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세종학당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2007~2020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장미경 ( Chang Mi-kyung ) , 최윤정 ( Choi Yun-j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161~201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해외 한국어 한국문화 보급을 위한 국가 브랜드 ‘세종학당’에 관한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 및 정책 수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학술 검색 사이트에서 세종학당, 누리-세종학당, 세종한국어, 세종한국문화 등 네 개의 검색어를 활용,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다. 최종 42편의 학술지 논문과 30편의 학위논문이 선정되어 그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세종학당을 주제로 한 논문은 세종학당 사업이 처음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 주제 및 관련 학문 분야도 한국어 교육, 문화 교육, 정책연구, 지역 현황 분야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긍정적이었다. 동시에, 후속 연구 수행 및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때 보완해야 할 요소들도 적지 않았다. 먼저, 교육 현장의 3대 요소라 할 ...
TAG 세종학당, 누리-세종학당, 세종한국어, 세종한국문화, 연구사, 한국어 교육, 문화 교육, King Sejong Institute, Nuri-King Sejong Institute, Sejong Korean, Sejong Korean Culture, Research Trends Analysis,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차별 표현에 대한 국어교육 내용 연구
송현주 ( Song¸ Hyun-ju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129~159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차별 표현에 대한 국어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별 표현이란 특정 대상을 등급이나 수준 따위의 차이를 두어서 구별하면서 이에 대한 부정, 공격, 배제하려는 태도를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과에서는 언어폭력의 문제점을 인식, 배려하며 말하는 태도,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발전에 기여 등과 관련한 성취기준만을 제시하고 있어 차별 표현에 대한 교육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차별 표현에 대한 국어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 표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러한 표현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특히, 차별표현의 판단 기준이 화자가 아닌 청자의 입장에서 판단하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 맥락을 고려하여 해당 표현이 차별 표현인지...
TAG 차별 표현, 국어교육, 맥락, 대안적 표현 탐색, discriminatory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xt, exploration of alternative expressions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국어 소형절의 유형과 특징
한정한 ( Han¸ Jeong-ha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95~128페이지(총34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의 관점에서 국어 소형절의 특징과 유형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흔히 독립어, 감탄사, 호칭어, 인사말, 응답어, 간투사, 절대문 등으로 불리는 표현들이 그러한 예들이다. SFL에 따르면 절(clause)은 [서법부+잔여부]의 구조를 완전히 갖추어야 한다. 소형절은 이러한 구조를 갖추지 못한 채로 구어 또는 문어 텍스트에 쓰여서 주절 메시지 주위를 위성처럼 떠도는 담화표지들이다. SFL에서 모든 텍스트는 언어 시스템의 개별 사례가 되며, 맥락 안에서 다양한 양식(문어, 구어, 독백, 대화 등)으로 실현된다. 소형절과 생략절은 둘 다 텍스트의 일종이며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 즉 화청자의 맥락 정보가 분명한 생략절에서는 주...
TAG 소형절, 소형문, 체계기능언어학, 감탄사, 간투사, 호칭어, minor clause, minor sentenc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SFL), Exclamation, Interjection, Call
메신저 대화에서의 방언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홍미주 ( Hong¸ Mi-ju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57~93페이지(총37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메신저 대화에서 방언의 사용 양상과 정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여성 화자들로 구성된 카카오톡 대화방의 대화에서 관찰되는 경상방언형과 표준어형의 사용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신저 대화에서 실현되는 전체 방언형 중 음운, 문법, 어휘 층위에서 실현되는 방언형의 비율은 문법(88.6%), 음운(7%), 어휘(4.4%) 순으로, 방언형 사용은 거의 문법 층위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방언형 중 표준어에 대한 사용 정도는 문법형태에 따라 상이하였다. 그리고 표준어화의 변화 속에서도 방언형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를 방언형이 대화 상황에서 수행하는 기능에서 파악하였다. 방언형이 담화적 기능을 수행할 경우, 그 방언형은 표준어형으로 대체되지 않고 계속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메신...
TAG 표준어, 방언, 방언접촉, 표준어화, 메신저 대화, 담화적 기능, standard language, dialect, contact, standardization, messenger conversation, discourse function
사고와 표현 사이의 불일치 문제 - ‘- 어’의 준말, ‘같잖다’의 어근, ‘주말’의 의미, 수의 자릿점을 대상으로 -
최호철 ( Choe¸ Ho-chol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7~55페이지(총49페이지)
이 글은 첫째로는 줄여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바뀌어’와 같은 경우, 둘째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의 의미와 단어전체의 뜻풀이 사이의 관계가 석연찮은 ‘같잖다’의 경우, 셋째로는 명실상부하지 않은 ‘주말’의 의미와 수의 자릿점 표시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 어’의 준말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줴’가 ‘쥐어’의 준말이라는 것을 근거로 할 때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돼’와 같은 것을 ‘되어’의 준말로 수용하는 한에서 ‘ ’ 뒤에 ‘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 그것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 어’의 준말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의 의미를 갖는 ‘같잖다’는 단어 구성 형태, 구문 구조, 의미 및 발음의 측면...
