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62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수평하중에 따른 낙엽송CLT 전단벽체의 실험적 고찰
김건호 ( Keonh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1(총1페이지)
목조건축에 대한 고층화 기술은 CLT의 개발로 가속화되었다. CLT는 구조부재로 주로 전단 벽체와 바닥체로 사용되고 있다. 전단벽체로 사용되는 CLT는 시공시 홀드다운과 브라켓으로 접합하여 고정한다. CLT를 벽체로 사용할 경우 수평하중에 대한 전단성능은 주로 접합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철물과 CLT의 역학적 물성은 CLT벽체의 전단내력성능에 주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홀드다운과 브라켓을 이용한 낙엽송 CLT 벽-바닥구조로 수평하중에 따른 전단내력을 평가하였다. 수평저항성능시험은 준정적 반복가력시험(ASTM E2126)을 실시하였으며, 수직하중을 부과하지 않은 시험체(N))와 설계수직하중(97kN)을 부과한 시험체(P)로 비교하였다. 준정적 반복가력시험은 Test Method C (CUREE ...
가력 하중 종류가 CLT 벽체의 전단 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철기 ( Chul-ki Kim ) , 박태경 ( Tae-kyeo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1(총1페이지)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중·고층 목조건축물의 구조재로 각광받고 있는 구조용 직교 집성판(CLT)의 품질표준 및 성능 평가를 위한 표준 시험법 정립, 설계값 산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층 목조건축물의 설계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CLT 벽체의 전단 성능에 대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20 kN/m의 수직 분포하중을 가하면서, 0.6(길이)×2.6(높이)×0.15(폭) m의 CLT 2개를 접합(single spline joint)한 벽체에 정적 수평하중과 준정적 수평하중(ISO 16670 프로토콜)을 가력하여 전단 성능을 평가하였다. 정적 수평 하중 하에서 CLT 벽체의 벽체의 회전 및 이동을 포함한 전단 강성 계수, 최대 전단 내력은 각각 2.2 kN/m, 28.5 kN/m이었다. 반면 준정적 수평 하중 하에서 벽체의 ...
각 층 구성에 따른 혼합수종 구조용 직교집성재의 압축강도
이인환 ( Inhwan Lee ) , 이수혁 ( Soohyeok Lee ) , 문형준 ( Hyungjoon Moon ) , 김건호 ( Keonh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2(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Application of Resin Impregnation Technique to Bolted Joint for Strengthening the Lateral Load Property
( Keita Ogawa ) , ( Kenji Kobayashi ) , ( Satoshi Fukuta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2(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Study on the Dynamic State of Free, Hydrogen-Bonded Water with Wood by Near-Infrared Hyperspectral Imaging
( Te Ma ) , ( Tetsuya Inagaki ) , ( Satoru Tsuchikawa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3(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Kraft Lignin from Mixed Hardwood
( Ji Sun Mun ) , ( Justin Alfred Iii Pe ) , ( Hwan Chul Kim ) , ( Sung Phil Mun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6(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Thermal Characterization of Kraft Lignin from Mixed Hardwood
( Justin Alfred Iii Pe ) , ( Ji Sun Mun ) , ( Sung Phil Mun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6(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Influence of Pyrolysis Temperature and Particle Siz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oil and Biochar Obtained from the Pyrolysis of Pine Wood in a Screw Pyrolyzer
( Xuanjun Jin ) , ( Joon Weo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7(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rmal Stability of Lignin-PVA Composites Fabricated under Various Lignin Ratios
( Muhammad Ajaz Ahmed ) , ( Sadaf Mearaj ) , ( Joon Weo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7(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Removal of Phenol and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s by Adsorption onto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Coffee Waste and Empty Fruit Bunch by Chemical Activation Process
( Vilaysit Thithai ) , ( Joon Weo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28(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내층으로 활용한 혼합CLT(cross laminated timber)를 제작하여 단일수종으로 제작한 낙엽송CLT와 압축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혼합CLT는 낙엽송이나 소나무를 섬유방향와 하중 방향이 평행한 외층에 배치하고 백합나무를 하중방향과 섬유방향이 수직한 내층에 배치하였다. 혼합CLT의 층간 접착은 상온경화형 페놀레조시놀 접착제와(Phenol-resorcinol formaldehyde adhesive: PRF) 친환경 속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Poly-urethane adhesive: PUR)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판재의 등급은 유형별로 다르게 조합하였다. 외층재는 낙엽송, 내층재는 백합나무로 구성된 혼합CLT 유형은 낙엽송 CLT(37.7 MPa) 유형보다 2~18% 저하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