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 AND 간행물명 :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252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Evaluation of Cell-Wall Microstructure and Anti-Swelling Effectiveness of Heat-Treated Larch Wood(낙엽송 열처리재의 세포벽 미세구조 및 항팽윤효율 평가)
( Yonggun Park ) , ( Woo-seok Jeon ) , ( Sae-min Yoon ) , ( Hyun Mi Lee ) , ( Won-joung Hwang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780~790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낙엽송 열처리재의 세포벽 미세구조와 항팽윤효율을 평가하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낙엽송 판재를 190°C와 220°C의 온도 조건에서 12시간, 18시간,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낙엽송재의 횡단면을 1,0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열처리재의 경우 세포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 했으며, 세포의 단면이 거칠게 절단되었고, 세포 간 결합이 끊어지면서 세포간극이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처리 조건 별 팽윤실험 결과, 열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 흡수량과 팽윤량이 감소하였으며, 항팽윤효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흡수량의 감소는 열처리에 의한 세포벽의 화학적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팽윤량의 감소 및 항팽윤효율의 증가는 화학적 변화 뿐...
TAG heat-treatment, cell wall microstructure, anti-swelling effectiveness, amount of absorbed water, dimensional stability
A Study on the Block Shear Strength according to the Layer Composition of and Adhesive Type of Ply-Lam CLT(Ply-Lam CLT의 층재 구성 및 접착제 종류에 따른 블록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 Gyu Woong Choi ) , ( Seung Min Yang ) , ( Hyun Jae Lee ) , ( Jun Ho Kim ) , ( Kwang Hyeon Choi ) , ( Seog Goo Kang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791~806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공학목재로 목구조건축에 주로 사용되는 집성재 및 CLT 그리고 Ply-lam CLT의 블록전단시험을 실시하여 강도 및 파괴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Ply-lam CLT의 라미나 및 합판의 수종, 접착제의 종류 및 Layer구성 등 최적생산을 위한 제조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블록전단시험을 통해 집성재, Ply-lam CLT, CLT 순으로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특히, 낙엽송 합판과 낙엽송 라미나의 복합구조로 제조되는 Ply-lam CLT의 전단강도는 집성재 전단강도 기준인 7.1 N/mm2을 통과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집성재, CLT, Ply-lam 접착에 사용된 접착제 종류에 따른 전단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ly-lam CLT의...
TAG Ply-lam CLT, CLT, plywood, shear strength, glulam
Comparison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for Wood Damaged by Oak Wilt and Sound Wood from Quercus mongolica(참나무시들음병 신갈나무 피해목과 건전목의 해부학적 특징 비교)
( Woo-seok Jeon ) , ( Hyun-mi Lee ) , ( Ji-hyun Park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07~819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에 감염된 신갈나무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감염목, 고사목 및 건전재 신갈나무를 수에서부터 10∼50번째 연륜까지 10연륜 단위로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목섬유 길이는 수에서부터 5연륜 단위로 측정하였고, 도관요소 직경 및 타일로시스를 포함한 도관의 비율은 10연륜별로 측정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감염목과 고사목에서는 도관 내강에서 티일로시스와 함께 균사체가 관찰되었다. 목섬유 길이 및 도관요소 직경은 조사목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섬유 길이는 미숙재 부위인 20∼30연륜 이후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타일로시스를 포함한 도관의 평균 비율은 감염목이 가장 높았고 특히, 감염목과 고사목은 40∼50연륜에서 타...
TAG Quercus mongolica, oak wilt disease, anatomical characteristics, tylosis
Evaluation of Strength Performance of the Fumigation Treated Wood Affected by the Oak Wilt Disease(참나무시들음병 훈증목의 강도 성능 평가)
( Dabin Song ) , ( Keonho Kim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20~831페이지(총12페이지)
참나무시들음병 고사목으로부터 피해확산을 막기위해 주로 훈증처리 방법을 이용한다. 훈증처리에 따른 신갈나무 피해목의 강도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훈증처리목재의 압축성능과 휨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훈증처리목재는 약 9개월 간 네마섹트(Metam-sodium)로 훈증처리하였다. 참나무시들음병 훈증처리목재의 기건 종압축강도는 58.87 MPa, 압축탄성계수는 5.66 GPa로 측정되었으며 건전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혼증목의 성숙재부 강도성능은 미성숙재부보다 16% 더 높은 강도값을 보였다. 참나무 건전목의 압축파괴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지만 훈증처리목재의 경우 대부분 전단형 파괴형상을 보였다. 훈증처리목재의 휨강도는 157.43 MPa로 건전재보다 8% 높게 측정되었고 휨 탄성계수는 16.38 GPa로 건전재보다 16% 낮게 측정되었다. 그...
TAG fumigation treated wood, oak wilt-disease, compressive strength, bending strength, mongolian oak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Permeability in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 of Domestic Softwoods(국산 침엽수의 방사, 접선단면의 투습성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Joon Ho Kim ) , ( Seung Min Yang ) , ( Hyun Jae Lee ) , ( Ki Hyung Park ) , ( Seog Goo Kang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32~846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목재의 투습성을 활용한 용도개발을 위해 국산 침엽수 9개 수종에 대한 투습성 평가와 소형 벽체구조 제작을 통한 투습성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투습성 개선을 위해 폐자재인 bottom ash를 흡습제로 투입한 소형 벽체를 제작하여 투습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Sd 값에 의한 투습성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국산 침엽수 9개 수종 중 Abies holiphylla(잣나무), Picea jezoensis(가문비나무), Ginkgo biloba(은행나무), Pinus koraiensis(잣나무) and Pinus rigida(리기다 소나무)는 투습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② 이를 이용하여 벽체 구조 제작 시 반투습 성능을 나타냄을 평가하였다. ③ 또한, Bottom ash를 투입한 소형 벽체 구조를 제작하여 ...
