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난연합판의 연소시 유독가스, 연기발생 및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조석운 ( Seok-un Jo ) , 박희준 ( Hee-jun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6(총1페이지)
목재와 목질재료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길 권장되고 있으나, 안전문제가 갈수록 더 강화되는 현실에서 목재와 목질재료의 연소성 문제는 이용범위를 크게 확대하지 못하는 요인중 하나이다. 2019년 기준 국내 총 화재건 수는 4만건 이상으로 2,500여명의 사상자와 약 8,600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명 피해의 주원인은 화염에 의한 피해보다 유독가스 흡입에 의한 질식이 더 위험한 것으로 확인된다. 목질재료를 건축재료로 이용하게 될 경우, 화재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목재와 목질재료의 연소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내화성능을 가진 난연 목재도 개발되어 생산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마감 재료로써 난연 목재의 화재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난연 합판을 재료로 연소특성(Fla...
구조용 파티클보드 제조 Ⅰ - 밀도가 강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강은창 ( Eun-chang Kang ) , 박세휘 ( Se-hwi Park ) , 이민 ( Min Lee ) ,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6(총1페이지)
수입 OSB 대체용으로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이하 PB)의 구조성능(ISO 16893 LB-MR2)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층과 중층의 밀도에 따른 성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내수성능을 고려하여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F/MU=1.00, 멜라민 함량 27 %, 고형분 62 %)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20 % 염화암모늄 수용액(수지 고형분 대비 3 %, 중층 적용)과 왁스에멀젼(고형분 39.1 %, 전건파티클 중량 대비 1 %)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각 층별로 사용하였다. 함지율은 표층과 중층의 전건파티클 중량 대비 15 %와 12 %를 각 층별 파티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매트함수율은 표층이 10.5 %, 중층이 9.8 % 였다. 도포된 각 파티클로 표층과 중층의 비율을...
구조용 파티클보드 제조 Ⅱ - 함지율이 강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박세휘 ( Se-hwi Park ) , 강은창 ( Eun-chang Kang ) , 이민 ( Min Lee ) ,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7(총1페이지)
전량 수입되고 있는 OSB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용 파티클보드(Structural particleboard, 이하 S-PB)를 제조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이하 MFU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지 사용량 최적화를 위해 함지율을 달리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MFU 수지는 F/MU=1.00, 멜라민 함량 27%, 고형분 62%였으며, 조건별 중층 함지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20% 염화암모늄 수용액(접착제 고형분 대비 3%) 및 왁스에멀젼(전건 파티클 중량대비 1%)과 함께 혼합하였다. 표층 파티클 함지율은 15%로 고정하였으며, 중층 파티클 함지율은 본 실험의 조건으로써 12%, 14% 및 16%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도포 후 중층...
Crystallization in the Urea-Formaldehyde Resins during Synthesis
( Eko Setio Wibowo ) , ( Byung-dae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7(총1페이지)
전량 수입되고 있는 OSB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용 파티클보드(Structural particleboard, 이하 S-PB)를 제조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이하 MFU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지 사용량 최적화를 위해 함지율을 달리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MFU 수지는 F/MU=1.00, 멜라민 함량 27%, 고형분 62%였으며, 조건별 중층 함지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20% 염화암모늄 수용액(접착제 고형분 대비 3%) 및 왁스에멀젼(전건 파티클 중량대비 1%)과 함께 혼합하였다. 표층 파티클 함지율은 15%로 고정하였으며, 중층 파티클 함지율은 본 실험의 조건으로써 12%, 14% 및 16%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도포 후 중층...
TAG urea-formaldehyde, linear molecules, hydrogen bonds, crystallization
Thermal Cure Kinetics of Low-Molar-Ratio Urea-Formaldehyde Resins Modified with Dialdehyde Cellulose
( Seongsu Park ) , ( Byung-dae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8(총1페이지)
전량 수입되고 있는 OSB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용 파티클보드(Structural particleboard, 이하 S-PB)를 제조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이하 MFU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지 사용량 최적화를 위해 함지율을 달리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MFU 수지는 F/MU=1.00, 멜라민 함량 27%, 고형분 62%였으며, 조건별 중층 함지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20% 염화암모늄 수용액(접착제 고형분 대비 3%) 및 왁스에멀젼(전건 파티클 중량대비 1%)과 함께 혼합하였다. 표층 파티클 함지율은 15%로 고정하였으며, 중층 파티클 함지율은 본 실험의 조건으로써 12%, 14% 및 16%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도포 후 중층...
