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생강나무 정유의 추출 부위에 따른 항세균 효과와 구성 성분 비교
함영석 ( Youngseok Ham ) , 박미진 ( Mi-jin Park ) , 양지윤 ( Jiyoon Yang ) , 김석주 ( Seok Ju Kim ) , 안병준 ( Byung-jun Ahn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6(총1페이지)
녹나무과에 속하는 생강나무는 국내 대부분 산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잎이나 가지에서 생강과 같은 특유의 향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hydro-distillation 추출법을 이용하여 생강나무의 잎과 가지에서 각각 방향성 화합물인 정유(essential oils)를 확보하였으며, 추출 부위에 따라서 정유의 어병세균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와 구성 성분을 서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생강나무 잎과 가지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수율은 각각 0.29%와 0.40%로, 같은 양의 원료에서 추출할 때 가지에서 더 많은 정유가 확보되었다. 6종 어병세균인 Streptococcus iniae, S. parauberis, Vibrio ichthyeonteri, Edwardsiella tarda, Photobacterium damselae 그리고...
Thermal Degradation of Mixed Hardwood Kraft Lignin by Pyrolysis-GC/MS
( Justin Alfred Iii Pe ) , ( Ji Sun Mun ) , ( Sung Phil Mun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6(총1페이지)
녹나무과에 속하는 생강나무는 국내 대부분 산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잎이나 가지에서 생강과 같은 특유의 향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hydro-distillation 추출법을 이용하여 생강나무의 잎과 가지에서 각각 방향성 화합물인 정유(essential oils)를 확보하였으며, 추출 부위에 따라서 정유의 어병세균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와 구성 성분을 서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생강나무 잎과 가지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수율은 각각 0.29%와 0.40%로, 같은 양의 원료에서 추출할 때 가지에서 더 많은 정유가 확보되었다. 6종 어병세균인 Streptococcus iniae, S. parauberis, Vibrio ichthyeonteri, Edwardsiella tarda, Photobacterium damselae 그리고...
리그닌-PAN 공중합체를 전구체로 한 붕소 도핑 탄소나노섬유시트의 특성 연구
이현수 ( Hyunsu Lee ) , 김석주 ( Seokju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7(총1페이지)
리그닌은 목재의 약 20~30%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다. 펄프·제지산업의 부산물인 흑액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어 쉽게 구할 수 있지만, 구조적 복잡성과 낮은 반응성, 열적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펄프·제지 공정 내 열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리그닌을 화학약품, 플라스틱 및 탄소섬유 소재화 원료 등 고부가가치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업화 사례는 아직 없다. 리그닌은 페닐프로판 단량체가 중합된 고분자로 퀴논이나 페놀 등과 같은 산화-환원 활성 그룹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어서 전기화학 반응에 유리하다. 지난 연구에서는 리그닌-PAN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전기방사법으로 리그닌 기반 탄소나노섬유 시트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형태학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붕소의 도핑이 탄소나노섬유시트 특성에...
TAG kraft lignin, lignin-PAN copolymer, electrospinning, carbon nanofiber mat, boron
용매별 추출에 따른 참오동나무 목부의 내후성 평가
박한나 ( Hanna Park ) , 김병호 ( Byeongho Kim ) , 박경찬 ( Kyoungchan ) , 박세영 ( Se-you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7(총1페이지)
오동나무 속인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는 동남아시아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동나무는 수고 15~20 m, 직경 80 cm 까지 자라는 속성수로 목재 이용의 목적으로 식재되어졌다. 예로부터 오동나무속은 장롱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이는 잘 썩지도 않으며 불에 잘 타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예로부터 항온 항습 및 방충 등의 효과가 높은 오동나무 상자에 고서적들이 보관되어 오고 있다. 참오동나무에는 lignan류인 (+)-paulownin, (+)-sesamin, 그리고 (+)-piperitol 성분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국산 참오동나무의 리그난 및 그 외 성분에 대한 분석을 위해 성분에 대한 분석 및 추출물 제거에 따른 참오동나무 내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
셀룰로오스-키토산-실크 피브로인 복합필름 특성
양지욱 ( Jiwook Yang ) , 최한솔 ( Hansol Choi ) , 변지희 ( Jihui Byeon ) , 황교정 ( Kyojung Hwang ) , 김대영 ( Dae-young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8(총1페이지)
본 연구는 셀룰로오스, 키토산, 실크 피브로인을 혼합하여 복합필름으로 제조하고 혼합비에 따른 특성을 검토하였다. 60% LiBr 수용액을 용제로 사용하여 세 고분자들을 다양한 혼합비에 따라 혼합하여 용해를 실시하고, 재생 및 수세와 건조과정을 거쳐 복합필름으로 제조하였으며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LiBr 수용액의 블렌딩 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복합필름재의 이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셀룰로오스, 키토산, 실크 피브로인 세 고분자들은 LiBr 수용액에 의해 용해 및 재생 과정에서 결정구조가 변화되었고, 특히 실크 피브로인의 경우 silk II 구조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용해·재생 과정에서 세 고분자 간의 수소결합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필름의 인장강도는 세 고분자들 간의 물리적 엉킴과 고분자 계면 간의 수소결합에 의해 일정 혼합비까지 ...
