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문학] 당음(唐音)해제
    元나라 楊士弘(字 伯謙)이 편찬한 唐詩選集. 본시 唐詩始音 1卷, 唐詩正音 6卷, 唐詩遺響 7卷의 3部로 된 것으로, 1344년(元 至正 4)에 완성된 것이다. 그러나 간년을 알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 複刊한 규장각본은 많은 부분이 散佚되어 있다. 1冊의 첫머리에는 虞集(1272~1348)이 쓴 唐音序, 여기에 실린 店詩人들의 이름에다 字와 출신지를 부기한 시인 명단과 1344년 8월에 편자가 쓴 서문이 합쳐진 唐響名氏幷序(여기에는初唐․盛唐人 65명, 中唐人 48명, 晩唐人 49명, 方外 閨秀 등 13명의 이름이 보인다), 唐音凡例唐詩正音目錄, 唐詩始音目錄이 차례로 들어 있다. 그리고 唐詩始音輯註 1卷이 실려 있는데, 이는 目錄의 순서와는 엇바뀐 것이다. 책의 標題 아래에는「襄城 楊士弘 伯
    작가 당시 명의 성당 작품 유장경 중당 등 왕유 시, 고전문학 당음唐音해제
  • [고전문학] 당음(唐音)강독
    한식에는 성묘를 하는 풍습이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식 무렵이면 조상의 묘가 있는 고향에 머문다. 그래서 어쩌다 한식날 타향에 떠돌게 되면 더욱 향수(鄕愁)를 진하게 느끼고 그런 감상을 시로 많이 남겼다. 송지문은 당나라 초기의 유명한 시인인데, 정치적으로는 권세에 빌붙어 출세가도를 달리다 몇 번씩 귀양살이를 하는 등 행적이 별로 안 좋은 인물이다. 이 시는 귀양살이 가는 중에 한식을 맞아 멀리 서울 낙양을 바라보며 그리워하는 작품이다. 옛날 서당에서 한시 배우는 필독서로 ꡐ당음(唐音)ꡑ이라는 책이 있는데, 이 시는 그 첫머리에 실려 있다. 그런 만큼 옛 사람들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익숙하였다. 다만 ꡐ당음ꡑ에는 4구짜리인 ꡐ절구(絶句)ꡑ로 실려 있으나 원래는 뒤에 4구가 더 붙어 있는 ꡐ율시(律詩)ꡑ이다. 뒷부분은 귀양가게 된 신세 한탄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였는데, 무슨 연유인지 전반부만 독립되어 실렸다....
    김득신 한식 당음 ‘ 구절 사람 낙교 송지문 마상봉 낙양, 고전문학 당음唐音강독
  • [고전문학] 당음 질의
    조선시대 서당에서 주로 여름철에 익히던 한시(漢詩)교재이다. 한시 입문자를 위하여 중국의 《당음》을 우리의 기호에 맞게 발췌하여 엮었다. 본서명은 《당음정선(唐音精選)》이다. 본시 원나라 양사굉(陽士宏)이 당나라 사람의 시작품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편찬한 것으로 시음(始音) 1권, 정음(正音) 6권, 유향(遺響) 7권 등 총 5책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곡문고(明谷文庫)】수장본은 필사본이다. 시음(始音)은 당나라 초의 문장가인 왕발(王勃), 양형(楊炯), 노조후(盧照後), 낙빈왕(駱賓王) 등의 시작(時作)이고, 정음(正音)은 성당(盛唐), 중당(中唐), 만당(晩唐)의 시인의 시작이며 유향(遺響)은 여러 대가의 시에 여자, 승려의 시까지 합한 것인데 시의 발췌가 구차스럽지 않아서 많은 호평을 받았다.
