한 민족 집단의 언어 발전과 유지가 매우 고...
TAG 언어 자원, 중국 언어 자원 음성 데이터베이스, 中国语言资源有声数据库, 중국 언어 자원 보호 프로젝트, 中国语言资源保护工程, 언어 정책, 언어 보호, Language resources, The Chinese language audio database resources, Project for the Protection of Language resources of China, Language Policy, Language protection
『삼국연의(三國演義)』 관우(關羽)형상 서사 고찰
남덕현 ( Nam Duk-hyu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137~162페이지(총26페이지)
중국에서 관우는 신(神)으로 떠받들어지고 있다. 『삼국연의(三國演義)』에서 뛰어난 용맹을 지닌 의인 형상이 조성되었기에 이런 이미지를 거쳐 후일 관우는 신이 될 수 있었다. 소설의 서사구조를 통해 관우의 의인 형상은 중국의 보편적 민족정서에 부합하는 의인을 넘어 유가적 이미지를 지닌 의인 모습을 갖추게 되고, 관우의 용맹은 영웅적 이미지를 갖춘 영웅적 용맹으로 단장되게 된다. 관우 형상을 위한 서사의 주요 내용과 목적은 바로 영웅적 용맹을 지닌 유가적 의인 이미지 조성이었던 것이다. 이런 용맹스런 유가적 의인형상 조성을 위한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면, 영웅적 용맹 창출을 위해 하나의 이야기 속에 직접 서술을 한 단편적 서사와, 한 단락씩의 단편 이야기를 큰 이야기 틀 속에서 이어가며 서술한 장편 서사가 있다. 유가적 의인 형상 창출을 위해 유가적 면모를 직...
TAG 關羽, 關羽형상, 『三國演義』, 서사, 關羽신격화, GuanYu, GuanYu Image, The novel 『SanGuoYanYi』, narration, GuanYu Deification
청대 여시인 서소화(徐昭華)의 『서도강시(徐都講詩)』 제재(題材) 고찰
윤혜지 ( Yun Hye-ji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163~197페이지(총35페이지)
이 논문은 청대 여시인 徐昭華의 작품집 『徐都講詩』의 題材를 고찰한 논문이다. 서소화는 자신의 문학적 재능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명성을 얻은 여성 시인으로, 청대 경학자 毛奇齡을 스승으로 삼은 최초의 여제자이기도 하다. 그녀의 시작품은 규방을 넘어서는 인생에 대한 통찰과 六朝體의 문학창작으로 당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남겨진 작품은 120수 정도로 그 중 『徐都講詩』에 그녀의 시 82수가 남아 있다. 『徐都講詩』은 스승 모기령의 문집 『西河集』뒤에 실려 있는데, 그녀의 초기 시를 수록하고 있다. 양호한 가정환경에서 전문적으로 詩를 배우고, 스승까지 두었던 여성작가의 출현은 중국 여성시의 성숙을 보여줄 뿐 아니라 본격적인 여성시문학의 출현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그 가치가 있다. 『徐都講詩』의 제재는 크게 擬古, 思親懷友, 遊覽, 閨怨, 詠史 5가지로 나눌 ...
TAG 청대여성시인, 徐昭華, 徐都講詩, 毛奇齡, 여제자, 清代女詩人, 女弟子, Female Poets in Qing Dynasty, Xu Zhaohua, Mao Qiling, 『Xu du jiang shi』, Female disciple
감성분석과 딥러닝을 적용한 재중동포 서신 빅데이터 분석
김현희 ( Kim Hyon Hee ) , 조진남 ( Jo Jinnam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201~230페이지(총30페이지)
본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재중 동포 서신 빅데이터에 적용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인문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서신 빅데이터는 1974년도에서 2008년도까지 진행된 KBS 한민족 방송 가족 찾기 프로그램으로 발송된 재중 동포 서신 약 8만 여 통이다. 서신의 주 내용은 고향에 있는 가족을 찾는 내용이지만,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둔 것은 중국과의 공식 수교가 단절되었던 시기에 재중 동포의 삶과 문화를 서신으로부터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8만 여통의 서신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감성 분석, 딥러닝, 그리고 설명가능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서신 내용을 분석하였다. 감성 분석은 서신에 등장한 형용사만 추출하여 긍정 형용사와 부정 형용사로 나눈 다음, 텍스트의 내용이 긍정적인 내용인지 부정적인...
TAG 재중동포 서신 빅데이터, 감성분석, 설명가능 인공지능, 로컬 대리 분석, 인공지능과 인문학 융합, Correspondence Big Data, Sentiment Analysis,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Local Surrogate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ities
말레이시아 화문교육에서 지식인의 역할 -임연옥(林連玉)(1901-1985)의 생애를 중심으로-
김주아 ( Kim Ju-a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231~259페이지(총29페이지)
본 논문은 ‘모국어에 의한 민족교육’을 사수하면서 말레이시아 화문교육계의 영웅으로 떠오른 林蓮玉의 일대기를 통해 말레이시아 화문교육의 정착과 그 과정에서 당대 지식인의 역할 및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말레이시아의 화인사회는 중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을 제외하면, 해외에서 유일하게 초등학교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화문학교(華校)’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다. 소수종족인 중국계 후손(華裔)이 모국어(華語)를 교수언어로 하는 민족교육의 체계를 갖추기까지는 말레이시아 당국의 정책적 지원도 있었지만, 이러한 정책적 지원을 끌어낸 화문 교육계의 노고가 있었다. 이처럼, 말레이시아가 화문교육의 메카로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林連玉을 비롯한 지식인들의 공헌이 있었다. 수백 년의 화교 역사에서 이들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낙엽귀근(落葉歸...
