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의 건조효율 평가
송주훈 ( Joohoon Song ) , 신지훈 ( Jihoon Shin ) , 강석구 ( Seoggu Kang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58(총1페이지)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효율을 토대로 Pilot scale로 규격을 확대하였을 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건조기의 내부용적 크기를 1,000㎜(W) × 1,500㎜(L) × 1,000㎜(T)로 확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의 벽체 두께를 50㎜로 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프레임의 두께는 30㎜로 하고 외벽과 내벽에 사용되는 목재는 10㎜로 재단하여 결합하였다. 내부에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와 동일하게 흡습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칸막이를 제작하였다. 건조 열원으로는 원적외선히터 2kW 2개와 전기난방 보일러를 설치하여 운용하였다.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하여 팬을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의 풍속이 1.5㎧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제작된 Pilot scal...
고열처리 맹종죽의 육안적 및 물리적 특성
박세휘 ( Se-hwi Park ) , 강은창 ( Eun-chang Kang ) , 이민 ( Min Lee ) , 김영진 ( Young-jin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58(총1페이지)
방치되어 가는 국산 대나무의 고부가·신산업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열처리 방법이 적용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플레이크 형태로 잘게 나누어진 재료가 주를 이루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대나무를 작게 가공하지 않은 원재료 그대로가 사용되었다. 대나무 원통을 대형챔버형 과열증기 목재고열처리기에 서 승온-유지-냉각 스케줄에 따라 건조시켰다. 건조시 유지온도 조건을 130, 140 및 150 ℃ 3가지로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시편에 대한 육안적 및 물리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건조에 따른 재색변화를 정확하기 분석하기 위해 색차계 측정을 실시하였다. 육안적 관찰 결과, 건조온도 140 ℃ 이하에서는 할렬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150 ℃부터는 마디 주위가 수축되었으며, 일부 할렬이 관찰되었다. 150℃ 처리시편에서는 그을음 또는 초산 냄새가 감지되었다. 온도가...
PC 강선으로 보강한 Plylam CLT 층간연결접합부의 전단성능
장상식 ( Sang Sik Jang ) , 이형우 ( Hyoung Woo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0(총1페이지)
방치되어 가는 국산 대나무의 고부가·신산업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열처리 방법이 적용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플레이크 형태로 잘게 나누어진 재료가 주를 이루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대나무를 작게 가공하지 않은 원재료 그대로가 사용되었다. 대나무 원통을 대형챔버형 과열증기 목재고열처리기에 서 승온-유지-냉각 스케줄에 따라 건조시켰다. 건조시 유지온도 조건을 130, 140 및 150 ℃ 3가지로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시편에 대한 육안적 및 물리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건조에 따른 재색변화를 정확하기 분석하기 위해 색차계 측정을 실시하였다. 육안적 관찰 결과, 건조온도 140 ℃ 이하에서는 할렬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150 ℃부터는 마디 주위가 수축되었으며, 일부 할렬이 관찰되었다. 150℃ 처리시편에서는 그을음 또는 초산 냄새가 감지되었다. 온도가...
접착 환경 조건에 따른 폴리우레탄 접착제 적용 혼합 CLT의 박리변화
송다빈 ( Dabin Song ) , 김건호 ( Keonh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0(총1페이지)
본 연구는 활엽수인 백합나무를 낙엽송 층재와 접착하여 CLT 층재로 이용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구조용재로써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접착 성능 실험인 삶은 박리 실험을 진행하였다. CLT는 1990년대 초 개발되어 기존의 목조 건축이었던 경량목구조보다 시공의 용이성, 저렴한 시공비용 및 인건비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콘크리트나 철근의 대체재로 내진, 내화, 차음, 단열도 우수하여 CLT는 미래 목조 건축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CLT의 휨 성능은 약축보다는 강축 층재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그러므로 약축 층재로 저밀도 수종인 백합나무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존 구조용 집성재에 사용되는 페놀레조시놀 접착제보다 경화시간이 빠르고 친환경 접착제로 유럽에서 CLT 제작에 적용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였고 ...
CFRP로 보강된 낙엽송 CLT-콘크리트 복합 바닥재의 휨 성능 평가
송요진 ( Yojin Song ) , 백승엽 ( Seongyeop Baek ) , 김동현 ( Donghyeon Kim ) , 유석훈 ( Seokhoon Yu ) , 홍순일 ( Soonil Hong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1(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이하, CFRP)으로 보강된 낙엽송 CLT-콘크리트 복합 바닥재에 대한 휨 성능 평가가 수행되었다. 복합 바닥재는 크기가 90 mm (h) × 300 mm (w) × 3300 mm (l) 인 낙엽송 CLT 위에 습식 콘크리트가 타설(높이:60mm)되는 공법으로 제작되었다. 두 주요 재료 간 전단 연결에는 에폭시 접착제가 사용되었다. CFRP는 CLT-콘크리트 복합 바닥재의 구성 재료 중 인장력에 저항하는 CLT의 최외각인장층 외측에 부착되었으며, 복합 바닥재의 평면적에 대한 보강 비율(100%, 66%, 33%)에 따라 3가지로 제작되었다. 인장측 전체면에 보강된 바닥재들의 평균 휨 강성 및 휨 모멘트는 각각 1600 kN㎡ 와 53.1 kNm 였다. 이와 비교하여 보강 비율...
