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중국학연구회148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공(空)’자(字)와 그 동원자(同源字)에 대한 훈고(訓詁) 및 관련 한자(漢字)의 자형자의(字形字義)에 대한 천석(闡釋)
이경숙 ( Lee Keoung-suk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9] 제87권 121~151페이지(총31페이지)
‘空’은 시문학 작품 속에서 고독하다거나, 허무하다는 의미 혹은 울적하고 답답한 마음을 표현하기도 하고, 텅 비고, 맑고 깨끗한 경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空’은 孤獨, 虛無, 凄凉, 寂寞, 맑고 깨끗함, 하늘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며, ‘空’에 담긴 풍부한 의미로 인하여 연구자마다 주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이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空’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 同源字와 관련 한자들의 字 形字義에 대한 분석과 訓詁를 하였다. ‘空’字, ‘孔’字, ‘好’字, ‘殼’字, ‘穀’字, ‘款’字, ‘窾’字 등 ‘空’의 주요 同源字들의 字形字義를 통하여 구멍, 텅 비다, 가득하다, 착하다, 아쉽다, 돈 등 관련 의미 항목들이 점차 확장되면서 그 의미들이 유기적인 연속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聲部가 같...
TAG 하늘, 구멍, 텅 빈, 가득한, 착하다, Sky, hole, Empty, full, good
중국어 ‘V-래(來)’+장소구의 어순변천 현상과 재분석 해석-동사낙(落)/지(至)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혁재 ( Park Hyuk-jae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9] 제87권 153~183페이지(총31페이지)
본고는 ‘동사(V)-來’와 장소구(LocP, L)가 결합한 구의 어순변천 현상을 사례를 기초로 확인하고 구조의 재분석(reanalysis)으로 해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어휘 來의 의미나 기능의 변화로 어순변천을 해석하였으나 어순과 같은 구의 구조적인 변화를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고는 동사 落/至가 쓰인 역대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V來L에서 VL來로 어순이 대체되는 통시적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후 落/至를 비롯한 동사들이 來와 함께 구성하는 V來L VL來어순은 근본적으로 부가어가 붙은 VP의 계층구조에서 [[V1來 DP] LocP] 로부터 [V1來 LocP]로의 재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장소구가 V의 보충어, 전통문법의 목적어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來가 동사에서 방향표지로 범주변화가 일어나는 경우, 포합(i...
TAG V-來+장소구 어순변천 落-來 至-來 재분석 포합, V-lai-LocP Word-order-change Luo-lai Zhi-lai Reanalysis Incorporation
중국어 성모 조음 방법 설명 모형 연구
유재원 ( Yoo Jae-won ) , 한문정 ( Han Mun-jeo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9] 제87권 185~21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정확성과 적절성을 두루 갖춘 중국어 성모 조음 방법 설명 모형을 찾아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확성은 (중국어) 음성학 관련 논저에 제시된 자음 음소의 조음 방법 설명에 기초하였으며, 정확성과 적절성의 접점을 찾기 위하여 32종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의 조음 방법 설명 내용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은 설명 모형을 제시하였다. 첫째, 파열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밀착하였다가 이탈시키면서 기류를 약하게(무기음) 혹은 강하게(유기음) 탈출시키면서 발음한다. 둘째, 비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기류를 비강으로 흘려보내다가 능동부를 수동부로부터 이탈시키면서 발음한다. 셋째, ‘틈’ 형 마찰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살며시 접촉시킨 채 기류를 강하게 탈출시키면서 발음하고, ‘홈’ 형 마찰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거의 접촉할 정도로 접근...
TAG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성모, 조음 방법, 모형, High School, Standard Chinese, Textbooks, Consonants, Manner of Articulation
강주아오 대교의 건설과 마카오 경제발전 전망
이정우 ( Lee Jeong-woo ) , 오정현 ( Oh Jung-hyu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9] 제87권 221~252페이지(총32페이지)
교통 인프라 건설은 지역경제 발전 및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인프라 공사기간에 이루어지는 직접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 완공 후에 발생하는 각종 비즈니스 기회 등 간접적 효과가 있다. 강주아오대교의 개통은 마카오는 물론 범 주강 삼각주 전 지역의 도시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대교는 주강 하구의 동서를 육로로 잇고, 주강 삼각주 벨트를 하나의 원으로 완성하여, 마카오, 홍콩, 주하이는 물론 주강 삼각주 벨트 여타 도시와 서로 경쟁과 협력을 통하여 산업 구조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대교 건설로 마카오 특별 행정도시가 주강 삼각주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확인하고, 마카오와 ‘범 주강 삼각주 경제권’의 발전 추이를 예의 주시하며 전략적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국 중앙정부와 지...
