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활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및 벌채 적기 판정
유혜지 ( Hye-ji Yoo ) , 주정덕 ( Jeong-deok Ju ) , 박준희 ( Jun-hui Park ) , 신창섭 ( Chang-seob Shin ) , 엄창득 ( Chang-deuk Eom ) ,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5(총1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월악산과 미동산이다. 월악산 지역의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모니터링은 2017년 4월 7일부터 10월 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미동산 지역에서는 4월 7일부터 9월 29일까지 실시되었다. 모니터링 간격은 1주일이며, 형성층 시료 채취는 각 지역에서 5본의 일본잎갈나무를 선발한 후 직경 2mm 미니 생장추(traphor)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형성층 활동 결과 분석에서 상해세포간구 발생으로 정확한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수목은 제외되었다. 따라서 각 지역에서 4본이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형성층 활동 개시일의 경우 월악산 2본(WRLK 02, WRLK 03)과 미동산 3본(MDLK 02,...
재질 평가를 위한 지역에 따른 소나무 가도관 크기 조사
전현진 ( Hyeon-jin Jeon ) , 이요섭 ( Yo-sub Lee ) , 박준희 ( Jun-hui Park ) , 최은비 ( En-bi Choi ) , 김요정 ( Yo-jung Kim ) ,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5(총1페이지)
동일한 수종의 목재일지라도 목재의 물리적 성질은 수목이 자란 지역에 따라서 달라진다. 하지만 지역을 고려한 체계적인 재질조사는 부족한 현실이다. 게다가 목재의 구성 요소인 목재세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소나무의 가도관 크기(방사방향 내강직경, 세포벽 두께, 세포직경, 세포길이)를 조사하여 향후 지역별 소나무 활용 평가에 있어 필요한 목재해부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9곳(강원도 강릉, 평창, 횡성, 충북 보은, 제천, 충남 서천, 전북 무주, 진안, 부안)의 소나무 임분을 연구지로 선정하였다. 세포크기 조사는 각 지역에서 선발된 5본의 소나무에서 채취된 생장편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소나무의 주요 구성세포인 가도관의 방사방향 직경, 내강직경, 세포벽 두께 측정은 횡단면 박편을 ...
호두나무 가지 내 해부학적 특성의 변이
김종호 ( Jongho Kim ) , 비안타라다르산푸루사타마 ( Byantara Darsan Purusatama ) , 인탄파자르수리 ( Intan Fajar Suri ) , 양고운 ( Goun Yang ) , 프라세티아데니 ( Prasetia Denni ) , 김남훈 ( Nam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6(총1페이지)
활엽수 가지부에서 발생하는 지지재(supporting wood)의 생장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 변이를 조사하고자 호두나무 가지의 조직특성을 관찰하였다. 강원도 춘천에서 채취한 길이 약 57cm, 직경 약 4cm의 호두나무 가지를 공시재료로 활용했으며, 해부학적 특성의 변이를 조사하고자 공시재료를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여 지점별 소원판을 제작한 후, 수(pith)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4방향의 영구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수심부와 수피부 도관내강의 접선직경, 단위면적(㎟)당 도관의 수량, 단위거리(㎜)당 방사조직의 수량, 방사조직의 높이 등을 측정하고 경향성을 분석했다. 수의 위치는 가지가 분화하는 1번 위치부터 3번 위치까지 상부방향으로 편심하였으나, 4번 위치에서는 가지부의 중앙부에 도달하였으며, 수를 기준으로 상부에서는 인장이상재의 특징...
Deep Learning Approach for Visible and NIR Imaging for Wood Classification
( Tetsuya Inagaki ) , ( Te Ma ) , ( Satoru Tsuchikawa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6(총1페이지)
활엽수 가지부에서 발생하는 지지재(supporting wood)의 생장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 변이를 조사하고자 호두나무 가지의 조직특성을 관찰하였다. 강원도 춘천에서 채취한 길이 약 57cm, 직경 약 4cm의 호두나무 가지를 공시재료로 활용했으며, 해부학적 특성의 변이를 조사하고자 공시재료를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여 지점별 소원판을 제작한 후, 수(pith)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4방향의 영구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수심부와 수피부 도관내강의 접선직경, 단위면적(㎟)당 도관의 수량, 단위거리(㎜)당 방사조직의 수량, 방사조직의 높이 등을 측정하고 경향성을 분석했다. 수의 위치는 가지가 분화하는 1번 위치부터 3번 위치까지 상부방향으로 편심하였으나, 4번 위치에서는 가지부의 중앙부에 도달하였으며, 수를 기준으로 상부에서는 인장이상재의 특징...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ression, Lateral, and Opposite Woods in Sumatran pine and Agathis
( Byantara Darsan Purusatama ) , ( Fauzi Febrianto ) , ( Seung Hwan Lee ) , ( Nam 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8(총1페이지)
활엽수 가지부에서 발생하는 지지재(supporting wood)의 생장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 변이를 조사하고자 호두나무 가지의 조직특성을 관찰하였다. 강원도 춘천에서 채취한 길이 약 57cm, 직경 약 4cm의 호두나무 가지를 공시재료로 활용했으며, 해부학적 특성의 변이를 조사하고자 공시재료를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여 지점별 소원판을 제작한 후, 수(pith)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4방향의 영구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수심부와 수피부 도관내강의 접선직경, 단위면적(㎟)당 도관의 수량, 단위거리(㎜)당 방사조직의 수량, 방사조직의 높이 등을 측정하고 경향성을 분석했다. 수의 위치는 가지가 분화하는 1번 위치부터 3번 위치까지 상부방향으로 편심하였으나, 4번 위치에서는 가지부의 중앙부에 도달하였으며, 수를 기준으로 상부에서는 인장이상재의 특징...