CFRP로 보강된 낙엽송 각재적층목 기둥-보 접합부의 모멘트 저항 내력 성능 평가
김동현 ( Donghyeon Kim ) , 백승엽 ( Seongyeop Baek ) , 유석훈 ( Seokhoon Yu ) , 송요진 ( Yojin Song ) , 이인환 ( Inhwan Lee ) , 홍순일 ( Soonil Hong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1(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CFRP)로 보강된 낙엽송 각재 적층목 강판삽입형 드리프트핀 접합부의 모멘트 저항 내력 성능을 평가하였다. 각재 적층목은 4개의 소경 각재를 접착하여 1000 mm (L) x 170 (W) x 220 (T)의 크기의 적층목을 제작하었다. TYPE A 시험편은 중앙부위 강판 슬릿의 내부 양면 및 슬릿을 기점으로 좌우 2.5D(D: 드리프트 핀의 직경, 16 mm) 거리에 슬릿 가공 후 220 mm (L) x 110 mm (W) x 1.4 mm (T)의 CFRP sheet를 삽입, 접착 시켜 제작하였다(체적비: 3.6%). TYPE B 시험편은 강판 슬릿의 내부 양면 및 슬릿으로부터 좌우 1.5D 그리고 3D 거리에 CFRP she...
낙엽송 집성재 Glued-in-rod 접합부의 인장성능
방성준 ( Sung-jun Pang ) , 안경선 ( Kyung-sun Ahn ) , 김지용 ( Ji Yong Kim ) , 이한식 ( Han Shik Lee ) , 오정권 ( Jung-kwon Oh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2(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CFRP)로 보강된 낙엽송 각재 적층목 강판삽입형 드리프트핀 접합부의 모멘트 저항 내력 성능을 평가하였다. 각재 적층목은 4개의 소경 각재를 접착하여 1000 mm (L) x 170 (W) x 220 (T)의 크기의 적층목을 제작하었다. TYPE A 시험편은 중앙부위 강판 슬릿의 내부 양면 및 슬릿을 기점으로 좌우 2.5D(D: 드리프트 핀의 직경, 16 mm) 거리에 슬릿 가공 후 220 mm (L) x 110 mm (W) x 1.4 mm (T)의 CFRP sheet를 삽입, 접착 시켜 제작하였다(체적비: 3.6%). TYPE B 시험편은 강판 슬릿의 내부 양면 및 슬릿으로부터 좌우 1.5D 그리고 3D 거리에 CFRP she...
실대재 실험을 통한 국산 낙엽송 규격구조재의 압축 성능
김철기 ( Chul-ki Kim ) , 심국보 ( Kugbo Sh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2(총1페이지)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국산 규격구조재의 실대재 실험을 통해 얻어진 설계값을 검토하여, 국산재의 신뢰성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9년부터 길이 3,600 mm 이상의 제재목 또는 집성재의 압축 성능을 좌굴 없이 평가할 수 있는 장비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는 단면적의 크기가 38×89 mm이고 길이가 3,600 mm인 낙엽송 육안등급구분 규격구조재에 대하여 압축 성능을 평가한 결과와 ASTM D 198에 제시된 바와 같이 회전반경(radius of gyration)이 길이의 17배 이하인 제재목(단면의 크기가 38×89 mm이고 길이 200 mm)에 대한 압축 성능과 비교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길이가 3,600 mm인 낙엽송 제재목의 1등급, 2등급, 3등급의 기준 허용 응력은 12.0...
벌채 시기에 따른 산불 피해목의 역학적 성능 비교
김철기 ( Chul-ki Kim ) , 강진택 ( Jin-teak Kang ) , 엄창득 ( Chang-deuk Eo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3(총1페이지)
2018년 2월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하마읍리에 위치한 국유림의 소나무림에서 발생한 산불로 발생한 산불 피해목의 벌채 시기에 따른 역학적 성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불발생지역의 소나무림은 해발 650 m, 평균 수고 15.8 m, 흉고 직경 30.8 cm, 4∼5 영급의 소나무 순림으로 산불피해 강도는 ‘강’과 ‘중’이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약’의 피해면적은 54.6%이었다. 산불 피해지에서 2018, 2019, 2020년에 벌채를 진행하였으며, 벌채목의 구성은 2018년도에는 건전목 1그루, 피해 강도 ‘강’ 피해목 1그루, 피해 강도 ‘약’ 피해목 1그루, 2019년과 2020년에는 건전목 1그루, 피해 강도 ‘강’ 피해목 1그루, 피해 강도 ‘중’ 피해목 1그루, 고사목 1그루이었다. 한국산업규격...
밀도에 따른 양모단열재의 열전도율 평가
바트자르갈바트오츠랄 ( Batjargal Batucral ) , 김세종 ( Sejong Kim ) , 김민지 ( Min Ji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63(총1페이지)
지금까지 양모는 양사육장으로부터 폐기물에 가까운 취급을 받았으나 최근 재활용성이 우수하고 생산 시 환경부하가 적어 친환경단열재로서의 가능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높은 질소 함량으로 화염전파 시 스스로 소화되는 장점도 있어 건축물의 단열재로서의 활용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재료인 양모를 단열재로 이용하기 위해 밀도에 따른 열전도율을 분석하였다. 공시재료인 양모는 435*435 ㎜의 너비로 각 밀도에 따른 열전도율을 분석하기 위해 두께를 변경하였다. 실험 전 온도 23±2℃, 상대습도 50±5% 조건에서 조습시켰으며 KS L 9016:2010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 방법’ 규격에 따라 열전도율측정장치에서 측정온도를 10℃로 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후 양모의 밀도에 따른 열전도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양모단열재의 밀도가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