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시학과 언어학회31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김영하 중,단편 소설 연구 -나르시시즘적 욕망과 여성의 기능-
곽상순 ( Sang Soon Guahk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9] 제16권 185~206페이지(총22페이지)
TAG 김영하, 여성, 페미니즘, 나르시시즘, 반영적 전도, 욕망, Kim Young-Ha, Narcissism, Woman, Desire, Feminism, Reflexive Reversion
신화의 가능세계와 의미론: 가능세계의 특성과 관계를 중심으로
오세정 ( Se Jeong Oh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9] 제16권 207~225페이지(총19페이지)
TAG 신화, 가능세계, 가능세계 의미론, 미메시스 의미론, 실제세계, 텍스트의 실제세계, 텍스트의 지시세계, 허구(성), 재중심화, Myth, Possible World, Possible World Semantics, Mimetic Semantics, Actual World, AW, Textual Actual World, TAW, Textual Referential World, TRW, Fiction(fictionality), Recentering
소설과 영화의 매체 간 상호텍스트성 연구 -이청준의 「이어도」와 김기영 감독의 영화 <이어도>를 중심으로-
이채원 ( Chae Won Lee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9] 제16권 227~258페이지(총32페이지)
TAG 매체 간 상호텍스트성, 분석과 논평의 서술, 회화적 상징, 인물화, 주제적 미학적 변주, Intertextuality, Media, The Voice of Narrator, Image, Characterization, Reception Esthetic
Further Notes on Nominative Locatives in Korean
임창국 ( Chang Guk Yim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9] 제16권 259~272페이지(총14페이지)
TAG 주격 처소, 논항이동, 동사이동, 비대격동사, 비능격동사, 장소도치, Nominative Locative, A-movement, Verb-Raising, Unaccusatives, Unergatives, Locative Inversion
우언문학에서 "교훈"의 성격과 위상
조현우 ( Hyun Woo Cho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9] 제16권 273~296페이지(총24페이지)
TAG 우언, 교훈, 허구, 매체, 상관적 사유, Allegorical Literature, Lesson, Fiction, Media, Correlative Thinking
은유의 인식론
황희숙 ( Hui Suk Whang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8] 제15권 7~49페이지(총43페이지)
20세기 중반 이후 철학에서 은유metaphor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논의가 부활한 것은, 블랙M. Black이 은유표현과 문장 속에 문자적 의미(진리)와 별도의 은유적 의미(진리)를 설정하면서부터다. 은유적 의미 자체에 대한 논의는 아직 계속되고 있지만, 은유에 대한 인지주의cognitivism와 은유의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의가 그 이후 활발해진 것은 사실이다. 은유의 힘은 어디서 비롯되는지, 은유가 우리 인간이 세계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는 인지적 과정과 기작, 그리고 그 소산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은유가 인지의 도구로서 정당하게 취급될 수 있는지 등의 물음에 대한 논의를 필자는, `은유의 인식론epistemology of metaphor`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은유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을 ...
TAG 은유, 은유적 의미, 인지론, 성적 은유, M. 블랙, D. 데이빗슨, 프레임, metaphor, metaphorical meaning, cognitivism, gender metaphor, M. Black, D. Davidson, frame
은유의 매개와 서사의 매체
최성민 ( Sung Min Choi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8] 제15권 51~74페이지(총24페이지)
`은유`는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로 어휘적 대체 관계의 수준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에 대한 논의는 `은유`를 언어적 기호 작용 전반의 과정과 인간의 일반적 사고 작용에 이르는 단계로 확장시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폴 리쾨르는 은유를 텍스트의 소통 과정, 즉 이야기하기와 해석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작용으로 이해하였다. 서사 텍스트들이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소통되는 오늘날, `신매체`에 대한 이해에도 `은유`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서사의 매체는 은유적 작용을 통해 서사를 소통시킨다. 또한 새로운 매체를 통한 소통의 방식은 기존 매체에 대한 은유로써 이해되어 왔다. 은유는 새로운 매체의 특성을 발견하게 해주었고, 그 매체적 효과를 창조하는 방법이기도 했다. 은유는 단어의 범위, 문장의 범위, 그리고 텍스트의 범위를 거...