TAG 마카오, 주강 삼각주, 강주아오 대교, 경제 효과, 경제 지리학적 관점, Macao, Pearl River Delta, Gangzhuao-bridge, economic impact, economic geographical point
「의행로난(擬行路難) 18수(首)」 압운(押韻) 분석(分析)을 통한 칠언시(七言詩) 발전사(發展史)에 있어서 포조(鮑照) 칠언시(七言詩)의 의의(意義) 고찰(考察)
지세화 ( Chee Se-hwa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8] 제86권 3~2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포조 칠언시 중 「의행로난 18수」의 압운을 분석하여, 칠언시 발전사에서 포조의 칠언시 창작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근거는 王力의 근체시와 고체시의 用韻 이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의행로난 18수」 모두 ‘격구압운’을 했고, 유형별로는 ‘一韻到底(3수)’, 全篇 ‘通韻(6수)’, 부분 ‘通韻(8수)’, ‘轉韻(9수)’였다. 둘째, ‘일운도저’한 총 3수 중 2수, 전편 ‘통운’한 시 총6수 중 2수, ‘전운’한 총 9수 중 모든 시가 首句 혹은 전운한 첫 구에 ‘奇句押韻’을 했다. 셋째, ‘전운’한 시는 불규칙한 換韻을 하여 古詩의 성격을 보였지만, 近體詩 平仄을 사용한 律句도 상당수 사용하여, 과도기적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칠언시 발전사의 측면에서, 포조의 칠언시 창작...
TAG 擬行路難 18首, 隔句押韻, 一韻到底, 通韻, 轉韻, 擬行路難十八首
왕창령(王昌齡)의 폄적(貶謫) 체험과 시적 정서
양충열 ( Yang Chung-yeol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8] 제86권 27~56페이지(총30페이지)
이 논문은 성당시기 왕창령의 폄적 경험과 폄적 이후 그의 시가에 나타난 시적 정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고대 문인들은 관직에 나아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현실정치의 길은 늘 순탄하지만은 않아서 시대에 따라 부침이 있고 때를 잘못 만날 경우 뜻하지 않게 죄목을 얻어 관직을 낮추거나 박탈당한 체 멀리 외지로 폄적되는 일도 있었다. 당대에 들어서면 문인들이 폄적되는 사례가 이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성당시기 왕창령 역시 두 번의 폄적을 경험하는 불우한 정치인생을 살아야 했다. 제2장에서는 그의 30년 관직생활 가운데 약 10년간의 영남 폄적과 용표 폄적의 생활을 겪어야 했던 그의 불우한 정치인생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두 차례의 폄적 기간 동안 지었던 그의 시가 작품 속에 반영된 그의 시적 정서를 처량함과 외로...
TAG 폄적, 시적 정서, 처량함과 외로움, 회재불우, 입세 지향, 탈속과 해탈, 貶謫, 詩的情緖, 凄凉孤獨的心境, 懷才不遇, 入世志向, 脫俗和解脫
曉瑩 『羅湖野錄』中所保存佚文及其評說-以「禪本草」、「炮炙論」爲中心
黃敬家 ( Huang Jing-jia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8] 제86권 57~73페이지(총17페이지)
효영(曉瑩)의 『羅湖野錄』중에는, 혜일문아(慧日文雅)의 「禪本草」와 담당문준(湛堂文準)의 「炮炙論」이 기록되어 있다. 이 두 문장은 송대(宋代) 기타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오직 『羅湖野錄』에만 보인다. 전자는 『本草』의 격식을 모방하여「선(禪) 」을 약에 비유해 선수(禪修)의 효능을 설명하고, 후자는 포제(炮製)의 방법을 모방하여 선약(禪藥)의 수련 방법과 순서만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주로 『羅湖野錄』 이후의, '「禪本草」·「炮炙論」의 원문의 유전(流傳)과 변화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禪本草」는 명대(明代)에 『韋弦佩』, 『佛祖綱目』 중에 아직 그 완본이 존재했으나, 원중도(袁中道)가 맥락 없이 함부로 모방하고 전사하여 「禪門本草補」를 지은 이후, 『五朝小說』, 『重校說郛』 는 「禪門本草補」를 곧 잘못「禪本草」로 혼동하였다. 다행히 청대(...