TAG Agathis, compression wood, lateral wood, opposite wood, physical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Sumatran pine
싱크로트론 XRD측정법을 이용한 고목재(古木材)의 역학특성 분석
이창구 ( Chang-goo Lee ) , 엄창득 ( Chang-deuk Eom ) , 김민지 ( Min-ji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8(총1페이지)
목재는 생물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환경 하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 건축재료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나라현(奈良県)에 위치한 호류지(法隆寺)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약 1300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건전한 모습으로 유구한 역사를 뽐내고 있다. 목조건축물의 장기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목재의 노화가 역학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목조건축물 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목재(古木材)의 역학성능은 주로 실대재 및 소시험편의 강도실험을 통한 거시적(macroscopic)인 평가에만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목재의 역학성능을 미시적(microscopic)인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synchrotron radiation을 이용한 XRD측정을 시도하였다. 공시재료는 약 250년이 경과된 목조사찰의 보 (수종: Pinus...
기둥-보에 SIP 패널을 설치한 복합구조의 개발
장상식 ( Sang Sik Jang ) , 이형우 ( Hyoung Woo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9(총1페이지)
목재는 생물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환경 하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 건축재료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나라현(奈良県)에 위치한 호류지(法隆寺)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약 1300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건전한 모습으로 유구한 역사를 뽐내고 있다. 목조건축물의 장기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목재의 노화가 역학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목조건축물 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목재(古木材)의 역학성능은 주로 실대재 및 소시험편의 강도실험을 통한 거시적(macroscopic)인 평가에만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목재의 역학성능을 미시적(microscopic)인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synchrotron radiation을 이용한 XRD측정을 시도하였다. 공시재료는 약 250년이 경과된 목조사찰의 보 (수종: Pinus...
경사 설치된 Self-Tapping Screw의 하중 저항 성능 설계식 검증
김지용 ( Ji-yong Kim ) , 안경선 ( Kyung-sun Ahn ) , 박준언 ( Jun-un Park ) , 방성준 ( Sung-jun Pang ) , 오정권 ( Jung-kwon Oh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9(총1페이지)
목재는 생물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환경 하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 건축재료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나라현(奈良県)에 위치한 호류지(法隆寺)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약 1300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건전한 모습으로 유구한 역사를 뽐내고 있다. 목조건축물의 장기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목재의 노화가 역학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목조건축물 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목재(古木材)의 역학성능은 주로 실대재 및 소시험편의 강도실험을 통한 거시적(macroscopic)인 평가에만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목재의 역학성능을 미시적(microscopic)인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synchrotron radiation을 이용한 XRD측정을 시도하였다. 공시재료는 약 250년이 경과된 목조사찰의 보 (수종: Pinus...
NLT-콘크리트 합성 슬라브의 합판 전단접합부 성능 평가
안경선 ( Kyung-sun Ahn ) , 방성준 ( Sung-jun Pang ) , 김지용 ( Ji-yong Kim ) , 오정권 ( Jung-kwon Oh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0(총1페이지)
목재는 생물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환경 하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 건축재료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나라현(奈良県)에 위치한 호류지(法隆寺)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약 1300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건전한 모습으로 유구한 역사를 뽐내고 있다. 목조건축물의 장기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목재의 노화가 역학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목조건축물 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목재(古木材)의 역학성능은 주로 실대재 및 소시험편의 강도실험을 통한 거시적(macroscopic)인 평가에만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목재의 역학성능을 미시적(microscopic)인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synchrotron radiation을 이용한 XRD측정을 시도하였다. 공시재료는 약 250년이 경과된 목조사찰의 보 (수종: Pinus...
기계등급재에 따른 혼합 CLT의 휨성능 예측
송다빈 ( Dabin Song ) , 김건호 ( Keonh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0(총1페이지)
최근 도입되기 시작한 새로운 건축공법인 CLT(Cross-Laminated Timber)는 높은 강도와 치수안정성 등 우수한 성능과 다양한 두께 그리고 모양으로 인해 고층 목조 건축의 새로운 시대를 연 공학목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 활엽수재의 건축부재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CLT 제조특성을 고려하여 낙엽송을 외층으로 사용하고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사용하여 혼합CLT를 제조하였다. 성능기반 구조용 CLT로 사용하기 위해 외층재 기계등급별 혼합CLT의 휨성능을 측정하였다. CLThandbook에서 인용하고 있는 휨 성능 예측식을 적용하여 다양한 등급의 층재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외층재로 사용된 낙엽송 층재는 100(b) x 25(h) x 3600(l)mm로 MSR 기계등급 분포를 통해 총 4종류(E9, E10, E9+10, E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