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영주어문학회5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밀핵`, `반투명`, `우주율`, 그리고 자아의 형상 - 성찬경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장인수 ( Jang In Su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7] 제35권 359~380페이지(총22페이지)
성찬경은 `밀핵`, `반투명`, `우주율` 등의 조어를 통해 자신의 시를 설명하려고 했다. 이들 조어들은 시학의 일반적인 개념으로 정착하지는 못했지만, 그의 창작방법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가 되고 있다. 그것들의 조어 방식에서 우리는 그의 심리적 동기를 찾아볼 수 있다. `밀핵`은 그의 오랜 지병인 `결핵`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그는 `결핵`을 `생명력의 소진(consumption)`으로 파악했고, 의미의 고밀도를 추구하는 `밀핵`은 그 반대 방향에서 생명력을 예술적으로 승화하여 만들 어지는 것으로 상상했다. `밀핵`의 아이디어는 `사리`나 `보석` 등 고체 이미지로 변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모두 `자아의 형상`과 관계가 있다. `반투명`의 아이디어는 상징주의 시론에서 착상한 것으로 보이거니와, 이는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개자로서 ...
TAG 밀핵, 반투명, 우주율, 결핵, 소양증, 피부자아, dense core, translucence, universe rhythm, tuberculosis, pruritus, le moi-peau.
루마니아어 모어 화자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이/가`, `-은/는`, `-을/를`의 교육 방안 -루마니아어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김훈태 ( Kim Hun Tae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7] 제35권 381~415페이지(총35페이지)
본고는 루마니아어 모어 화자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 `-을/를`의 교육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한 것이다. 대부분의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루마니아어에서도 한국어와 같은 주격과 목적격을 실현하는 조사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명사의 어형 변화를 통해 주격과 목적격이 실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루마니아어에서 주격과 목적격으로 실현되는 명사의 어형변화를 한국어의 주격과 목적격을 교육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의 `-이/가`, `-은/는`, `-을/를`의 문법적 기능을 제대로 인식하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인식단계`를 기초로 하여 `학습단계`와 `활용단계`의 과정에서는 단순한 서술적인 방법보다는 종합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학습자들의 `-이/가`, `-...
TAG 루마니아어 모어 화자,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격어미, 인식단계, 학습단계, 활용단계, Romanian Korean learners, nominative case, objective case, oun declensions, recognition stage, learning stage, application stage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용어플리케이션 구성 방안
유해준 ( Yoo Hae Jun ) , 손봉기 ( Son Bong Ki ) , 양승용 ( Yang Seung Yong ) , 최흥렬 ( Choi Heung Yuri ) , 이재호 ( Lee Jae Ho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7] 제35권 417~445페이지(총29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은 어떤 종류의 작업을 돕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한국어 교육에 이용하고자 한다. 기존에 나온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은 회화 중심이 아닌 어휘 풀이 또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시험 문제 풀이용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이었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교육이 가능한 주제 중심의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플리케이션 구성 방안 연구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제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구성 방안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내용적인 부분과 더불어 기술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한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AG 주제 중심, 한국어 교육, 어플리케이션, , 프로그램, 개발, 학습, Subject 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lication, App, Program, Development, Learning
제주방언 정도부사 연구 - 목록과 분류를 중심으로-
