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44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영어습득 학생의 문법적 정확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신혜원 ( Hye Won S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1호, 291~312페이지(총22페이지)
본 탐색적 연구의 목적은 영어습득학생의 동사 시제 및 관사 사용 능력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정도를 연구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6명의 한국인 대학생이 쓴 에세이를 분석하였다. 각 학생은 3차례 에세이를 썼으며, 각 에세이에 대해 첨삭지도를 받은 후 그 자리에서 바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얻어진 6명의 에세이 3개씩에 대한 원본과 수정본을 합하여 총 36개를 분석하였다. 에세이 원본의 경우 관사의 정확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높아졌으나, 동사 시제의 정확도는 그렇지 않았다. 재미있는 발견은 수정된 에세이에 대한 분석 결과 관사의 정확도가 높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상의 결과는 반복적인 직접적 첨삭지도의 효과가 모든 문법요소에 대해서 나타나기 보다는 특정 요소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첨삭지도의 효과는 동태적으로 분석되어...
TAG 첨삭지도, 오류 수정, 직접적 피드백, 정확도, Written corrective feedback, Error correction, Direct feedback, Accuracy
구어 강연 자료에서의 {-ly}형 부사+형용사 사용 빈도 연구
김미란 ( Kim Mir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1호, 109~13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연어 타입 중에서 {-ly}부사+형용사 형태가 실제 구어에서 사용되는 빈도와 결합 유형을 조사하고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실제 사용 빈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는 구어 자료인 테드강연 423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단어 연쇄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출현 빈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빈도 정보는 자주 결합하는 형용사와의 빈도, 얼마나 다양한 형용사와 결합하는지에 대한 생산성, 그리고 결합 선호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ly}형 부사는 학습자가 알고 있는 형용사 형태에서 {-ly} 접사를 첨가하는 단순한 형태이긴 하지만 뒤에 함께 사용되는 형용사가 무엇이냐에 선호가 다르다. 이러한 결합에 대한 빈도 정보가 학습자에게 적절한 자료나 교사의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될 수 있어야 자연스러운 연어 능력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TAG 부사+형용사 연어, 빈도 정보, 테드강연, 연어능력, Adverb + Adjective co-occurrences, spoken data, frequency information, bigram analysis, TED talks, authentic material, collocation competence
챗봇의 채팅모드와 EFL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김나영 ( Na-you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1호, 263~290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챗봇의 채팅 모드에 따른 EFL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중급 수준의 영어 실력을 가진 한국인 대학생 4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10주 동안 매일 10분씩 문자 채팅 혹은 음성 채팅에 참여한 후, TOEIC 쓰기 시험에 기초한 사전 및 사후 시험을 보았다. 또한 챗봇과의 채팅 모드에 따라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챗봇과의 문자 채팅 및 음성 채팅 모두 영어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묘사하기 과업에서는 음성 채팅 그룹이, 의견제시하기 과업에서는 문자채팅 그룹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모든 참가자들은 챗봇을 활용한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문자 채팅 그룹은 음성 채팅 그룹에 비...
TAG 챗봇, 채팅모드, EFL 쓰기 능력, Chatbot, Chat modes. EFL writing skills
통사적 특성과 영어몰입도의 정도가 L2 언어처리에 미치는 영향
정세훈 ( Sehoon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1호, 45~7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아이트래킹 기술을 활용하여 모국어(L1)의 통사적 특성에서 파생된 언어처리 휴리스틱(heuristics)과 목표언어(L2) 사용환경에 대한 노출의 정도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성인 영어학습자가 ‘someone shot NP1 [ the sister] of NP2 [ the actor] [RC who was on the balcony] ’와 같이 통사적 중의성을 내포한 영어의 관계대명사 구문 (NP1-of-NP2 RC)을 읽고 이해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명의 영어원어민과 32명의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영어 읽기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피실험자들의 문장상에서의 안구 움직임과 해당 구조의 중의성 해결 선호도에 대한 반응을 분...
TAG 제2언어처리, 관계대명사, 모호성 처리, 목표언어 노출, 아이트래킹, L2 processing, relative clauses, ambiguity resolution, L2 exposure, eye-tracking, tuning hypothesis, shallow structure hypothesi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습과정에서 언어불안이 오류고쳐 말하기의 효과와 수정출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 ( Ji Hy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2호 특별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언어불안이 오류고쳐 말하기를 통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목적격 관계대명사 학습과정과 수정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른다섯 명의 한국어 학습자와 세 명의 한국어 화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는 언어불안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불안감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 낮은 불안감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 높은 불안감 통제 그룹. 낮은 불안감 통제 그룹, 총 4그룹으로 나누어 졌다.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 통제 그룹 모두 한국화자와 일대일로 의사소통중심의 네 가지 활동을 수행하였다.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에 속하는 학습자는 활동중 발생된 목표언어 형태오류에 대해 한국어 화자로부터 오류고쳐 말하기를 이용한 교정피드백을 받은 반면, 통제 그룹은 오류에 대한 교정피드백을 받지 못했다. 사전검사와 두 번의 사후검사 결과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의...
