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중국어 ‘对/对于’와 한국어 ‘에 대하여/에게’의 대조 연구
신미경 ( Shin Me-gyeong ) , 유위 ( Liu Wei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47~76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는 중국어 전치사 ‘对/对于’와 한국어 ‘에 대하여/에게’의 대응관계와 제약조건을 대조하였다. ‘对/对于’와 ‘에 대하여/에게’는 모두 일종의 ‘대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들의 대응관계에는 일정한 제약조건이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본고는 우선 ‘对’와 ‘对于’의 후행명사와 술어 그리고 이들 사이의 의미 관계에 따라 의미항목을 분류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한국어 ‘에 대하여’와 ‘에게’를 대조하며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对/对于’와 ‘에 대하여/에게’는 의미항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약조건을 만족해야 대응관계가 성립한다. 첫째, 정서를 느끼는 대상 또는 태도를 취하는 대상을 나타낼 경우, 선행(후행)명사가 사람이면 ‘에게1’은 ‘对1’과 대응할 수 있다. 선행(후행)명사가 추상개념, 사물, 사건이면 ‘에 대하...
TAG ‘对’, ‘对于’, ‘에 대하여’, ‘에게’, 대응관계, 제약조건, 对应关系, 制约条件
『동국정운(東國正韻)』 후음(喉音)의 ‘청·탁’ 연구-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김서영 ( Kim Seo Young ) , 문성호 ( Moon Sung Ho ) , 김민경 ( Kim Min Gyeong ) , 안영실 ( An Ying Shi ) , 이길경 ( Li Ji Qio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1~45페이지(총45페이지)
청·탁은 『樂記』에서부터 사용되었던 음악 용어였고, 전통적으로 음운학에서도 淸은 고음, 濁은 저음을 가리키는 것이 통설로 되어있었다고 한다. 淸代의 江永이 『音學辨微』(1759)에서 청·탁의 개념을 성모에 국한해서 쓰기 시작했고, 칼그렌(Klas Bernhard Johannes Karlgren, 1889∼1978)의 연구 이후 청·탁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분절 자질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 한·중·일·베트남 어음을 살펴봤을 때, 후음에 해당하는 제로 음가와 성문 마찰음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은 변별 자질로 활용되지 않는다. 이는 칼그렌이 주장의 근거로 삼았던 吳방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趙元任(1892∼1982)의 五度表記法 창안으로 초분절 자질에 대한 객관적 접근이 가능해졌는데, 漢語 中古音의 청·탁과 중국 남방 방...
TAG 『동국정운』, 『훈몽자회』, 후음, 한어 중고음, 세종, 칼그렌, Chinese Ancient Sounds, Donggukjungwoon, 東國正韻, Hunmongjahwae, 訓蒙字會, hhu yīn, 喉音, Karlgren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헤지(hedge) 표현 제시 양상 분석 연구 - 중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재를 대상으로
夏婉 ( Xia W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328~361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중국 현지에서 주로 시용하는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헤지(hedge) 표현의 제시 양상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제시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3권교재의 398개 대화문에서 나타난 헤지 표현을 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내용적인 층면은 다시 형태별 분포, 기능별 분포, 상항별 분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재 분석의 결과, 교재에서 헤지 표현의 표제어의 부재; 대화 상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 대화의 상황과 맥락이 매우 단순함; 다양한 헤지 표현에 대한 제시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위해 헤지 표현의 사용에 대한 기본 정보의 제공; 모어 화자들이 선호한 표현을 제시함; 다양한 대화 상황과 맥락을 추가하여 대화 주제의 다양성과 대화 내용의 풍부성에 신경 더 써야 함; 헤지 표현이 있는...
TAG 헤지 표현, 울타리 표현, 한국어 교재, 교재분석, 대화문, Hedge, Hedging expressions, Korean textbook, Analysis of textbook,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
「바람 부는 시절」에 나타난 코러스와 삽입가요의 기능에 관한 연구
김남석 ( Kim Nam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301~326페이지(총26페이지)
「바람 부는 시절」은 극단 ‘아랑’ 시절 임선규의 대표작으로, 1940년대 조선 연극계의 흥행작 가운데 하나였다. 2018년까지 그 실체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로 연극학자의 증언과 간접 자료만으로 언급되는 작품이었는데, 그 실체가 드러나면서 1940년대 한국 연극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코러스의 역할과 삽입가요의 기능을 살필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선 「바람 부는 시절」의 삽입가요와 코러스의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1920~30년대 대표적인 대중극 작품과 비교하여 코러스와 삽입가요의 역할을 비교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TAG 「바람 부는 시절」, 임선규, 아랑, 코러스, 삽입가요, Baram-buneun-sijeol, Windy Days, Im Seon-gyu, Arang, Chorus, inserted songs
다문화 소설의 정신분석비평과 이주민 독자의 심리적 반응 양상 분석 - 김민정의 <죽은 개의 식사 시간>을 중심으로
김지혜 ( Kim Jeehy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269~299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소설과 이주민 독자 간의 문학 소통 양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이주민의 생활 사건과 정체성 문제를 소설적으로 재현한 김민정의 <죽은 개의 식사시간>을 정신분석비평에 따라 분석, 이주민의 정체성 문제가 욕망과 연결되어 있다는 해석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소설에 대한 외국인 독자의 반응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감상문 12편을 심리학적 독자반응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독자들은 자신의 이주 경험을 다문화 소설 해석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감상문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려고 하지만, 다문화 소설의 상징과 구조를 분석하거나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한국의 문학 담론과 문학교육 현장에도 다문화적 요소가 증가...