미생물 전처리 유칼립투스 BKP의 볼밀 처리에 따른 특성 변화
황교정 ( Kyojung Hwang ) , 양지욱 ( Jiwook Yang ) , 변지희 ( Jihui Byeon ) , 최한솔 ( Dae-young Kim ) , 김대영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8(총1페이지)
본 연구는 미생물 전처리를 실시하고 이후 볼밀 처리를 통해 변화되는 유칼립투스 BKP의 특성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유칼립투스 BKP는 해리를 실시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시료로 제조하였다. 미생물 전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 균주를 유칼립투스 BKP가 포함된 미생물 배지에 넣고 48시간 동안 35℃, 150 rpm으로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Lysozyme (Thermo fisher scientific, 89833)을 넣고 80℃, 1시간 동안 반응시켜 미생물을 제거하였다. 회수된 유칼립투스 BKP는 수세 및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볼밀 처리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볼밀 처리는 500 rpm을 기준으로 2, 4, 6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회수하여 분석을 ...
글리콜계 용제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One-Pot 아세틸화
이윤지 ( Yunji Lee ) , 김동현 ( Donghyun Kim ) , 엄태진 ( Taejin Eom ) , 이중명 ( Junmyung Lee ) , 김강재 ( Kangjae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9(총1페이지)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바이오 소재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바이오 소재 중 하나인 목질 재료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양이 가장 풍부할 뿐 아니라, 높은 강도적 특성과 유연성을 지녀 다양한 산업에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재료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목질재료를 쉽게 가공하기 위해서 는 목재를 이루는 셀룰로오스 분자 사이 존재하는 수소결합을 제거하여야 한다. 목재 내 수소결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셀룰로오스 수산기를 다른 원자단으로 치환하는 셀룰로오스 표면개질법이 있다. 셀룰로오스 표면개질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실란화, 고분자 그라프팅, 아세틸화 등이 있으며, 그 중 아세틸화는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취급된다. 하지만, 기존의 아세틸화법은 목재로부터 최종산물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 때문에 산업에서의 경제성은 떨어진다....
수종에 따른 NMMO용액의 셀룰로오스 용해 특성 및 셀룰로오스 에어로겔의 특성
양봉숙 ( Bong Suk Yang ) , 설재욱 ( Jaewook Seol ) , 고유진 ( Yujin Ko ) , 장태욱 ( Taewook Jang ) , 강규영 ( Kyu-young Kang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9(총1페이지)
최근 환경문제 및 기후변화에 따라 소재산업부분에서는 저비용 고효율의 재생 가능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초경량의 친환경적이며 재생 가능한 셀룰로오스 에어로겔은 풍부하고 지속 가능한 셀룰로오스 원료의 공급 및 환경친화적이며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로 연구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에어로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셀룰로오스를 용해하고 재생하면서 나타나는 셀룰로오스의 열화 및 용해 반응의 불안정성을 해결해야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천연셀룰로오스 자원이 가지고 있는 수종에 따라 분자량과 헤미셀룰로오스의 조성이 다른 특성들이 셀룰로오스 용제 N-Methyl morpholine-N-oxide (NMMO)/H2O계 시스템에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셀룰로오스 원...
닥나무 삽목묘의 감마선 처리가 닥나무 화학조성에 미치는 영향
양봉숙 ( Bong Suk Yang ) , 안성혁 ( Sunghyuck Ahn ) , 조윤지 ( Yunji Cho ) , 강규영 ( Kyu-young Kang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70(총1페이지)
환경오염에 따른 기후변화 및 산업 구조에 따라 우리나라 고유 식물 종들의 재배량 및 수확량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유전자원의 다양성이 부족한 수종들은 품종육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섬유자원인 닥나무의 경우에도 재배면적 및 수확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최근 고부가가치 소재화 연구를 통해 산업화 가능성을 제시하더라도 재료 수급 문제로 전통자원의 활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돌연변이 유도에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감마선을 이용한 방법을 닥나무에 적용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한 후 대량 증식에 가능한 품종을 개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품종 육성을 위해 감마선을 처리한 닥나무 삽목묘의 생육과정에서 감마선 처리 조건에 따른 닥나무 목질부의 화학조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감마선 처리가 닥나무 삽목묘의 생육에...
염화지방산을 이용한 리그닌의 에스테르화가 리그닌/Poly(Lactic Acid)복합소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찬우 ( Chan-woo Park ) , 한송이 ( Song-yi Han ) , 이은아 ( Eun-ah Lee ) , 아젤리아우란신드라데위 ( Azelia Wulan Cindradewi ) , 김정기 ( Jeong-ki Kim ) , 라즈쿠마반디 ( Rajkumar Bandi ) , 권구중 ( Gu-joong Kwon ) , 이승환 ( Seung-hwan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70(총1페이지)
소나무 목분 (2g)을 공융용매 choline chloride/lactic acid (1/1) (98 g)에 투입시킨 후, 130℃ 조건에서 24h동안 반응하였다. 공융용매 가용분을 과량에 물에 첨가한 후, 1M 염산으로 pH를 2로 조절하여 공융용매에 용해된 리그닌을 재생하였다. 재생된 리그닌(2g)을 THF (15ml)와 DMF (2ml)에 용해시킨 후, palmitoyl chloride (PAC)를 0.5-1.5 eq/lignin OH만큼 첨가하여 질소분위기에서 65℃조건으로 48h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에스테르화된 리그닌은 PLA와 10/90, 30/70, 50/50 비율로 chloroform에 용해시킨 후, 25℃조건에서 캐스팅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PAC...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