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인공적인 이산화탄소 고정을 위한 목재부후균의 Formate Dehydrogenase 탐색
장석윤 ( Seokyoon Jang ) , 안지은 ( Ji-eun An ) ,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77(총1페이지)
산화형 착화제가 포함된 성형숯의 연소가스 발생량 및 환기량 평가
주영민 ( Young Min Ju ) , 정한섭 ( Hanseob Jeong ) , 안병준 ( Byung-jun Ahn ) ,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78(총1페이지)
성형숯은 주로 실내·외에서 숯불구이 활동에서 사용되지만 점화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를 보조하기 위한 착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착화제는 성형숯 제조 시 원료와 함께 혼합되어 투입되거나, 제조된 성형숯에 묻히거나 침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며, 종류로는 산화형 착화제, 알코올계 착화제 등이 있다. 하지만 착화제는 성형숯을 이용함에 있어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실제 연소 시 배출되는 가스나 연소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형 착화제가 일부 포함된 성형숯을 연소하고, 연소가스 발생량과 환기량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형숯 연소실험를 위해 국내 숯불구이 음식점의 4인 기준 공간을 고려하여 제작한 모형연소방을 사용하였다. 성형숯의 가스발생량은 배기가스인 CO, CO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 유래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률과 Solubility Parameter 간의 상관관계
김호용 ( Hoyong Kim ) , 박선규 ( Sunkyu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78(총1페이지)
급속열분해 바이오오일을 수송용 연료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으나, 높은 산소함량, 점도 및 산도와 이에 따른 낮은 석유계 연료와의 혼화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유화 방안들도 개발되었는데 기술적으로는 효과적이나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과 낮은 수율의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오일로부터 수송용 연료인 디젤과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직접적인 추출을 통해 얻은 추출물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바이오오일 유래 페놀성 화합물의 디젤 및 바이오디젤 추출특성과 이에 기인하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년생 loblolly pine을 0.5 mm 이하로 분쇄 및 오븐 건조하여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시간당 150g 처리가 가능한 fluidized-bed 반응기를 사용하여 온도 500℃, 체류 시간 1.5 초 조건...
인장이상재의 화학적 특징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 )에 대한 저항성과의 관계
박승철 ( Seung Cheol Park ) , 신원재 ( Won Jae Sin ) , 윤지후 ( Ji Hu Yun ) , 정현경 ( Hyeong Yeong Jeong ) , 최기영 ( Gi Yeong Choi ) , 김종식 ( Jong Sik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0(총1페이지)
인장이상재(tension wood)는 경사지나 기울어서 생장한 활엽수의 줄기에서 발달하는 이상 목재로 산세가 험한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자라는 수목에서 흔히 발견된다. 인장이상재에서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지는 해부학적 변화는 많은 수종에서 젤라틴층(gelatinous layer, G)이라는 특수한 층이 목섬유에 발달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응력재는 곧게 자란 정상재(normal wood)와 비교하여 화학적, 해부학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이 같은 인장응력재의 특징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와 그 내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목백합나무 인장이상재를 대상으로 화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백색부후균에 의한 부후내구성을 시험하였다.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목백합나무 인장이상재의 목섬유 세포벽은 각...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 생장에 미치는 구리의 영향
윤새민 ( Sae-min Yoon ) , 박용건 ( Yonggun Park ) , 황원중 ( Won-joung Hwang ) , 윤정희 ( Jeonghee Yun ) , 김영숙 ( Yeong-suk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0(총1페이지)
구리 기반 수용성 목재보존제는 전 세계적으로 목재보존제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약제이다. 그러나 일부 목재부후균이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목재보존 분야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리 내성을 나타내는 목재부후균에 관한 연구는 해외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동일한 종의 목재부후균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적응하는 동안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새로운 목재 보존제 개발에 있어서 그 지역에 자생하는 미생물과 그 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구리 내성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목재부후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구리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를 생장억제등급값(growth inhib...
Color Properties of Paulownia tomentosa and Pinus koraiensis Woods after Oil Heat Treatment and Air Heat Treatment
( Intan Fajar Suri ) , ( Byantara Darsan Purusatama ) , ( Jong Ho Kim ) , ( Go Un Yang ) , ( Denni Prasetia ) , ( Nam 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1(총1페이지)
구리 기반 수용성 목재보존제는 전 세계적으로 목재보존제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약제이다. 그러나 일부 목재부후균이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목재보존 분야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리 내성을 나타내는 목재부후균에 관한 연구는 해외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동일한 종의 목재부후균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적응하는 동안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새로운 목재 보존제 개발에 있어서 그 지역에 자생하는 미생물과 그 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구리 내성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목재부후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구리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를 생장억제등급값(growth inhib...
TAG air heat treatment, color change, oil heat treatment, Paulownia tomentosa, Pinus koraiensis
Photo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by TiO2-Carbonized Medium-Density Fiberboard under UV-A LED
( Justin Alfred Iii Pe ) , ( Jae Pil Kim ) , ( Sung Phil Mun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4(총1페이지)
구리 기반 수용성 목재보존제는 전 세계적으로 목재보존제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약제이다. 그러나 일부 목재부후균이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목재보존 분야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리 내성을 나타내는 목재부후균에 관한 연구는 해외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동일한 종의 목재부후균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적응하는 동안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새로운 목재 보존제 개발에 있어서 그 지역에 자생하는 미생물과 그 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구리 내성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목재부후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구리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를 생장억제등급값(growth inhib...
서로 다른 농도로 동결건조된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이 충전된 DLP 3D 프린팅 복합재
배상우 ( Sang-u Bae ) , 김범준 ( Birm-june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4(총1페이지)
구리 기반 수용성 목재보존제는 전 세계적으로 목재보존제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약제이다. 그러나 일부 목재부후균이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목재보존 분야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리 내성을 나타내는 목재부후균에 관한 연구는 해외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동일한 종의 목재부후균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적응하는 동안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새로운 목재 보존제 개발에 있어서 그 지역에 자생하는 미생물과 그 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구리 내성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목재부후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구리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를 생장억제등급값(growth inhib...
DLP 3D 프린터로 제조된 CNC 복합재의 형태학적 및 인장 특성에 대한 CNC 함량의 영향
배상우 ( Sang-u Bae ) , 김범준 ( Birm-june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5(총1페이지)
구리 기반 수용성 목재보존제는 전 세계적으로 목재보존제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약제이다. 그러나 일부 목재부후균이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목재보존 분야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리 내성을 나타내는 목재부후균에 관한 연구는 해외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동일한 종의 목재부후균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적응하는 동안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새로운 목재 보존제 개발에 있어서 그 지역에 자생하는 미생물과 그 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구리 내성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목재부후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구리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를 생장억제등급값(growth inhib...
CNC 및 나노무기필러가 강화충전된 DLP 3D 프린팅 나노복합재의 특성에 대한 연구
배상우 ( Sang-u Bae ) , 김범준 ( Birm-june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85(총1페이지)
구리 기반 수용성 목재보존제는 전 세계적으로 목재보존제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약제이다. 그러나 일부 목재부후균이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목재보존 분야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리 내성을 나타내는 목재부후균에 관한 연구는 해외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동일한 종의 목재부후균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적응하는 동안 변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새로운 목재 보존제 개발에 있어서 그 지역에 자생하는 미생물과 그 특성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구리 내성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목재부후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구리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를 생장억제등급값(growth inhib...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