TAG Language anxiety, recasts, modified output, L2 Korean development, 언어불안, 오류고쳐 말하기, 수정출력, 제2 언어로서 한국어 학습
“제가 한국인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교환학생 경험을 통한 계승어 학습과 정체성 발달
안수진 ( Soojin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2호 특별호, 27~53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미국 대학생의 한국에서 한 학기동안의 교환학생 경험을 통한 한국어 계승어 학습 및 정체성 발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실시된 인터뷰, 수업 관찰 및 동아리 활동 관찰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주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교환학생 경험은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로 하여금 지금껏 자신의 삶의 일부로 깨닫지 못했던 그의 한국인 정체성에 대해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교환학생 기간 동안 외가 친척과의 교류와 한국 역사 학습은 그의 한국인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하였다. 교환학생 경험은 연구 참여자 스스로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로서 자신을 드러내려는 의지를 고양시켰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의 정체성 발달은 복수성, 가변성, 사회성으로 대표되는 학습자 정체성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이는 ...
TAG Korean heritage language learner, Study abroad, Language learner identity,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 교환학생, 언어 학습자 정체성
명시적, 암묵적 교육의 효과와 지속성 연구
김혜경 ( Hyekye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2호 특별호, 55~8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요청하기 화행에 대한 암묵적 교육과 명시적 교육의 효과와 지속성의 차이를 학생들의 화용 인지도와 화용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총 52명의 한국 지역 소재의 대학생이 참여하였고, 이 학생들은 임의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져서 요청하기 화행에 대해 화용교육을 받았다. 화용 교육은 명시적 교육과 암묵적 교육의 방법을 활용하여 각각 30분씩 8회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도구로서 화용인식도 측정을 위해서 화용인식 설문지가 또 화용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담화완성 테스트 (DCT)와 롤플레이 (role-play)가 채택되었다. 학생들의 화용인식도와 화용능력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로 동일한 자료수집 도구 설문지를 사용하여 3회 측정하였고,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효과크기(Cohen’s d)를 활용하여 각각의 화용교육의 효과와...
TAG pragmatic awareness, pragmatic production, requests, instruction, 화용인식, 화용생산, 요청, 교육
외국인 대학생의 한국어 담화 통합 쓰기 과제 표상의 양상 연구
송은정 ( Song Eun-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2호 특별호, 87~112페이지(총26페이지)
외국인 대학생들이 똑같은 지시의 담화 통합 쓰기 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마다 쓰기 수행에 차이가 난다. 그런데 그 차이는 쓰기 실력의 수준이 아니라 과제에 대한 방향과 이해가 다르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필자에 따라 쓰기 과제에 대한 이미지, 즉 과제 표상(表象)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것이 쓰기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화 통합 쓰기를 수행할 때 학습자들이 어떤 표상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했다. 먼저, 외국인 대학생들에게 네 개의 읽기 자료를 제공하고 담화 통합 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과제 수행이 끝난 후 ‘자기 분석 점검표’를 이용하여 쓰기 과제의 표상을 확인하였다. ‘자기 분석 점검표’는 Flower 외(1990), 이윤빈(2013), 장미정(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하였는데, 조사 항목은 ‘주요...
TAG task representation, academic writing for foreigner, discourse synthesis, 쓰기 과제, 쓰기 표상, 학문 목적 학습자, 외국인을 위한 대학 글쓰기, 담화 통합, 담화 통합 쓰기
그리스어 전치사 ‘se’의 의미 분석
김혜진 ( Kim Hyej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2호 특별호, 113~127페이지(총15페이지)
Ο ζκοποζ τηζ ερευναζ εγκειται ζτην διερευνηζη τηζ εννοιολογικο πλαιζιο τηζ ελληνικηζ προθεζηζ ‘ζε’. Η προθεζη ‘ζε’ ειναι μια προθεζη που χρηζιμοποιειται πολυ ζυχνα με πολλεζ εννοιεζ ζτην ελληνικη γλωζζα. Η εννοια τηζ ‘ζε’ γενικωζ ταυτιζεται με τιζ χρονικεζ καθωζ και χωρικεζ(spatial) προθεζειζ in, at, κα...
TAG Modern Greek education, Preposition se, semantic analysis /Ελληνικη ωζ ξενη γλωζ -ζα, προθεζη ‘ζε’, ζημαζιλογικη αναλυζη, 현대그리스어 교육, 전치사 ‘se’, 의미 분석
예비과정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자기결정성 동기 연구-A 대학의 한국어 집중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정연희 ( Jung Yonh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8] 제32권 제2호 특별호, 129~151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 입학 후 본격적인 대학 전공 수업을 수강하기 전에 학부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6개월에서 1년 간 집중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을 받고 있는 한국어 집중 교육과정에 속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가 어떠한지를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총 4개국 13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pearson 상관관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은 확인된 조절, 내적 조절, 부과된 조절, 외적 조절, 무동기의 순으로 나타나 학습자들이 기본적으로 한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 성별 차이와 수준 차이가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기결정성이 낮아 한국어 학습에 ...
TAG foreign students, Korean-intensive university program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집중 교육과정, 자기결정성 동기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