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특집 : 사회문화적 의사소통과 국어교육 ;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김혜숙 ( Hye Souk Kim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09] 제35권 33~63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사회 방언을 수용하여 교수·학습하는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사회 방언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표준어 교육이 전제된 국어교육에서 방언이 담당하고 있는 긍정적인 역할과 효과를 살려 실제 의사소통 행위인 담론적 실천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갖고자 함이다. 사회 방언은, “한 공동 사회 내의 사람들이 여러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리 사용하는 언어 변이 형태”이다. 즉 사회 방언은 세대에 따라, 성별에 따라, 직업에 따라, 대중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모든 언어 형태를 통칭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방언의 특성을 국어교육적 범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회 방언의 언어적 특성, 정의적·심동적 특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사회 방언의 교육 내용과 방법으로 제시할 ...
TAG 사회 방언, 국어교육, 교수, 학습 방안, 반성적 사고력, 탐구학습, 정서적 심미성, 사회, 문화적 맥락 교육, 의사소통 능력, social dial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communication competence
문법격 조사는 격조사인가?
고길수 ( Kil Soo Ko )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언어연구 [2007] 제24권 제1호, 25~42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사회 방언을 수용하여 교수·학습하는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사회 방언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표준어 교육이 전제된 국어교육에서 방언이 담당하고 있는 긍정적인 역할과 효과를 살려 실제 의사소통 행위인 담론적 실천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갖고자 함이다. 사회 방언은, “한 공동 사회 내의 사람들이 여러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리 사용하는 언어 변이 형태”이다. 즉 사회 방언은 세대에 따라, 성별에 따라, 직업에 따라, 대중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모든 언어 형태를 통칭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방언의 특성을 국어교육적 범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회 방언의 언어적 특성, 정의적·심동적 특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사회 방언의 교육 내용과 방법으로 제시할 ...
TAG postposition, grammatical case postposition, case, grammatical case, semantic case, feature MARKING, weak head,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Telicity and Case Alternation in Motion Verb Constructions
조재형 ( Jo Jae Hyeong )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2003] 제11권 제4호, 211~227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사회 방언을 수용하여 교수·학습하는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사회 방언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표준어 교육이 전제된 국어교육에서 방언이 담당하고 있는 긍정적인 역할과 효과를 살려 실제 의사소통 행위인 담론적 실천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갖고자 함이다. 사회 방언은, “한 공동 사회 내의 사람들이 여러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리 사용하는 언어 변이 형태”이다. 즉 사회 방언은 세대에 따라, 성별에 따라, 직업에 따라, 대중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모든 언어 형태를 통칭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방언의 특성을 국어교육적 범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회 방언의 언어적 특성, 정의적·심동적 특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사회 방언의 교육 내용과 방법으로 제시할 ...
TAG Case alternation, telic, atelic, focus effect
다문화 시대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원진숙 ( Jin Sook Won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08] 제32권 269~303페이지(총35페이지)
최근 우리 사회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면서 이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이들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역할이 매우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문화주의의 맥락 안에서 우리 국어 교육이 한국어라는 단일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모국어 교육으로부터 다문화, 다언어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까지 그 외연을 넓혀서 사회 통합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과 이들이 학교 교육에서 실패하는 이유를 짚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을 크게 KSL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 교사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 문제 등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TAG 다문화주의, 다문화 가정 자녀, 다문화 교육, 사회 통합, 이중언어교육, KSL 프로그램, 한국어 교사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 multiculturalism,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integration, bilingual education,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program, training for profe
모국어 전이 현상
김경령 ( Kyung Ryung Kim )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2004] 제26권 23~44페이지(총22페이지)
최근 우리 사회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면서 이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이들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역할이 매우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문화주의의 맥락 안에서 우리 국어 교육이 한국어라는 단일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모국어 교육으로부터 다문화, 다언어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까지 그 외연을 넓혀서 사회 통합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과 이들이 학교 교육에서 실패하는 이유를 짚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을 크게 KSL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 교사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 문제 등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TAG Language aoquisition, 언어 습득, pragmatic transference, 전이 현상, sociolinguistics, 사회 언어학