    당음 명곡문고 당나라 시음 유향 정음 낙빈왕 노조후, 고전문학 당음 질의
  • [고전문학] 고전 소학 질의
    小學 질의 은 중국 남송(南宋)시대 주희(朱熹, 朱子)의 감수아래 그의 제자 유청지 등이 편찬한 책으로, 1187년 주희가 58세 되던 해에 완성하였다. 노년에 을 펴낸 주희(朱熹)에게는 분명한 목적이 있었으니, 당시 그의 조국 송나라는 금나라에 밀려 남으로 쫒겨온 상황이었고, 그런 국가적 위기에서 선량한 풍속은 쇠퇴하고 어진 인재는 나오지 않은 채 사람들은 한결같이 자기의 이해득실만 다투는 상황이었다. 결국 주희는 자라나는 어린 후학들이 인간의 착한 본성을 회복하여 기본적인 윤리를 실천할 때 비로서 당시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을 편찬하였던 것이다. 고종 때에는 박재형(朴在馨
    소학 해동소학 해동 명륜 주희 경신 입교 박재형 가언, 고전문학 고전 소학 질의
  • [고전문학] 고문진보강독
    世有伯樂(세유백락)한 : 세상에 백락이 있고난 然後(연후)에 : 뒤에야 有千里馬(유천리마)하나니 : 천리마(千里馬)가 있는 것이니 千里馬(천리마)는 : 천리마는 常有(상유)로대 : 항상 있지만 而伯樂(이백락)은 : 백락은 不常有(불상유)라 : 늘 있는 것이 아니니라 故(고)로 : 그러므로 雖有名馬(수유명마)나 : 비록 명마가 있다 하더라도 只辱於奴隸人之手(지욕어노예인지수)하야 : 다만 노예의 손에 모욕을 당하고, 騈死於槽歷之間(병사어조력지간)이오 : 마굿간에서 보통 말과 함께 죽어가 不以千里稱也(불이천리칭야)라 : 천리마라는 평판은 듣지 못하고 마는 것이니라. 馬之千里者(마지천리자)는 : 천리마는 一食(일식)에 : 한 번 먹음에 或盡粟一石(혹진속일석)이어늘 : 간혹 한 섬의 곡식을 먹어치우는 일도 있거늘 食馬者(사마자)는 : 그런데 말을 먹이는 자는 不知其能千里而食也(부지기능천리이사야)하니 : 그것이 하루에 천리를 달릴 수 있는 능력이 어서 먹는 것을 알지 못하고 먹이니 是馬(시마)가...
    천리마 천리 마지천리자 불가득 기진 무량마 세유백락 불이천리칭야 기능 수유명마, 고전문학 고문진보강독
  • [고전문학] 고문진보(古文眞寶) 해제
    요약 ▷▶중국의 시문집(詩文集). 송(宋)나라 말기의 학자 황견(黃堅)이 펴냈다고 알려져 있다. 전국시대부터 송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전․후 2집으로 나누어 엮었다. 전집에는 한(漢)나라에서 남송(南宋)까지의 고체시(古體詩)를 시형(詩形)에 따라 분류하여 싣고, 후집에는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의 초(楚)나라 시인 굴원(屈原)의 작품에서 북송(北宋)까지의 문장을 문체에 따라 분류하여 수록했다. 설명 ▷▶중국의 시문집(詩文集). 송(宋)나라 말기의 학자 황견(黃堅)이 펴냈다고 알려져 있다. 전국시대부터 송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전․후 2집으로 나누어 엮었다. 전집에는 한(漢)나라에서 남송(南宋)까지의 고체시(古體詩)를 시형(詩形)에 따라 분류하여 싣고, 후집에는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의 초(楚)나라 시인 굴원(屈原)의 작품에서 북송(北宋)까지의 문장을 문체에 따라 분류하여 수록했다. 역대 시문의 걸작들을 거의 모아 엮었기 때문에 서당의 교과서로 편집된 듯하며 일찍부터 한국에서도 많이 읽혔다. 한...
    전국시대 나라 고체시 덕흥서림본 황견 고문 시문집 고문진보 굴원, 고전문학 고문진보古文眞寶 해제
  • [고전문학] 고문진보(古文眞寶) 질의응답
    이 책이 우리나라에 유입된 경위는 자세하지 않으나 전녹생(田祿生)의 야은일고(野隱逸稿)에 의하면 그가 중국에서 《고문진보》를 사 가지고 와서 산증(刪增)을 가하여 처음으로 합포(合浦)에서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책자가 이미 14세기에 들어왔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1420년에 선본대자제유전해(先本大字諸儒箋解)라는 명칭으로 옥천(沃川)에서 간행되었다. 그 본이 1452년에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이란 명칭으로 동활자인 경오자(庚午字)로 간행되었는데 그 뒤 복간을 거듭하여 이 대본이 널리 유포, 사용되었으며 언해본(諺解本)․현토본(懸吐本)까지 나와 현재까지 전하여온다. 【明谷文庫】에는 후집 零本 2책이 수장되어 있다.