TAG permeability, Sd value, bottom ash, moisture transport
Evaluation of the Amount of Gas Generated through Combustion of Wood Charcoal and Agglomerated Charcoal Depending on Air Ventilation(숯과 성형숯의 연소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 발생량 및 실내공간 환기량 평가)
( Young Min Ju ) , ( Hanseob Jeong ) , ( Kwang-seok Chea ) , ( Byung-jun Ahn ) ,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47~860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숯불구이 음식점의 화구당 평균 공간을 바탕으로 제작된 모형 연소방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숯과 성형숯의 연소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 가스와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 3종의 숯과 성형숯의 연료 특성과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밀폐 조건과 환기 조건으로 구분하고 총 20분의 연소과정 동안 발생하는 CO, CO2, NOx의 농도와 O2 농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의 발생량은 밀폐 조건에서 1390~4703 ppm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환기 시 약 29.8%~57.4%의 환기율을 보였다. CO2는 밀폐 조건에서 1.34%~2.4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환기시 특정 시점(10분)에 1.5% 이상 발생한 시료...
TAG charcoal, agglomerated charcoal, ventilation, combustion, gas emission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Radiata Pine (Pinus radiata) Bark for Bio-Foam Preparation
( Min Lee ) , ( Su Hyeon Jeong ) , ( Sung Phil Mun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61~868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숯불구이 음식점의 화구당 평균 공간을 바탕으로 제작된 모형 연소방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숯과 성형숯의 연소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 가스와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 3종의 숯과 성형숯의 연료 특성과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밀폐 조건과 환기 조건으로 구분하고 총 20분의 연소과정 동안 발생하는 CO, CO2, NOx의 농도와 O2 농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의 발생량은 밀폐 조건에서 1390~4703 ppm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환기 시 약 29.8%~57.4%의 환기율을 보였다. CO2는 밀폐 조건에서 1.34%~2.4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환기시 특정 시점(10분)에 1.5% 이상 발생한 시료...
TAG polyphenol, bio-foams, radiata pine bark, alkali
Effect of Pulp Properties on the Power Consumption in Low Consistency Refining
( Huan Liu ) , ( Jixian Dong ) , ( Kai Qi ) , ( Xiya Guo ) , ( Ying Yan ) , ( Lijie Qiao ) , ( Chuanwu Duan ) , ( Zhiming Zhao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69~87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숯불구이 음식점의 화구당 평균 공간을 바탕으로 제작된 모형 연소방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숯과 성형숯의 연소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 가스와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 3종의 숯과 성형숯의 연료 특성과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밀폐 조건과 환기 조건으로 구분하고 총 20분의 연소과정 동안 발생하는 CO, CO2, NOx의 농도와 O2 농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의 발생량은 밀폐 조건에서 1390~4703 ppm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환기 시 약 29.8%~57.4%의 환기율을 보였다. CO2는 밀폐 조건에서 1.34%~2.4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환기시 특정 시점(10분)에 1.5% 이상 발생한 시료...
TAG low consistency refining, pulp consistency, average fiber length, no-load power, refining efficiency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eutral Extracts Prepared by Treating Pinus radiata Bark with Sodium Bicarbonate
( Ji Sun Mun ) , ( Hwan Chul Kim ) , ( Sung Phil Mun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78~887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숯불구이 음식점의 화구당 평균 공간을 바탕으로 제작된 모형 연소방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숯과 성형숯의 연소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 가스와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 3종의 숯과 성형숯의 연료 특성과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밀폐 조건과 환기 조건으로 구분하고 총 20분의 연소과정 동안 발생하는 CO, CO2, NOx의 농도와 O2 농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의 발생량은 밀폐 조건에서 1390~4703 ppm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환기 시 약 29.8%~57.4%의 환기율을 보였다. CO2는 밀폐 조건에서 1.34%~2.4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환기시 특정 시점(10분)에 1.5% 이상 발생한 시료...
TAG Pinus radiata bark, neutral extract, NE, sodium bicarbonate, proanthocyanidins, PAs, antioxidant activity
Chemotaxonomic Significance of Catechin 7-O-beta-D-apiofuranoside in Ulmus Species
( Mi Kim ) , ( Yong Jo Lee ) , ( Jae-cheon Shin ) , ( Sun Eu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목재공학(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제48권 제6호, 888~895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숯불구이 음식점의 화구당 평균 공간을 바탕으로 제작된 모형 연소방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숯과 성형숯의 연소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 가스와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 3종의 숯과 성형숯의 연료 특성과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밀폐 조건과 환기 조건으로 구분하고 총 20분의 연소과정 동안 발생하는 CO, CO2, NOx의 농도와 O2 농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의 발생량은 밀폐 조건에서 1390~4703 ppm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환기 시 약 29.8%~57.4%의 환기율을 보였다. CO2는 밀폐 조건에서 1.34%~2.4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환기시 특정 시점(10분)에 1.5% 이상 발생한 시료...
TAG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for, suberosa, flavan-3-ol, chemotaxonom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