TAG 은유, 개념적 은유, 폴 리쾨르, 서사, 매체, 매개, 해석학, metaphor, conceptional metaphor, Paul Ricoeur, narrative, media, vehicle, hermeneutics
「도산십이곡」의 은유
신연우 ( Yeon Woo Shin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8] 제15권 75~106페이지(총32페이지)
<도산십이곡>은 平明하게 시작한다. 이 平明함은 이황이 의도한 것일 수 있다. 진리란 평범하고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보편적 진리의 자명함은 4연의 1, 2행에서 극대화된다. 골짜기에 난초가 피어 있고 산에 구름이 있는 것은 자연스럽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어디서나 누구나 볼 수 있는 보편적인 경험이고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다. 그러나 종장의 `저 아름다운 한 사람을 더욱 잊지 못해라`는 비약적인 효과를 갖고 있다. 난초가 골짜기에 있고 백운이 산에 있는 것은 자연의 소당연의 질서이다. 그 배후에는 소당연을 있게 하는 소이연이 있다. 화자는 幽蘭과 白雲이라는 자연의 현상을 보고 그 현상의 배후에 보이지 않게 존재하는 소이연의 원리를 생각하고 있다. 이황은 눈에 드러나는 현상보다는 그 배후에 있는 보이지 않는 존재인 원리를 더 강조한 사...
TAG 도산십이곡, 이황, 은유, 산책, , 고인, 근원적 이치, (Tosan Sibigok), LeeHwang, metaphor, stroll, the old man, the Universal Principle
서정인 「강」의 서사적 은유
오윤호 ( Youn Ho Oh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8] 제15권 107~133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서정인의 초기 소설인 「강」을 서사적 은유로 분석함으로써, 「강」의 서사적 전개와 그 인물형상화의 의미를 밝히려고 한다. 그리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의 관련성을 통해 1960년대 소설의 은유적 성격과 소설화 전략을 확인하려고 한다. 여기에서 서사적 은유는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차이`가 전제되면서도 `동일성`이 추구되는 언어적 전략이며 미적 효과를 의미하게 된다. 또한 서사 속에서 은유란 살아있는 실존의 자기 정체성 확립의 전제 조건이다. 「강」에서 `눈`은 다양한 이야기선과 여러 서사적 상황 등 계열체적으로 전개되던 서사를 수렴하는 상징적 힘을 갖고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의미가 모호하고 다원적 양상을 갖는다. 또한 `템스강에 불을 지를 수는 없다`라는 돌발 발언을 통해 `강`을 욕망하는 시민의 ...
TAG 서사, 은유, 서사적 은유, 서정인, 「강」, 1960년대 소설, narrative, metaphor, narrative mataphor, Sur JungIn, A River, the 1960`s novels
은유의 문화적 구성 역학 -『혼불』을 사례로 한 시론-
장일구 ( Il Gu Jang )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2008] 제15권 135~167페이지(총33페이지)
은유는 구조적 유형으로 환원할 수 있는 수사적 양식의 일종이라기보다, 사고와 표현에 작용하는 역학적 기제를 통해 산출되는 구성체이다. 그 논항은 단지 문학적 언어나 고급 작문 기술에 국한되지 않으며, 일상적 의사소통에 관여된 공통적 전략이나 인지 도식의 문제로 확장될 여지가 다분하다. 은유는 일상적 담화에 편재해 있으며, 문화적 맥락을 통해 의미가 지어지고 이해된다. 따라서 은유는 삶의 방편이자 문화적 현상으로 취급해야 한다. 은유는 요컨대 세계를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이미지 도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상된 형태라 할 수 있는데, 개인적 경험이나 상호 작용은 물론 의례나 정치적 행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화 장 내에서 활용되는 사고와 표현의 전략인 것이다. 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정보나 관습적 도식을 변주하여 창출되는 서사적 은유의 양태를...
TAG 은유, 서사적 은유, 이해, 해석, 해석학적 순환, 문화, 문화적 구성, 인지도식(쉐마), 이미지 도식, metaphor, narrative metaphor,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hermeneutic circle, cultural constitution, cognitive schema, image-schema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