    고문진보 고문 진보 우리나라 홍치본 언해본 현토본, 고전문학 고문진보古文眞寶 질의응답
  • [고전문학] 고문진보(古文眞寶) 질의
    古文眞寶 질의 古文眞寶는 시문 짓는 교과서 한나라에서 남송까지의 뛰어난 고체시를 모은 이 책은 한시의 맛을 느끼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사람들은 시를 공부하기 위하여 〈고문진보〉를 보통 600번씩이나 읽으면서 암송하는데, 나는 200번을 읽고 암송하게 되었고, 그 뒤로는 한결 시를 쉽게 지을 수 있었다.” 고 한 퇴계 이황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우리나라 한문 문장 교과서로 많이 읽혀졌다. 중국에서는 청나라 때부터 〈고문사류찬〉이나, 〈고문관지〉 같은 책이 유행하면서 거의 자취를 감추어 버렸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크게 유행하였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사서(四書), 삼경(三經) 이외에 가장 많이 읽혀진 책 중의 하나이다. 이렇듯 우리 선인들이 시문을 짓는 교과서로 사용하면서 동양적 사고방식과 문화 발전에 유형․무형으로 지대한 영향을 준 〈고문진보〉는 우리 정신문화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 주는 소중한 책이...
    근체시 근체 고문진보 고체시 고시 고문 율시 운율 고체, 고전문학 고문진보古文眞寶 질의
  • [고전문학] 계몽편질의
    @ 啓蒙篇 계몽편은 초학자들이 산문을 처음 익히는 입문서라 할 것이다. 내용은 천 · 지· ·물· 인 4편으로 짜여져 있는데, 내용이 어렵지 않고 분량도 많지 않아 초학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한문문장을 익히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와 편찬년대는 미상이다. 首篇(수편) 天篇(천편) 地篇(지편) 物篇(물편) 倫理篇(물리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首篇(수편)에서는 天地人(천지인) 과 日月星辰(일월성진) 江海山岳(강해산악) 五倫(오륜)과 五聲(오성) 五色(오색) 數字(수자)를 가르치고 天篇(천편)에서는 하늘의 五星(오성)과 天干(천간)과 地支(지지)와 四季(사계)와 月曆(월력)과 雨露(우로)와 霜雪(상설)을 가르치고 地篇(지편)에서는 動植物(동식물)과 五行(오행)의 相生(상생)
    계몽편 수편 천편 유교적 초학자 산법 오성 세기 강해산악 서지적, 고전문학 계몽편질의
  • [고전문학] 계몽편 해제
    옛 조선의 양반 자제들이 배움을 시작할 때에 흔히 사용되는 지금의 교과서 같은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4~5세에 천자문에 입문하여, 6~7세에 동몽선습과 계몽편을 배우게되고, 이후로 소학등을 익히고, 그 진도의 발전함을 보고 사서와 삼경을 시작하곤 했습니다. 동몽선습과 계몽편은 철저한 유교적 사대주의에 입각하여 그 의도에서부터가 이제 학문을 시작하는 어린 제자들을 유교적 정신세계로 이끌기 위해서 편찬된 것입니다. 조선시대 아동교육용 교과서로 저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章節(장절)이 비교적 짤막하여 초학자(初學者)가 음을 읽고 그 뜻을 비교적 알기 쉽게 되어 있다. 조선시대 서당이나 향교(鄕校)에서 학동(學童)에게 글을 가르칠 때, 먼저 천자문(千字文)이나 유합(類合)으로 한자(漢字)를 익히게 한 다음, 교훈적(敎訓的)인 교재로서 이 [계몽편]이나 [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을 가르쳤다. 또 산법(算法)도 수록되어 윤리덕목 중심의 조선시대
    동몽선습 조선시대 천자문 계몽편 조선 내용 대한 교훈적 유교적 시대, 고전문학 계몽편 해제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