영어 법조동사에 대한 의미 분석
조경숙(Cho Kyung Sook)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1997] 제5권 제2호, 77~98페이지(총22페이지)
최근 우리 사회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면서 이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이들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역할이 매우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문화주의의 맥락 안에서 우리 국어 교육이 한국어라는 단일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모국어 교육으로부터 다문화, 다언어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까지 그 외연을 넓혀서 사회 통합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과 이들이 학교 교육에서 실패하는 이유를 짚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을 크게 KSL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 교사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 문제 등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초등 영어 심화 · 보충 듣기 지도 방안
김영태(Kim Yeong Tae)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1998] 제6권 제1호, 151~173페이지(총23페이지)
최근 우리 사회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면서 이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이들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역할이 매우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문화주의의 맥락 안에서 우리 국어 교육이 한국어라는 단일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모국어 교육으로부터 다문화, 다언어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까지 그 외연을 넓혀서 사회 통합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과 이들이 학교 교육에서 실패하는 이유를 짚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을 크게 KSL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 교사 교육, 한국어 교재 개발 문제 등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교사용 지도서 내용 구성 방법 -의성어,의태어를 대상으로-
주경희 ( Kuyng Hee Chu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2007] 제30권 539~563페이지(총2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의성어·의태어를 대상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구성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가 교재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 동원하는 기법, 아이디어, 지도상의 유의점, 교과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조직하는 방법 등이 담겨있다. 이들은 교수학적 지식에 기반에 두고 내용을 구성할 때 교육과정 실행에 효율적이다. 교수학적 지식에 기반을 두지 않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은 개별 의미를 강조하여 의미를 고착화 시킬 가능성이 많고, 학생들이 선택할 시간을 주지 않아 강요하는 입장을 취하기 쉽다. 결국 교육 과정 실행에 크게 도움을 주지 않는 내용을 구성하여 교사들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사용 양상에 기반을 둔 교수학적 지식에 의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은 의성어·의태어를 단독 어휘층위가 아닌 다른 어휘와의...
TAG 의성어, 의태어, 교사용 지도서, 사용 양상, 다양한 의미와 용법, 교수학적 지식, onomatopoeia and mimec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method, converse of knowledge,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eacher`s guidebook
의성어 의태어,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조창규 ( Chang Gyu Jo )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2005] 제13권 제3호, 61~84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의성어·의태어를 대상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구성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가 교재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 동원하는 기법, 아이디어, 지도상의 유의점, 교과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조직하는 방법 등이 담겨있다. 이들은 교수학적 지식에 기반에 두고 내용을 구성할 때 교육과정 실행에 효율적이다. 교수학적 지식에 기반을 두지 않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은 개별 의미를 강조하여 의미를 고착화 시킬 가능성이 많고, 학생들이 선택할 시간을 주지 않아 강요하는 입장을 취하기 쉽다. 결국 교육 과정 실행에 크게 도움을 주지 않는 내용을 구성하여 교사들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사용 양상에 기반을 둔 교수학적 지식에 의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은 의성어·의태어를 단독 어휘층위가 아닌 다른 어휘와의...
TA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A List of educational symbolic words, five-step procedure
Articles on Linguistics in General : Korean EFL Learners` Politeness Strategies in Their Complaints
(Ji Hyon Park)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2001] 제9권 제1호, 185~209페이지(총2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의성어·의태어를 대상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구성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가 교재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 동원하는 기법, 아이디어, 지도상의 유의점, 교과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조직하는 방법 등이 담겨있다. 이들은 교수학적 지식에 기반에 두고 내용을 구성할 때 교육과정 실행에 효율적이다. 교수학적 지식에 기반을 두지 않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은 개별 의미를 강조하여 의미를 고착화 시킬 가능성이 많고, 학생들이 선택할 시간을 주지 않아 강요하는 입장을 취하기 쉽다. 결국 교육 과정 실행에 크게 도움을 주지 않는 내용을 구성하여 교사들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사용 양상에 기반을 둔 교수학적 지식에 의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은 의성어·의태어를 단독 어휘층위가 아닌 다른 어휘와의...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