TAG 『나호야록』, 「선본초」, 「포자론」, 산실된 글, 송대, 『羅湖野錄』, 「禪本草」, 「炮炙論」, 佚文, 宋代, "Luo Hu Ye Lu", “Chan Ben Cao, ” “Pao Zhi Lun”, Lost Essays, Song Dynasty
중국 고대 여성사(女性詞)에 드러난 여성담론의 사적(史的) 고찰
윤혜지 ( Yun Hye-ji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8] 제86권 75~10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고대문학에 존재하는 여성작가의 詞작품을 史的층위에서 연구함으로써 각 시대별 女性詞라는 범주적 맥락이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창작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주변문학으로써 그녀들의 사 작품이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궁중 후비로부터 시작된 당·오대 여성사는 대체적으로 사를 한번 써 보는 단계에 있었다. 내용도 왕의 간택을 기다리거나 여성의 곡선미에 대한 묘사로 대상화된 여성 형상을 그려내는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다 당 말기 女道士의 출현으로 사는 가창을 위한 가사에서 정서를 토로하는 사의 창작으로 변모해 간다. 여성담론이 사를 통해 본격적으로 드러났던 시기는 송대이다. 유가적 家法의 발달로 억압받는 규수들이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고, 기녀들이 남성과의 문화교류를 위해 사를 짓고, 북방세력의 침략으로 많은 여성들이 전란의 고...
TAG 중국 여성문학, 중국 고대여성 詞, 역사적 관점, 여성주의, 고대 여성詞의 담론, 中國女性文學, 中國古代女性詞, 歷史觀点, 女性主義, 古代女性詞的談論, Chinese female literature, Chinese female writers, Ci, , female writers’ Ci(詞), Historical review
청대의 소설 및 소설대여에 대한 규제 - 중앙정부의 금령을 중심으로
이지한 ( Lee Ji-ha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8] 제86권 107~144페이지(총38페이지)
청대에 소설을 금하는 황제의 교지로 내려진 중앙정부의 금령은 소설만을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았다. 소설 자체에 대한 규제에서 점차 소설의 생산 및 유통으로 그 범위를 넓혀나갔다. 송이래 흥성하기 시작한 민간출판업(書坊)이라는 하드웨어는 장회소설이라는 콘텐츠를 만나 비약적인 성장을 한다. 그 결과 명 가정연간에서 청 중엽까지 소설 출판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러한 현실과는 달리 만주족 정권유지를 위해 사상통제를 강화하던 청조로서는 소설의 확산이 달갑지 않았다. 소설의 淫詞와 不經은 정권유지를 위해 제거해야할 위해요소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조는 정권초기의 소설에 대한 관대함을 거두고 법제화의 특징을 띠는 소설 관련 금령을 장기간에 걸쳐 수시로 반포한다. 그 대상 역시 소설뿐만이 아니라 소설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는 서점과 세서포 등으로 범위를 넓혀 나갔다...
TAG 성지, 문화정책, 소설금령, 소설대여업, 세서포, 聖旨, 文化政策, 小說禁令, 小說租賃業, 稅書鋪
한역본(韓譯本) 『텬로력뎡』 시가(詩歌)의 토착화 번역양상 연구
오승일 ( Oh Seung-il ) , 오순방 ( Oh Soon-ba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18] 제86권 145~173페이지(총29페이지)
이 논문은 한역본 『텬로력뎡』에 나오는 詩歌 23수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텬로력뎡』에 나타난 번역양상과 번역 특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한역본 『텬로력뎡』에 나오는 23수의 詩歌는 영어원작에 나오는 詩歌 20수 중에 18수가 번역되었고, 官話譯本 33수와 文言譯本 32수의 시가 중에서 다섯 수가 번역되어 이들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것이다. 네 가지 텍스트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역본 『텬로력뎡』에 나오는 詩歌의 배열순서는 영어원작의 시가에 맞추어 번역 배치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韓譯本의 詩歌 23수 중에서 18수가 영어원작의 배열순서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韓譯者가 詩歌를 배열할 때 영어원작의 수량과 순서에 입각하여 詩歌를 번역하고 편집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내용면에 있...
TAG 한역본 『텬로력뎡』, 존 번연의 The Pilgrim's Progress, 文言譯本과 官話譯本 『天路歷程』, 詩歌, 時調, 한국토착화, 제임스 스카스 게일, 윌리엄 번스, 韓譯本 『텬로력뎡天路歷程』, 約翰·本人(John Bunyan)的 The Pilgrim's Progress, 文言譯本『天路歷程』, 官話譯本 『天路歷程官話』, 韓國本土化, 奇一, James Scarth Gale, 賓爲霖, William Chalmers Bur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