TAG 정신분석비평, 심리적 독자반응이론, 다문화 소설, 외국인 독자, 한국문학교육, Psychoanalytic Criticism, Psychological Reader Response Theory, Multicultural Fiction, Foreign Readers, Korean Literature Education
국어의 반모음은 음소인가
이동석 ( Lee Dongse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223~267페이지(총45페이지)
전통적으로 국어의 음소는 자음, 모음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에는 반모음을 국어의 음소로 인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음운체계를 기술할 때 반모음 체계 대신 이중 모음 체계를 기술하는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불균형의 문제를 낳는 경우가 많다. 최소 대립쌍의 원리를 통해서는 반모음이 음소인지 이중 모음이 음소인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중 모음의 입장에서 보면, 이중 모음 [we]와 단모음 [ö], 이중 모음 [wi]와 단모음 [ü]는 각각 자유 변이 관계에 있는데, 이를 통해 이중 모음 [we]와 단모음 [ö], 이중 모음 [wi]와 단모음 [ü]가 각각 한 음소의 변이음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을 따로 떼어내 음소로 인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반모음은 음소가 될 수 없고 이중 모음이 국어의 음소가 된다....
TAG 반모음, 활음, 이중 모음, 자유 변이, 최소 대립쌍, 반모음화, 반모음 첨가, 모음 축약, Semivowel, Glide, Diphthong, Free variation, Minimal pair, Semivocalization, Semivowel insertion, Vowel coalescence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교육론’ 강좌 수강 경험 연구
신희성 ( Shin Hee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169~222페이지(총54페이지)
본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가 ‘문법교육론’ 강좌를 수강하는 일이 국어 교사가 되는 과정에서 어떤 유의미함을 발생시킬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간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 주요하게 지적되어 온 것 중 하나는 ‘○○교육론’ 강좌가 ‘○○론’과 크게 대비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또 최근 교원양성과 관련하여 교사의 연구 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법교육 담론이 주요 교육 내용이 되는 문법교육론 강좌를 설계하고 이에 대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강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 국어 교사들은 문법 지식뿐 아니라 문법교육의 필요성 및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법교육 담론을 접하고 이를 국어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활용하는 데 있어 자신의 문법교육 및 언어생...
TAG 예비 국어 교사, 문법 교사, 문법교육론, 교원양성, 교사교육, 국어교육과, Pre-service Korean Teacher, Grammar Teacher, Grammar Education Theory, College of Education’s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글쓰기 교육과 그 성과 -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묘정 ( Kim Myoj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147~168페이지(총22페이지)
이 글은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글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로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방법과 성과를 공유하는데 목적을 두고 기획된 것이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글쓰기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함으로써 실제를 구현하기 위한 준거의 틀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2020년 2학기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구체화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주로 집단지성 발현 지점인 글쓰기 과정 및 평가 과정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집단지성 활용 방안을 공유하였다. 이 글은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교수학습법을 도입하여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또한 집단이 두뇌를 합해 집단지성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고력을...
TAG 집단지성, 대학글쓰기, 온라인 글쓰기, 온라인 수업, Collective Intelligence, University Writing, Online Writing, Online Education
청소년 독자 연구의 주제 동향과 과제 - 국내·외 2000년부터 2020년(9월)까지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차해나 ( Cha Haen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117~145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외 청소년 독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200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 국어 교육 분야와 국외 문식성 교육 분야 주요 학술지에 수록된 172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와 국외의 청소년 독자 연구는 연구 주제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연구 주제의 동향을 검토한 결과, 국내에서는 청소년 독자의 인지·정의적 특성에 관한 주제가 주로 탐구되었으며 국외에서는 관련 특성을 전제로한 청소년 독자 정체성 연구가 활발했다. 또한 국내 연구가 인지·정의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정의한 것과 달리 국외에서는 각 특성별 하위 요인의 개념과 그것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한편, 교과 전공 영역의 읽기와 관련된 국내 연구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연구주제와 관련해 연구방법의 동향을 5년 단위...
TAG 국내 청소년 독자 연구 동향, 국외 청소년 독자 연구 동향, Trends in Adolescent reader research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trends in Adolescent reader research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관련 연구의 성과와 한계
이은주 ( Lee Eunju ) , 이순영 ( Lee Soon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5권 85~116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실태를 확인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탈북청소년이 모어 화자로서 한국에서 경험하는 국어학습의 환경, 진단, 실태 및 결과를 다루되 특히 이들의 국어 기능이나 문식성에 초점을 맞춘 실증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70여 편의 선행연구 중 8편의 주요 연구를 선별하여 연구의 대상과 방법, 교육 프로그램과 목표, 측정 도구, 국어학습 상의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수준은 과거의 학습경험과 언어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한 청소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모어 화자나 모국어 학습자로서의 기본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통해 향후 탈북청소년의 국어학습 연구를 위한 세 가지 시사점(탈북청소년을 ...
TAG 탈북청소년, 탈북가정, 북한이탈주민, 국어 교과, 국어능력, Adolescent North Korean Defector, North Korean Defector’s Family, Korean Language Arts, Korean Language Abil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