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다문화 사회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방향
전은주 ( Eun Joo Je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08] 제33권 629~656페이지(총28페이지)
이 글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 제2언어 교육의 기능과 KSL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방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문화 사회에서 제2언어 교육은 사회 구성원의 권리 실현과 인적 자원의 개발, 사회의 발전과 화합 등 위한 가교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 제2언어 교육은 학습자가 주류 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동화하는 데서 벗어나 언어 교육을 축으로 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 사회 구성원이 상호 존중 하면서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도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하여 학교 교육에서 체계적인 KSL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KSL 교육과정의 마련이 시급하다. KSL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과정인 목표 설정의 단계에서는 KSL 교육이 제2언어 교육의 동향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하며, 다문화 가정...
TAG 다문화 사회, 다문화 교육, 제2언어로의 한국어, KSL,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KFL,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 상호 문화적 능력, 다문화 가정 자녀, 학습 능력,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n as a secondary Languag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goals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ntercultural
집중 서평 : 기층문화의 관점에서 본 도교와 문학 -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2000)
전형준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1] 제2권 299~306페이지(총8페이지)
이 글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 제2언어 교육의 기능과 KSL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방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문화 사회에서 제2언어 교육은 사회 구성원의 권리 실현과 인적 자원의 개발, 사회의 발전과 화합 등 위한 가교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 제2언어 교육은 학습자가 주류 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동화하는 데서 벗어나 언어 교육을 축으로 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 사회 구성원이 상호 존중 하면서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도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하여 학교 교육에서 체계적인 KSL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KSL 교육과정의 마련이 시급하다. KSL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과정인 목표 설정의 단계에서는 KSL 교육이 제2언어 교육의 동향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하며, 다문화 가정...
특집 : 국어교육과 교과서 ; 고등학교 국어과 토론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사적 고찰
신명선 ( Myeong Seon Shi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11] 제42권 93~140페이지(총48페이지)
본고는 국정 교과서 시기에 교육과정은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고등학교 토론 교육 내용에 초점을 두어 사적으로 분석하였다. 충실도 관점(Fidelity Perspective) 하에,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을 ``교육과정의 지향``과 ``교육 내용의 특성``의 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지향 반영 정도:1, 2, 3, 5차는 반영, 6차는 미반영 교육 내용의 수준과 범위:2차는 적정, 3차는 심화·확대, 5차는 생성 교육 내용의 성격:모든 교육 내용이 사실상 이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는 절차적·조건적 지식의 명제적 지식화로 정리됨. 다만 5차의 경우 활동 지향성이 드러남. 교육 내용 구현의 충실도:6차가 가장 낮음(불충실) 한편 토론 교육 내용은 통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
TAG 교육과정, 교과서, 국어교육, 토론, curriculum, textbook, debate, Korean education
Metaphor and Cultural Coherence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English Metaphors
(See Young Cho)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1994] 제10권 197~207페이지(총11페이지)
본고는 국정 교과서 시기에 교육과정은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고등학교 토론 교육 내용에 초점을 두어 사적으로 분석하였다. 충실도 관점(Fidelity Perspective) 하에,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을 ``교육과정의 지향``과 ``교육 내용의 특성``의 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지향 반영 정도:1, 2, 3, 5차는 반영, 6차는 미반영 교육 내용의 수준과 범위:2차는 적정, 3차는 심화·확대, 5차는 생성 교육 내용의 성격:모든 교육 내용이 사실상 이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는 절차적·조건적 지식의 명제적 지식화로 정리됨. 다만 5차의 경우 활동 지향성이 드러남. 교육 내용 구현의 충실도:6차가 가장 낮음(불충실) 한편 토론 교육 내용은 통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
한국어 교육용 교재에 나타난 불규칙 용언에 관한 분석
조남민 ( Jo Nam Min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02] 제20권 281~308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국정 교과서 시기에 교육과정은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고등학교 토론 교육 내용에 초점을 두어 사적으로 분석하였다. 충실도 관점(Fidelity Perspective) 하에,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을 ``교육과정의 지향``과 ``교육 내용의 특성``의 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지향 반영 정도:1, 2, 3, 5차는 반영, 6차는 미반영 교육 내용의 수준과 범위:2차는 적정, 3차는 심화·확대, 5차는 생성 교육 내용의 성격:모든 교육 내용이 사실상 이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는 절차적·조건적 지식의 명제적 지식화로 정리됨. 다만 5차의 경우 활동 지향성이 드러남. 교육 내용 구현의 충실도:6차가 가장 낮음(불충실) 한편 토론 교육 내용은 통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
TAG Irregular Verb, 불규칙 용언, Irregular Conjugation, 불규칙 활용, Conjugation Frequency, 활용빈도
한국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영어학습전략 분석과 학습인지양식에 따른 영어 수업선호도 연구
조은형 ( Eun Hyung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 [2012] 제26권 제2호, 139~166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의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며,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언어전략과 학습인지 양식에 대한 영어능력 수준에 따른 집단별 분석결과상의 차이를 보여주고 영어수업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첫번째로 영어능력수준에 따른 집단별 영어학습 전략에 대한 조사에서, 영어능력수준 따른 각 집단은 보상전략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영어능력 상위집단의 경우 그렇지 못한 집단들보다, 상위인지전략 및 정의적전략 사용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장독립적, 장의존적 학습인지양식에 따른 각 집단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집단에서 수업상의 ``흥미부여``를 영어학습에서 중요시한다는 결과, 또, ``말하기를 잘하고 싶다``는 결과, 또...