신우봉 ( Shin Woo Bong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5~36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제주방언 정도부사의 목록을 확정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표준어정도부사와의 의미와 쓰임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제주방언과 관련된 어휘 자료집과 사전, 선행 연구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 정도부사 목록을 확보하였다. 또한 정도부사를 분류한 선행 연구들의 기준을 검토하고 적용하여, 제주방언 정도부사를 6가지로 분류하고 의미와 쓰임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대상에 대한 평가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의 부류에 속한 제주방언 정도부사에는 ‘깨, 너믜, 제벱, 워년/원간, □못, □못, 막, 잘도, 하도, 뒈우/뒈게, 폭싹, 슬피/실큰/실큿/실피, 시시리실피, 두루셍이/두루젱이’가 있었다. ‘대상과 비교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의 부류에 속한 제주방언 정도부사에는 ‘□장, 질, 활씬/훌씬, 두루’가 있었다. ‘수량 표시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TAG 제주방언, 정도부사, 목록과 분류, 대상에 대한 평가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대상과 비교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수량 표시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수량에 대한 평가의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양태적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부정적 성격이 강한 정도부사, Jeju dialect, degree adverbs, list and classif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n evaluation of the target, the c
의존명사 ‘줄’의 기능 특화 양상
정연주 ( Jeong Yeon Ju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65~9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후기 중세국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의존명사 ‘줄’의 기능이 어떻게 특화되어 가는지, 그 양상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줄’은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 내포 의문절을 만드는 기능, “방도”의 의미, “연유”의 의미로 쓰였다. 이 중 가장 널리 쓰인기능은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이었다. 근대국어에서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을 하던 ‘줄’은 두 가지 변화를 겪는다. 첫째는 인지동사, 사유동사, 발화동사, 수신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류들과는 점차 공기하지 않게 되는 변화이다. 그 결과 ‘줄’은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명사구 자리에서 쓰이는 요소가 되어 간다. 둘째는 인지동사, 사유동사의 ‘로’ 논항 자리, 즉 사실로 전제되지 않는 내용이 나오는 자리에서 쓰일수 있게 되는 변화와 사유동사의 ...
TAG 의존명사, ‘줄’, 사실, 비사실, 반사실, bound noun, ‘jul’, factive, non-factive, counter-factive
최일남 노년소설에 나타난 노화와 죽음의 수용과 그 의미
양철수 ( Yang Cheol Su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219~240페이지(총22페이지)
최일남의 노년소설은 도시 중산층 노인의 내면의 심리와 갈등을 잘 드러낸다. 그는 자신의 체험과 주변인의 관찰을 통해 노인의 삶의 모습을 작품으로 형상화하였다. 노화와 죽음은 노년소설의 주요한 테마이다. ‘수용’은 외부에서 찾아하는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응답이다. 노인은 유한성을 인지한다. 유한성의 인식은 삶의 의미와 가치의 문제를 중요하게 부각시킨다. 최일남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노년의 시기에 허위와 위선을 버리고 자유를 꿈꾼다. 그들은 죽음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준비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 노화와 죽음에 대한 태도는 노년의 일상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최일남의 노년소설은 부정적으로만 비쳐지던 노년에 대한 긍정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최일남 노년소설의 변별적 의의와 노년의 삶의 다양한 가능성을...
TAG 최일남, 노년소설, 노화, 죽음, 수용, Choe Il-nam, elderliness novels, aging, death, acceptance
개화기 전·후 친일매체의 고전소설 활용양상 -『한성신보』 소재 「곽어사전」을 중심으로-
임현아 ( Lim Hyun A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95~125페이지(총31페이지)