TAG -ㅟ어, -ㅞ, 준말, 같잖다, 갖잖다, 달력, 주일, 주말, 일요일, 월요일, 토요일, 수의 자릿점, 세 자리, 네 자리, -wieo, -we, abbreviation, gatjanhda, gajjanhda, calendar, week, weekend, Sunday, Monday, Saturday, digit comma, three digit, four digit
기계번역 품질에 대한 요인분석
한승희 ( Seunghee Han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통번역학연구 [2021] 제25권 제2호, 147~170페이지(총24페이지)
이 글은 첫째로는 줄여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바뀌어’와 같은 경우, 둘째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의 의미와 단어전체의 뜻풀이 사이의 관계가 석연찮은 ‘같잖다’의 경우, 셋째로는 명실상부하지 않은 ‘주말’의 의미와 수의 자릿점 표시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 어’의 준말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줴’가 ‘쥐어’의 준말이라는 것을 근거로 할 때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돼’와 같은 것을 ‘되어’의 준말로 수용하는 한에서 ‘ ’ 뒤에 ‘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 그것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 어’의 준말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의 의미를 갖는 ‘같잖다’는 단어 구성 형태, 구문 구조, 의미 및 발음의 측면...
TAG 번역품질평가,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 translation quality assessment and evaluation,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MTP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How Much Written-ness is Enough?: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Grammatical Metaphor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최경희 ( Gyung Hee C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통번역학연구 [2021] 제25권 제2호, 113~145페이지(총33페이지)
이 글은 첫째로는 줄여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바뀌어’와 같은 경우, 둘째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의 의미와 단어전체의 뜻풀이 사이의 관계가 석연찮은 ‘같잖다’의 경우, 셋째로는 명실상부하지 않은 ‘주말’의 의미와 수의 자릿점 표시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 어’의 준말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줴’가 ‘쥐어’의 준말이라는 것을 근거로 할 때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돼’와 같은 것을 ‘되어’의 준말로 수용하는 한에서 ‘ ’ 뒤에 ‘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 그것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 어’의 준말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의 의미를 갖는 ‘같잖다’는 단어 구성 형태, 구문 구조, 의미 및 발음의 측면...
TAG 번역교육, 문법적 은유, 명사화, 일반번역, 전문번역, translator training, grammatical metaphor, nominalisation, general language translation, special language translation
웹 코퍼스와 불한 번역 등가어 -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연어 관계를 중심으로
조준형 ( Cho Joon-hy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통번역학연구 [2021] 제25권 제2호, 85~112페이지(총28페이지)
이 글은 첫째로는 줄여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바뀌어’와 같은 경우, 둘째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의 의미와 단어전체의 뜻풀이 사이의 관계가 석연찮은 ‘같잖다’의 경우, 셋째로는 명실상부하지 않은 ‘주말’의 의미와 수의 자릿점 표시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 어’의 준말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줴’가 ‘쥐어’의 준말이라는 것을 근거로 할 때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돼’와 같은 것을 ‘되어’의 준말로 수용하는 한에서 ‘ ’ 뒤에 ‘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 그것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 어’의 준말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의 의미를 갖는 ‘같잖다’는 단어 구성 형태, 구문 구조, 의미 및 발음의 측면...
TAG 연어, 웹 코퍼스, 번역 등가, 공기, 불한 번역, collocation, Web as Corpus, translation equivalence, co-occurrence, French-Korean translation
영한 포스트에디팅 생산성에 대한 고찰 - 시간적 노력을 중심으로
이준호 ( Lee Junho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통번역학연구 [2021] 제25권 제2호, 55~83페이지(총29페이지)
이 글은 첫째로는 줄여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바뀌어’와 같은 경우, 둘째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의 의미와 단어전체의 뜻풀이 사이의 관계가 석연찮은 ‘같잖다’의 경우, 셋째로는 명실상부하지 않은 ‘주말’의 의미와 수의 자릿점 표시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 어’의 준말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줴’가 ‘쥐어’의 준말이라는 것을 근거로 할 때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돼’와 같은 것을 ‘되어’의 준말로 수용하는 한에서 ‘ ’ 뒤에 ‘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 그것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 어’의 준말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의 의미를 갖는 ‘같잖다’는 단어 구성 형태, 구문 구조, 의미 및 발음의 측면...
TAG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영한포스트에디팅, 포스트에디팅 생산성, 풀포스트에디팅,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English-Korean post-editing, post-editing productivity, full post-editing
법정 교호신문 통역 사례 연구 - 중국어 사법통역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이유진 ( Lee Yoojin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통번역학연구 [2021] 제25권 제2호, 29~53페이지(총25페이지)
이 글은 첫째로는 줄여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바뀌어’와 같은 경우, 둘째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의 의미와 단어전체의 뜻풀이 사이의 관계가 석연찮은 ‘같잖다’의 경우, 셋째로는 명실상부하지 않은 ‘주말’의 의미와 수의 자릿점 표시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 어’의 준말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줴’가 ‘쥐어’의 준말이라는 것을 근거로 할 때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돼’와 같은 것을 ‘되어’의 준말로 수용하는 한에서 ‘ ’ 뒤에 ‘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 그것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 어’의 준말은 통시적으로 화석화된 ‘- ’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의 의미를 갖는 ‘같잖다’는 단어 구성 형태, 구문 구조, 의미 및 발음의 측면...
TAG 사법통역, 법정통역, 담화분석, 통역으로서의 중재, 통역사의 역할, judicial interpretation, court interpreting, discourse analysis, interpreting as mediation, interpreter's rol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