TAG 영어학습, 영어학습전락, 수업선호도, Language Learning strategy, junior college English Learners, class preference
ㄴ첨가와 사이시옷에 관하여
고광모(Kwang Mo Ko)  서울대학교 언어연구회, 언어연구 [1991] 제3권 1~22페이지(총22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의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며,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언어전략과 학습인지 양식에 대한 영어능력 수준에 따른 집단별 분석결과상의 차이를 보여주고 영어수업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첫번째로 영어능력수준에 따른 집단별 영어학습 전략에 대한 조사에서, 영어능력수준 따른 각 집단은 보상전략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영어능력 상위집단의 경우 그렇지 못한 집단들보다, 상위인지전략 및 정의적전략 사용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장독립적, 장의존적 학습인지양식에 따른 각 집단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집단에서 수업상의 ``흥미부여``를 영어학습에서 중요시한다는 결과, 또, ``말하기를 잘하고 싶다``는 결과, 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자어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재영 ( Han Jae Yeong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03] 제23권 327~367페이지(총41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의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며, 전문대학 영어학습자들의 언어전략과 학습인지 양식에 대한 영어능력 수준에 따른 집단별 분석결과상의 차이를 보여주고 영어수업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첫번째로 영어능력수준에 따른 집단별 영어학습 전략에 대한 조사에서, 영어능력수준 따른 각 집단은 보상전략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영어능력 상위집단의 경우 그렇지 못한 집단들보다, 상위인지전략 및 정의적전략 사용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장독립적, 장의존적 학습인지양식에 따른 각 집단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집단에서 수업상의 ``흥미부여``를 영어학습에서 중요시한다는 결과, 또, ``말하기를 잘하고 싶다``는 결과, 또...
TAG Chinese cultured countries, 한자문화권, vocabulary education, 어휘 교육, Chinese characters, 한자, Sino-Korean, 한자어
전통연희의 현대적 의의
전경욱 ( Kyung Wook J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249~288페이지(총40페이지)
전통연희는 근현대 이전의 전통사회에서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연희자들에 의해 전승되던 백희잡기(百戱雜技)의 종목들과 가면극.판소리.창극.꼭두각시놀이 등 연극적 양식의 종목들로서, 영리를 목적으로 관중들을 위해 연행하는 공연물을 가리킨다. 전통연희는 종목별로 크게 (1) 곡예와 묘기, (2) 환술(幻術), (3)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 (4) 동물 재주 부리기, (5) 골계희(滑稽戱 코미디) 또는 우희(優戱), (6) 가무희(歌舞戱), (7) 악기 연주, (8) 인형극, (9) 가면극, (10) 판소리와 창극, (11) 종교의례 속의 연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동안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선구적 장르는 1980년대 시작된 마당극과 민족극을 들 수 있다. 1980년대 초두에 민속극에 기반을 둔 창작극인 마당극(마당굿) 또는 민족극이라 불리...
TAG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환술, 가면희, 동물 재주 부리기, 골계희, 우희, 가무희, 악기 연주, 인형극, 가면극, 판소리, 창극,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crobatic feats and stunts, magic arts, plays in animal disguises, animal stunts, farce or comedy, song and dance performances, musical performances, pu
고 제효 (霽曉) 이용주선생 (李庸周先生) 추모 기념 논문집 : 제 7 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문제점 - 쓰기영역을 중심으로 -
박덕유(Tok Yu Park)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1998] 제8권 55~81페이지(총27페이지)
전통연희는 근현대 이전의 전통사회에서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연희자들에 의해 전승되던 백희잡기(百戱雜技)의 종목들과 가면극.판소리.창극.꼭두각시놀이 등 연극적 양식의 종목들로서, 영리를 목적으로 관중들을 위해 연행하는 공연물을 가리킨다. 전통연희는 종목별로 크게 (1) 곡예와 묘기, (2) 환술(幻術), (3)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 (4) 동물 재주 부리기, (5) 골계희(滑稽戱 코미디) 또는 우희(優戱), (6) 가무희(歌舞戱), (7) 악기 연주, (8) 인형극, (9) 가면극, (10) 판소리와 창극, (11) 종교의례 속의 연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동안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선구적 장르는 1980년대 시작된 마당극과 민족극을 들 수 있다. 1980년대 초두에 민속극에 기반을 둔 창작극인 마당극(마당굿) 또는 민족극이라 불리...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