근대 초 친일매체지인 『한성신보』에 소설이 게재되면서 소설의 場이 변화하였다. 먼저 신문사가 기존의 필사자의 역할을 대행하게 되었고, 독자는 소설의 連載라는 새로운 독서방법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신문을 통한 고전소설 유통구조의 변화로 장소에 상관없이 정보를 교환하거나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곽어사전」은 俄館播遷당시 실추된 일본의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드러난 작품으로, 주제의식은 조선인들에게 익숙한 忠·孝·烈이다. 그러나 孝와 烈은 흥미요소로만 설정하고 독자의 관심은 軍談에 집중시킨다. 「곽어사전」에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軍談이 설정되었는데 이는 일본에 대한 반감과 부정적이미지를 무마하고,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한성신보』에서 정치적인 의도로 게재한 작품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TAG 한성신보, 곽어사전, 소설의 場, 소설의 연재, 유통구조의 변화, 아관파천, 군담, Hanseong Sinbo, Gwakeosajeon, Place of Novel, Serial Publication, Changes in Distribution Structure, Agwan Pacheon, War Story
외화 제목 번역 양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970년대~2010년대 영미권 외화를 중심으로
이영제 ( Lee Young Je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37~64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국내 개봉된 영미권 외화 제목을 대상으로 한국어 번역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문법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대별로 외화 흥행 순위 상위 100편씩 총 500편을 선별하여 제목을 분석하였고, 외화 제목을 ① 직역/의역한 제목과 ② 단순 음차한 한글 제목으로 구별하였다. 시대별로 흐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통사적 구성의 특징에 따른 언어적 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외화 제목의 번역 방식에 함의 되어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개봉 외화들의 제목은 외국어를 단순 음차한 명사류를 나열하는 구성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한국어로 번역된 제목의 수가 통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언어 사용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외국어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
TAG 외화 제목, 번역, 직역, 의역, 음차, 명사류, films titles, translation, literal translation, liberal translation, transliteration, nominals
‘아버지 찾기’의 신화적 의미 분석 - 이승우 소설의 ‘아버지와 아들 관계’를 중심으로 -
장순덕 ( Jang Soon Deok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241~270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이승우 소설에서 ‘아버지와 아들 관계’에 나타난 갈등 양상에 주목하고, 이승우가 다루는 ‘아버지 찾기’ 모티프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그 문학적 의미를 해명하는 데 있다. 작가는 아버지와 아들의 문제를 신과인간의 문제에 반영하여 메타포와 상징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제 분석에 앞서 소설의 인물들이 보이는 병리적 현상을 관찰하고, ‘앓는 자’의 자각과 남성의 내면에 활성화된 아니마 원형의 개념을 확인하였다. 이승우 소설에서 ‘부자의 갈등 관계’를 다루고 있는 대상 작품을 선정하여, 아버지를 기피하는 아들과 아버지를 찾아가는 아들의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부정적인 아버지상에 지배받아 아버지를 기피하는 아들을 다루는 작품은 「일식에 대하여」와 「터널」을 들 수 있다. 「일식에 대하여」의 아버지는 정신분열증자로 아들의 우울...
TAG 아버지와 아들의 갈등 관계, 앓는 자의 자각, 아니마 원형, 아버지 찾기, 신성(존엄성) 회복, the Father-Son Conflict Relationship, the Moaning Man`s Perception, Anima Original, Fiding Father, Humans Beings` restoration of the God image(the divinity).
『사슴』의 구성과 언어-형식
송종원 ( Song Jong Won )  영주어문학회, 영주어문 [2016] 제34권 127~149페이지(총23페이지)
백석의 『사슴』은 시인 자신의 구획한 4개의 부로 구성되었다. 본고는 그 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각 부의 특징을 분석하는 시도를 하였다. 1부 ‘얼럭소새끼의영각’을 수렴하는 특징은 유년의 ‘나’를 인물로 내세운 시점을 통해 유년의 공간을 재구성한 것이다. 이때 재구성된 유년의 공간은 현실과 현실에 떠도는 이야기들 이 상당히 밀착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나’를 내세워 어린 시절의 경험을 전하는 목소리는 현실에 전승되는 다양한 이야기와 현실의 구분이 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짐짓 모른 척함으로써 이야기와 현실의 구분이 없는 세계를 의도적으로 구현해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해 『사슴』 1부는 다양한 종류의 이야기와 경험들이 구분 없이 뒤섞인 작품들로 채워질 수 있었지만, 이야기와 언어의 세계 너머의 흐릿한 공간이 덜 형상화되는 아쉬움이 엿보이기...
TAG 『사슴』, 구성과 형식, 상호조명하는 이미지, 상징적 언어(세계), 사실성, 『Saseum』, configuration, style, universal harmony, real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