TAG Dialdehyde cellulose, low-molar-ratio, urea-formaldehyde resins, thermal curing behaviors, kinetic analysis
Measurement of Adhesive Force of Urea-Formaldehyde Resins at Softwood Surface
( Minjeong Kim ) , ( Byung-dae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8(총1페이지)
전량 수입되고 있는 OSB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용 파티클보드(Structural particleboard, 이하 S-PB)를 제조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이하 MFU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지 사용량 최적화를 위해 함지율을 달리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MFU 수지는 F/MU=1.00, 멜라민 함량 27%, 고형분 62%였으며, 조건별 중층 함지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20% 염화암모늄 수용액(접착제 고형분 대비 3%) 및 왁스에멀젼(전건 파티클 중량대비 1%)과 함께 혼합하였다. 표층 파티클 함지율은 15%로 고정하였으며, 중층 파티클 함지율은 본 실험의 조건으로써 12%, 14% 및 16%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도포 후 중층...
TAG Surface adhesive force, contact angle, UF resin, wood surface, cell types
재분산성을 강화한 알칼리리그닌/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건조 시스템의 개발
김정규 ( Jungkyu Kim ) , 박진석 ( Jinseok Park ) , 방준식 ( Junsik Bang ) , 김윤진 ( Yunjin Kim ) , 곽효원 ( Hyo Won Kwa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9(총1페이지)
경량성과 나노 구조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나노셀룰로오스는 하이테크 산업 전반에서 적극적인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건조 시 발생하는 나노 섬유 간의 비가역적인 응집 현상은 나노셀룰로오스의 저장과 운송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산업화에 있어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고분자인 알칼리리그닌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알칼리리그닌/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건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FE-SEM을 통해 건조 복합체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했고, 유변학적 특성 및 입도 분석을 통해 알칼리리그닌 제거 후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재분산 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알칼리리그닌은 건조 과정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와의 강한 수소 결합을 형성하여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섬유간 응집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알칼리리그닌은 수세 공정을 통해 쉽게 제거되었으며,...
6가 크롬 제거 특성을 갖는 양이온화 나노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의 제조
김윤진 ( Yunjin Kim ) , 박진석 ( Jinseok Park ) , 김정규 ( Jungkyu Kim ) , 방준식 ( Junsik Bang ) , 곽효원 ( Hyo Won Kwa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9(총1페이지)
최근 오염된 수자원의 정화 및 개선을 위해 친환경 천연 고분자 기반의 고성능 수처리 소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직경이 20-30 nm 이며 종횡비가 긴 섬유상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기의 보유,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생분해성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의 장점을 지님과 동시에 기존의 셀룰로오스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수처리 공정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나노셀룰로오스는 수처리 소재로서 유리한 특성을 가졌지만 다양한 형태로의 가공성이 떨어져 그 응용이 제한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몰폴로지를 가지는 재생 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 (Regenerated cellulose hydrogel, (RC))을 제조하고, PEI 개질을 통해 흡착제 표면을 양이온화하여 중금속 흡착제로서의 가...
셀룰로오스 기반 천연 가교제를 적용한 리그닌/PVA 혼합 섬유의 제조 및 환경 복원 소재로의 평가
박진석 ( Jinseok Park ) , 방준식 ( Junsik Bang ) , 김정규 ( Jungkyu Kim ) , 김윤진 ( Yunjin Kim ) , 곽효원 ( Hyo Won Kwa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90(총1페이지)
대표적인 목질 재료인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지구상에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카르보닐기 (C=O), 메톡실기 (-Me), 하이드록실기 (-OH)와 같이 다양한 작용기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리그닌은 Kraft, Soda, Organosolve, Sulfite 공정과 같이 추출 방법에 따라 화학적 구조 및 분자량이 다르게 나타난다. 리그닌은 비교적 낮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고, 화학적 구조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다양한 고분자와의 혼합 및 화학적 중합을 통한 리그닌 응용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글루타르알데히드 (glutaraldehyde), 글리세르알데히드 (glyceraldehyde),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와 같은 가교제는 ...
부여 무량사 삼전패 정밀진단 및 재질분석
조상윤 ( Sangyoon Jo ) , 오정은 ( Jeongeun Oh ) , 박정혜 ( Junghae Park ) , 안재완 ( Jaewan An ) ,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90(총1페이지)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2015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과학적 조사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부여군청에서 진행한 부여 무량사 삼전패의 정밀진단(손상지도, 초음파 측정, 열화상 촬영, 환경분석 조사)과 과학적 분석(수종, 지질, FT-IR)을 실시하였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대세지보살 패신 및 대좌, 아미타불 패신 및 대좌, 관세음보살 패신 및 대좌로 구성되어 있다. 손상지도 제작은 육안 조사를 통해 유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손상유형에 따라 기록하였고, 초음파 측정과 열화상 촬영으로 삼전패의 패신과 대좌의 내부 결함 파악하였다. 부여 무량사 수장고에 데이터로거를 설치하여 78일간 1시간 단위로 온·습도를 측정하여 일평균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패신과 대좌에서 미세하게 채취한 시료를 통하여 수종 분석과 섬유 분석을 위한 프레파라트를 제작하고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