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Effect of Glass Fiber-Reinforced Connection on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CLT Walls
( Hongju Jung ) , ( Yojin Song ) , ( Soonil Hong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685~695페이지(총11페이지)
TAG cross-laminated timber, CLT wall, CLT connection, glass fiber, horizontal shear strength, cyclic tests, seismic performance
Mechanical Performances of Boards Made from Carbonized Rice Husk and Sawdust: The Effect of Resin and Sawdust Addition Ratio(왕겨숯과 톱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드의 역학적 성능: 수지 및 톱밥첨가량의 영향)
( Jung-woo Hwang ) , ( Seung-won Oh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696~709페이지(총14페이지)
쌀의 도정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업부산물인 왕겨를 탄화시켜 만든 왕겨숯과 톱밥을 이용하여 수지 첨가율, 톱밥 첨가율별로 보드를 제조하고 수지와 톱밥 첨가율이 동적·정적탄성계수 및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동적탄성계수와 정적탄성계수 및 휨강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왕겨숯-톱밥 혼합보드의 페놀수지 첨가율이 10~25%로 증가할수록 휨성능이 증가하여 수지 첨가율이 휨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톱밥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휨성능도 완만하게 증가하였지만, 톱밥첨가율과 휨강도, 동적 및 정적 휨 탄성계수 사이는 결정계수의 값(R2)은 0.4012, 0.0809, 0.1971로써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톱밥 첨가율이 휨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다. 왕겨숯-톱밥 혼합보드의 동적탄성계수와 정적탄성계수 및 휨강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동적...
TAG carbonized rice husk, sawdust, MOR, dMOE, sMOE
Analysi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y Material Based on Closed Conditions Using Acrylic Hemispheres (II): Comparison by Type of Building Structural Materials(아크릴 반구를 이용한 밀폐조건에 따른 재료별 열 이동특성 분석(Ⅱ): 건축구조재 종류에 따른 비교)
( Seung Min Yang ) , ( Jun Hyuck Kwon ) , ( Phil Lip Kim ) , ( Seog Goo Kang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10~721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벽돌, 목재를 이용한 건축모형을 이용하여 직경 900 mm의 밀폐된 환경 속에서 3일간 온도와 상대습도 측정을 통하여 건축소재의 종류에 따른 실내 온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열 이동 특성에 대해서 비교분석하였다. 건축모형 내부에 설치된 물은 실내에 있는 사람을 나타냈으며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사용되었다. 목조 건축모형은 시멘트, 벽돌 건축물 보다 보온성이 높아 열 손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건축 모형의 열적 쾌적성은 온도와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목조 건축 모형은 시멘트, 벽돌 건축 모형보다 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AG finishing material, wood, temperature, humidity, comfort, heat transfer mode
Quality Enhancement of Falcataria-Wood through Impregnation
( Ihak Sumardi ) , ( Atmawi Darwis ) , ( Sahriyanti Saad ) , ( Muhammad Navis Rofii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22~731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벽돌, 목재를 이용한 건축모형을 이용하여 직경 900 mm의 밀폐된 환경 속에서 3일간 온도와 상대습도 측정을 통하여 건축소재의 종류에 따른 실내 온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열 이동 특성에 대해서 비교분석하였다. 건축모형 내부에 설치된 물은 실내에 있는 사람을 나타냈으며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사용되었다. 목조 건축모형은 시멘트, 벽돌 건축물 보다 보온성이 높아 열 손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건축 모형의 열적 쾌적성은 온도와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목조 건축 모형은 시멘트, 벽돌 건축 모형보다 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AG phenol formaldehyde, pressure time, concentration phenol formaldehyde, weight percent grain, anti-swelling efficiency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Harmful Gases Reducing Molded Fuel Using Torrefied Wood(반탄화목재를 이용한 유해가스 저감형 성형연료의 개발 및 평가)
( Chang-goo Lee ) , ( Chang-deuk Eom ) , ( Min-ji Kim ) , ( Seog-goo Kang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32~744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를 반탄화 처리 후 성형숯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과 연료특성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유통 중인 구이용 성형숯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탄화 시험편의 고위발열량은 구이용 성형숯 보다 약 14% 높았으며, 회분함량은 약 51배 낮았다. 또한, 밀폐된 챔버에서 각각의 시험편을 900 s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질산화합물, 이산화황)를 정량평가한 결과, 반탄화 시험편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최대값이 기존 성형숯보다 약 5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반탄화 시험편이 시중 성형숯보다 고위발열량이 높고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AG holed torrefied wood briquette, molded charcoal, higher heating value, elemental analysis, ash content, carbon monoxide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Marking Effect of Sudan Red 7B on Subterranean Termites (Reticulitermes speratus) in Republic of Korea