TAG Lim Lian Geok, 말레이시아, 화교·화인, 화문교육, 지식인의 역할, 林连玉, 马来西亚, 华侨华人, 华文教育, 知识分子的作用
『마씨문통(馬氏文通)』의 전통 언어학 계승 양상 고찰
김혜영 ( Kim¸ Hae-you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0] 제94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마씨문통』은 서양의 문법론을 적용하여 중국인이 저술한 최초의 중국어 문법서로, 중국 언어학사에서 현대 중국 언어학, 중국 문법학의 시발점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한편, 『마씨문통』은 고대 중국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전통 언어학과도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전통언어학과 서양의 문법론을 연결 짓는 접합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마씨문통』의 전통언어학 계승양상을 세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최초의 문법서가 저술되기까지 저자 마건충이 전통 언어학에 가진 문제의식을 고찰한다. 둘째, 『마씨문통』의 품사론, 통사론을 구성하는 개념어 가운데 전통 언어학의 용어를 활용한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예문 분석에서 인용한 허사 연구서, 경전 주석서 혹은 경학연구자의 주장에 대한 『마씨문통』의 수용 양상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
TAG 『마씨문통, 馬氏文通, , 마건충, 馬建忠, 품사론, 고대중국어, 소학, 小學, Mashi WenTong, MaJianZhong, Chinese tranditional liguistics, Chinese grammar, Chinese part of speech
再论“把”字句的语义特征
남여명 ( Ryomyong Nam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0] 제94권 29~47페이지(총19페이지)
‘把’자문은 중국어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형이다. 모국어 화자가 습득하고 사용하는 것은 전혀 어렵지 않지만 중국어 학습자에게는 학습은 물론 활용에도 어려움이 많다. 문장 구성도 쉽지 않지만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류도 많이 발생한다. ‘把’자문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에 대해 학계에서 오랜 기간 연구를 해왔지만 아직도 통일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는 ‘把’자문 의미의 복잡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각도에서 把’자문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把’자문이 어떤 의미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把’자문에서 사용되는 술어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어 학습자들이 느끼는 把’자문의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밝히고 이를 극복할 해법을 찾아볼 것이다.
TAG ‘파’자문, 처치식, ‘파’자문 술어, ‘파’자문의 의미특징, ‘파’자문 교육, “Ba” sentence, Disposal style, “Ba” sentence verb, “Ba” sentence semantics, teaching of “Ba” sentence
河南方言使用现状调查及展望
陈娟 ( Chen¸ Juan ) , 罗敏球 ( Na¸ Mingu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0] 제94권 49~80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하남성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언의 사용 상황을 조사하고 검토하였다. 우선 하남 방언을 중심으로 했던 사회언어학연구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의미를 밝히었다. 그 다음 설문 조사의 형식을 통해 현재 거주지、연령、교육정도 등 기준으로 사용 장소、교류대상、언어 태도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남방언과 보통화의 사용 현황 및 하남방언 사용자들의 언어태도를 진단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통화와 방언의 우열은 사용 환경 및 사용 집단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 그리고 방언사용자 비율이 교육 정도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방언을 사용하는 비율이 낮았다. 같은 방언을 사용하는 대상자와 교류할 때에도 보통화를 쓰는 현상은 일상 언어 환경이나 언어습관 때문일 수 있지만, 보통화의 영향을 받아 방언 사용율이 감소하였을 것이...
TAG 하남 방언, 보통화, 사용 상황, 언어태도, 미래 전망, Henan Dialect, Mandrain, Usage status, language attitude, Future development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국 파워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개발 -데이터 정의, 수집 및 데이터 품질 유지 문제-
이희정 ( Lee¸ Heejeong Jasmine ) , 정태진 ( Chung¸ Tae Ji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0] 제94권 83~111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정치, 경제, 사회 엘리트 데이터베이스를 웹기반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소셜네트워크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중국 엘리트의 자료는 학력, 경력, 가족관계, 저작, 업적 등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엘리트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계를 계산,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해 엘리트 간에 상호 어떻게 연결 되어 있나 도식화 할 수 있는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분야별엘리트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회적인 혹은 개인적인 관계가 있는 엘리트들을 입력, 갱신, 삭제 및 조회할 수 있다. 관계 데이터는 소셜네트워크 내에서 두 개인을 연결하는 일련의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수집되고 처리되어, 두 사람을 연결하는 경로를 도식화하여 표시 할 수 있다. 시스템의 사용자는 원하는 개체에 도달하기 ...
TAG 중국엘리트, 파워엘리트, 소셜 네트워크분석, 중국엘리트 데이터베이스, Chinese elite, Power elite, Social network analysis, Chinese Elite Databas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