( Ik-gyun Im ) , ( Gyu-seong Han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45~75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를 반탄화 처리 후 성형숯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과 연료특성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유통 중인 구이용 성형숯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탄화 시험편의 고위발열량은 구이용 성형숯 보다 약 14% 높았으며, 회분함량은 약 51배 낮았다. 또한, 밀폐된 챔버에서 각각의 시험편을 900 s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질산화합물, 이산화황)를 정량평가한 결과, 반탄화 시험편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최대값이 기존 성형숯보다 약 5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반탄화 시험편이 시중 성형숯보다 고위발열량이 높고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AG termite, Reticulitermes speratus, marking, termite monitoring, termite territory
Research on Flame Retardant Formaldehyde-Free Plywood Glued by Aqueous Polymer Isocyanate Adhesive
( Ming-yu Wen ) , ( Jia-zhi Zhu ) , ( Meng Zhu ) , ( Yao-xing Sun ) , ( Hee-jun Park ) , ( Junyou Shi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55~76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를 반탄화 처리 후 성형숯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과 연료특성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유통 중인 구이용 성형숯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탄화 시험편의 고위발열량은 구이용 성형숯 보다 약 14% 높았으며, 회분함량은 약 51배 낮았다. 또한, 밀폐된 챔버에서 각각의 시험편을 900 s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질산화합물, 이산화황)를 정량평가한 결과, 반탄화 시험편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최대값이 기존 성형숯보다 약 5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반탄화 시험편이 시중 성형숯보다 고위발열량이 높고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AG aqueous polymer isocyanate adhesive, API, phosphorylated polyvinyl alcohol, PPVA, layered double hydroxides, LDH, flame retardant plywood
학회 및 회원소식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65~766페이지(총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를 반탄화 처리 후 성형숯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과 연료특성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유통 중인 구이용 성형숯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탄화 시험편의 고위발열량은 구이용 성형숯 보다 약 14% 높았으며, 회분함량은 약 51배 낮았다. 또한, 밀폐된 챔버에서 각각의 시험편을 900 s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질산화합물, 이산화황)를 정량평가한 결과, 반탄화 시험편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최대값이 기존 성형숯보다 약 5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반탄화 시험편이 시중 성형숯보다 고위발열량이 높고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Editorial Board Members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5호, 767(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를 반탄화 처리 후 성형숯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과 연료특성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유통 중인 구이용 성형숯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탄화 시험편의 고위발열량은 구이용 성형숯 보다 약 14% 높았으며, 회분함량은 약 51배 낮았다. 또한, 밀폐된 챔버에서 각각의 시험편을 900 s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일산화탄소, 질산화합물, 이산화황)를 정량평가한 결과, 반탄화 시험편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최대값이 기존 성형숯보다 약 5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반탄화 시험편이 시중 성형숯보다 고위발열량이 높고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에 의한 목재의 특성 변화
박용건 ( Yonggun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0] 제2020권 제1호, 3(총1페이지)
목재 열처리는 목재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의 화학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 범위(160~260℃)로 가열하여 목재의 다양한 물성을 개질하는 방법을 말한다. 목재 열처리는 친환경적인 방부·방충처리 방법으로서의 장점으로 인해 2000년대 초반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국내에서도 2010년 무렵부터 수입 열처리 목재가 유통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국내에서 국산재를 이용한 열처리 목재가 생산되는 등 열처리 목재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목재를 열처리하면 열가수분해에 의해 헤미셀룰로오스가 다량 분해되며, 분해 산물이 리그닌과 상호결합하는 등의 화학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에 따라 목재 세포벽에 손상이 발생하여 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휨강도 등의 강도 감소가 발생한다. 또한, 헤미셀룰로오스가 분해되면서 하이드록실 그룹과 같은 작...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